• 제목/요약/키워드: rice food products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38초

일제강점기 중 1920-193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 분석 (An Analysis of Ginseng Advertisements in 1920-1930s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오훈일
    • 인삼문화
    • /
    • 제4권
    • /
    • pp.103-127
    • /
    • 2022
  • 20세기 초반 근대 문물이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인삼 산업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인삼 재배법과 상업의 발전으로 인삼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났고 근대적 제제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인삼 제품이 개발되었다. 자연히 이들 제품의 판매 경쟁도 치열해졌다. 당시 신문 광고에는 이러한 제품의 개발 동향과 판매 경쟁이 상세히 나타난다. 1920년 이전까지는 신문에 나타나는 인삼에 관한 광고는 매우 적었다. 아직 신문이 일반화되지 못했고 인삼 산업도 그만큼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20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면서 인삼 광고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2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는 인삼의 전통 한방적 효능과 신비함을 강조하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인삼과 녹용을 복합 처방한 제품의 광고가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제품이 큰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품을 복용한 사람들의 체험담도 이때 광고에 등장한다. 또한 당시 이미 통신판매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1925년에는 인삼제품을 매일 배달한다는 광고도 등장한다. 당시 뿌리삼은 그 크기와 품질에 따라 현재보다 훨씬 정교하게 분류되어 있었음이 광고에 여실히 드러난다. 1920년대 인삼 제품은 액제, 환제, 농축액 등 전통 한방 제형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30년대 인삼 광고는 더욱 활발해진다. 이 시기에는 대학의 교수, 의학박사, 약학박사 등의 직함을 가진 전문가가 광고에 등장한다. 이들이 인삼을 추천한다거나, 성분이나 약효를 설명하거나, 심지어 이들의 실험 노트까지 광고에 등장하여 과학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삼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홍보가 강화된다. 1931년에는 현대적인 정제의 광고가 등장한다. 이후 비타민이나 다른 특정 성분을 강화한 인삼 제품이 등장하고, 병약자를 위한 인삼 미음도 등장한다. 1938년에는 최승희와 같은 무용수나 유명 영화배우를 모델로 사용하는 광고도 등장하게 되면서 인삼광고는 더욱 현대화되고 대중화 된다. 1920~1930년대 인삼광고는 당시 급변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음식점 한식 및 간편식품과 빵류의 비타민 $B_{12}$ 함량분석 연구 (Vitamin $B_{12}$ content analysis of favorite Korean restaurant foods, convenient foods and bakery products)

  • 곽충실;박준희;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88-599
    • /
    • 2012
  • There is a limitation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due to the lack of data on vitamin $B_{12}$ content of Korean commercial foods. In this study, vitamin $B_{12}$ content was determined in favorite Korean restaurant foods, convenient or instant foods, fast foods and bakery products through a modified microbioassay using Lactobacillus delbrueckii ATCC 7830. Bulgogi and seafood & green pepper griddle had high vitamin $B_{12}$ content, 3.50 and $2.96{\mu}g$/100 g, respectively. Pork suyook, pork griddle and pollack griddle had 0.48, 0.31 and $0.32{\mu}g$/100 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In stew, soft-tofu stew with seafood and doenjang stew with seafood had relatively high vitamin $B_{12}$ content, 1.93 and $1.44{\mu}g$/100 g, respectively. Bibimbap and 4 different types of rice porridge, beef & mushroom, chicken & ginseng, seafood or abalone, had 0.36, 0.08, 0.09, 1.64 and $0.13{\mu}g$/100 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One serving of haejanggguk, yookejang, chuotang and galbitang had 5.97, 2.04, 2.63 and $1.91{\mu}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One serving of samgetang and sulongtang had $2.89{\mu}g$ and $6.64{\mu}g$ of vitamin $B_{12}$. In noodles, one serving of cram noodle soup, bibim-nangmyeon, and mul-nangmyeon had 18.8, 1.21 and $0.38{\mu}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One regular gimbap and one triangle gimbap contained 1.09-2.53 and $0.54-1.11{\mu}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One cheese-burger, chicken-burger and bulgogi-burger had 0.76, 0.62 and $0.54{\mu}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A plain bagel and a waffle contained 0.13 and $0.17{\mu}g$/100 g of vitamin $B_{12}$, respectively. Ready-made tomato sauce or cream sauce for spaghetti in a retort pouch contained only a trace of vitamin $B_{12}$.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esent food vitamin $B_{12}$ content database, most of which were cited from foreign data, thereby it could be helpful to estimate the vitamin $B_{12}$ intake of Koreans more accurately than before. It will also provide new information for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B_{12}$ and health.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에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Irpex lacteus에 의(依)한 Cellulase의 생산(生産) 및 그 효소특성(酵素特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eeds from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Ⅱ] -On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ellulase by Irpex lacteus-)

