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6초

QTLs Identification and Confiirmation of Field Resistance to Leaf Blast in Temperate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 Cho, Young-Chan;Kwon, Soon-Wook;Suh, Jung-Pil;Kim, Jeong-Ju;Lee, Jeom-Ho;Roh, Jae-