  • 이계호;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17-122
    • /
    • 1975
  •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을 이용(利用)할 목적(目的)으로 Irpex lacteus가 생성(生成)하는 cellulase에 대(對)하여 실험(實驗)하여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쌀겨를 가(加)한 준배양기(戮培養基)의 조효소(粗酪素) 활성(活性)이 타배양기(他培養基)보다 우수하였다. 2. 진탕배양시 최적배양일수는 5일(日)이 가장 좋았다. 3. 생성(生成)되는 환원당(還元糖) 정량(定量)에 의(依)한 조효소(粗酪素)의 특성(特性)은 Irpex lacteus가 생산(生産)한 cellulase의 요소반응(酵素反應) 최적조건(最適條件)은 CMC분해(分解)로 생성(生成)한 환원당량(還元糖量)으로 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최적(最適) pH는 $3.5{\sim}4.0$이다. 2) pH안전도(安全度)는 pH $3.0{\sim}6.0$이다. 3) 최적온도(最適溫度)는 $40^{\circ}C$이며 열안전성(熱安全性)은 $40^{\circ}C$이하(以下)이다. 4) 조효소(粗酵素) 작용시간(作用時間)은 2시간(時間)이다. 5) 최적(最適) 조효소농도(粗酵素濃度)는 50%V/V(전용액중)이며 기질농도(基質濃度)는 1%이다.

  • PDF

Fluidized bed granulation을 이용한 참기름의 저온 미세캡슐화 (Low-Temperature Microencapsulation of Sesame Oil Us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 정찬민;이민경;이현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1
    • /
    • 2009
  • 식품의 원료인 참기름을 캡슐화하기 위해 전보(11)에서 최적화한 model system을 기초로 피복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3%의 gellan gum을 첨가한 후 유화압력을 20.7 MPa로 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공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화 수율, surface oil, 수분함량, 입자 크기, 캡슐의 저장 안정성 및 제품 응용성을 비교하였다.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top spray dryer에 의한 캡슐보다 상대적으로 surface oil 함량이 낮고 수율이 높으며 입자 크기가 컸다. 제조한 캡슐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flavor retention을 측정한 결과 참기름 원료 자체를 저장한 경우 향기 성분은 1% 이하의 잔존 함량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향기 성분이 소실되었다고 보았으나,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각각 37%, 42%의 향기성분을 보유하여 향기 성분 포집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쇠고기 죽 제품에 응용한 후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참기름 캡슐을 사용한 제품들이 모두 참기름 원료 자체를 사용한 제품보다 풍미의 강도 및 기호도면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을 사용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참기름 원료와 같이 향기 성분이 소실 되기 쉬운 소재를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저온 미세 캡슐화하면 풍미의 안정성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alysis of sEquence Structure Relationships of Commercial Dongchongxiacao of Three Species in Korean Market

  • Nam, Sung-Hee;Yeo, Joo-Hong;Hwang, Jae-Sam;Hong, In-Pyo;Han, Sang-Mi;Cho, Yu-Young;Choi, Ji-Young;Lee, Kwang-Gill;Yoon, Cheol-Sik;Lee, Sang-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1호
    • /
    • pp.29-35
    • /
    • 2010
  • To compare the quality of manufactured goods distributed in the domestic markets, 6 isolates of Dongchongxiacao products, namely, 4 Paecilomyces tenuipes specimens (J2P, 901A, 901B, and 901C), 1 Cordyceps militaris specimen (901D), and 1 Cordyceps sinensis specimen (CI-1),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quence-structure relationships. P. tenuipes (J2P), a kind of Dongchongxiacao, was successfully inoculated on silkworms by percutaneous infect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straionNam et al., 1999); fruiting bodies were then formed on the complete surface of the pupa. Since P. tenuipes (J2P) from silkworm larva was also proved to have remarkabl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t has been produced in bulk and has been successfully sold to buyers in the Korean market. Additionally, imitation products such as 901A, 901B, 901C, 901D, and CI-1 were sold simultaneously,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roduct qua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establishing quality standards to discriminate between the original and imitation products circulating in the market. The products obtained for the experiments included J2P, 901A, 901B, 901C, 901D, and CI-1; proximat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se products. The hosts and methods of conidia inoculation for proliferation of mycelia differed among the products. P. tenuipes (J2P) was proliferated in live silkworm larvae, and dead silkworm pupae were used to produce 901A, 901B, and 901C. On the other hand, 901D was produced on hulled rice medium. Quality analysis of C. sinensis revealed that CI-1, which was imported from China, smelled bad and proved to be a counterfeit with the fruiting body glued to the insect by twigs. The results of the proximate analysis of 901A, 901B, 901C, and 901D were similar to those of J2P with respect to the moisture content. Otherwise, J2P contained higher crude protein than 901A, 901B, 901C, and 901D, but contained very low fat. C. militaris (901D) and C. sinensis (CI-1) had low crude protein content-12.79% and 9.78% respectively-as compared to that of J2P, which was 62.38%. In contrast to the crude ash content of 6.4% in J2P, the crude ash content of CI-1 was 18.51% and this specimen was found to contain many impurities. phylogenetic analysis of P. tenuipes revealed that the sequence similarity of J2P, 901B, and 901C was in the range of 92.3~92.7%.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sequences were found at the positions 65 bp, 436 bp, 441 bp, 463 bp, etc.

HPLC-UVD를 이용한 농산물 중 Fluxapyroxad 잔류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for Fluxapyroxad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HPLC-UVD)

  • 권지은;김희정;도정아;박혜진;윤지영;이지영;장문익;이규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4-240
    • /
    • 2014
  • 플룩사피록사드는 카복사마이드계 살균제로 효소 작용을 억제하여 식물체 내 존재하는 균사의 성장을 막는 역할을 한다. 2012년 미국에서 최초로 사용 등록 되었으며 국내에서는 국외의 기준 요청 및 수입식품의 안전관리를 위해 사과, 배에 잔류허용기준이 고시되었다. 플룩사피록사드는 증기압이 낮아 GC로의 분석이 어렵고, 아마이드기를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징을 이용해 UV 영역 특정파장에서 흡광도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어 분석을 위한 기기로 HPLC-UVD를 선택하였다. 추출용매로는 추출효율을 비교하고, 각 용매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아세토니트릴로 하였고, 2단계의 정제 과정을 통해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정제 1단계는 액-액 분배로 증류수, 디클로로메탄, 포화식염수를 이용한 층분리를 통해 극성의 간섭물질을 제거하였고, 정제 2단계는 실리카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혼합액의 정제효율을 비교하여 디클로로메탄 10 mL와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5/95, v/v) 2 mL로 씻어내고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혼합액(5/95, v/v) 15 mL로 용출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이 때 본 분석법에 의한 플룩사피록사드의 정량한계는 0.05 mg/kg, 검출한계는 0.01 mg/kg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분석법의 선택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0.05 mg/kg, 0.5 mg/kg의 처리농도로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이 80.64~113.96%, 분석오차는 10% 미만으로 나타나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 40)에 적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이 공정분석법으로의 신뢰성을 갖기 위해 LC-MS를 이용하여 재확인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382 m/z가 최적화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플룩사피록사드의 안전관리를 위해 선택적이고 신뢰성 있는 분석법으로 적극 활용될 것이다.

Skipping breakfast i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adults

  • Min, Chan-Yang;Noh, Hwa-Young;Kang, Yun-Sook;Sim, Hea-Jin;Baik, Hyun-Wook;Song, Won-O.;Yoon, Ji-Hyun;Park, Young-Hee;Joung, Hyo-J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5호
    • /
    • pp.455-463
    • /
    • 201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skipping breakfast on diet quality and 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in healthy Korean adults. Subjects included 415 employees (118 men, 297 women; 30-50 years old) of Jaesang Hospital in Korea and their acquaintances. Data collected from each subject includ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3-day dietary intake, blood pressure, and blood analys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days they skipped breakfast: 'Regular breakfast eater', 'Often breakfast eater', or 'Rare breakfast eater'. Participants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consumed less rice, potatoes, kimchi,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 milk and dairy products, and sweets than did participants in the other two groups (P for trend <0.05) and ate more cookies, cakes, and meat for dinner (P for trend <0.05). Participants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consumed less daily energy, fat, dietary fiber, calcium, and potassium than did participants in the other groups (P for trend <0.05). The percent energy from carbohydrates was lower and fat intake was higher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 for trend <0.01). When diets were compared using the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for Koreans, 59.1% of subjects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consumed more energy from fat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P <0.005). According to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for Koreans, intake of selected nutrients was lower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P <0.05). The risk of elevated serum triglycerides was decreased in the 'Rare breakfast eater' group (OR, 0.3 [0.1-1.0], P for trend=0.0232). We conclude that eating breakfast regularly enhances diet quality, but may increase the risk of elevated serum triglycerides.

식사구성안의 생애주기별 권장 식단의 영양 적정성 분석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Nutritional Adequacy Analysis of Recommended Menu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 김영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8
    • /
    • 2017
  • Objectives: Recommended Menu (RM) prepared according to the Target Pattern expected to meet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DRI) of nutrients. Nutritional adequacy of RM in 'DRI for Koreans 2015' were analyzed to verify whether such expectation was fulfilled. Methods: Dishes in RM are categorized by 5 food groups, and number and types of dishes for main meal and between-meals were analyzed. The energy and 12 nutrients (protein, dietary fiber, Ca, P, Fe, Na, K,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contents in 10 RMs were calculated using the food composition table (CD) in 'DRI for Koreans'. Energy, energy contribution ratio, and nutrient contents in 10 RMs for 18 age group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DRI for Koreans 2015'. Results: Number of dishes per meal were 4.83, and representative table setting consisted of cooked rice + soup (or stew) +3 side dishes. Energy contents of RM were 75~109%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None of the RM met the DRI of all 12 nutrients examined. Calcium was the most insufficient nutrient. Only 1-2 years' RM met the DRI, all the other RMs did not meet the calcium DRI. Dietary fiber and potassium contents were also insufficient in most RM. In adult male's RM, only 1 nutrient, i.e. calcium did not meet the DRI, but in female adult's RM, 5~6 nutrients did not meet the DRI. Energy contribution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n RM were 59.0~70.4%, 15.7~17.5%, 12.1~23.5%, respectively. And 4 RMs out of 10 exceeded the upper limit of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MDR) of carbohydrate and 3 RMs out of 10 RM were below the lower limit of fat AMDR. Contribution ratio of nutrients were ${\geq}40%$ by food groups were as follows: grain group in energy and carbohydrate; meat fish egg legume group in fat, protein, and niacin; vegetables group in dietary fiber, vitamin A, and vitamin C; milk dairy products group in calcium. Conclusions: RM prepared according to the Target Pattern did not meet nutritional adequacy as expected. Especially calcium, potassium, and dietary fiber contents are needed to be increased in many RMs. Further, energy content in RM needs to be adjusted for fat sugar food group assigned in Target Pattern and condiment.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기구 재질별 소독실태 및 영향 요인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 Equipments Used to Foodservice of Elementry Schools in Busan)

  • 김이선;전영수;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69-977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사 160명을 대상으로 HACCP시 시스템 적용을 위해 급식기구 재질별 소독실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급식기구 소독방법으로 스템제품중 식판은 전기가스식 소독 작업대 및 기타 스텐제품은 화학소독(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열탕소독을 주된 소독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야채절단기, 분쇄기 탈피기의 51.0%이상은 사용후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무제품은 역시 화학소독 (차아염소나트륨)과 열탕소독을 사용하여 소독을 잘 실시하고 있었으나 플라스틱 제품에 있어 위생도마를 제외한 빨간 플라스틱 통바가지, 밥주걱의 30% 가량은 사용후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독시기에 있어 칼의 경우 수시로 소독을 실시하는 경우가 37.2%, 나무주걱의 경우는 30.9%로 이들 기구를 수시로 소독해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밥주걱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이 수시로 소독을 실시해야 하나 빨간플라스틱통의 53.5%, 바기지 45.9%, 위생도마의 45.8%만이 수시로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기구 소독횟수에 있어 대부분의 급식기구가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반찬통, 야채절단기, 탈피기, 분쇄기, 나무주것은 다른 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나 이들 기구류에 대한 위생적 취급이 요구되어졌다. 초등학교 급식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곧방법은 영양사, 나이, 경력, 및 급식학생수, 급식실시기간, 배식형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소독을 실시하지 않은 비율에 잇어서 영양사 나이 30대와 근무경력 6~10년 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급식실시기간 6년이상과 교실과 식당을 병행하는 배식형태에서도 소독이 잘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급식기구 소독시기도 영양사 나이와 학력, 배식형태에의해 영향을 받고 잇었으며 소독횟수는 조리종사원수, 급식학생수, 급식실시기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스텐재질의 야채절단기, 탈피기, 분쇄기 및 나무주걱과 플라스틱 제품의 소독방법에 대한 미생물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것이며, 아울러 급식소 소독실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양사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농산물(農産物) 건조(乾燥) 및 저장(貯藏)을 위(爲)한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olar Warehouse for Drying and Stor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 김만수;장규섭;김성래;전병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57-370
    • /
    • 1982
  •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곡물(穀物)의 건조(乾燥)와 저장(貯藏)을 겸할 수 있는 농가용(農家用)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구조(構造)가 간단(簡單)하고 가격(價格)이 저렴한 콘크리트 벽체의 저장고(貯藏庫)와 그 지붕을 대신(代身)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를 설계(設計) 제작(製作)하여 집열기(集熱器)의 성능(性能)을 실험(實驗)에 의(依)하여 구(求)하였으며 집열기(集熱器)에서 가열(加熱)된 공기(空氣)와 상온통풍(常溫通風)에 의(依)한 벼의 건조특성(乾操特性)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건조(乾操)된 곡물(穀物)의 저장시(貯藏時)에 그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개발(開發)하여 그 적합성(適合性)을 검정(檢定)하고 저장곡물(貯藏殺物)의 각(各) 부위(部位)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실험(實驗)에 설계(設計) 제작(製作)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의 효율(效率)은 평균(平均) 26%였으며 총열전달계수(總熱傳達係數)는 약(約) $25kJ/hr.m^2\;^{\circ}K$였다. 2.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에서는 공시(供試)벼의 함수율(含水率) 23.5%에서 15.0%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7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상온통풍건조(常溫通風乾燥)에서는 함수율(含水率) 20.0%에서 15.5%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12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3. 건조소요시간(乾燥所要時間)은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가 배(倍) 정도(程度) 빠르나 하층부(下層部)의 곡물(穀物)의 과건현상(過乾現象)의 방지책(防止策)이 철저히 구명(究明)되어야 할 것이다. 4.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finite difference method에 의(依)해 개발(開發)하였으며 검정(檢定) 결과(結果) 실측치(實測値)와 잘 일치(一致)되었다. 5.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 변화(變化)는 벽체와 접촉(接觸)하고 있는 부위(部位)에서 컸으며 곡물(穀物)의 손상(損傷)도 이곳에서 심(甚)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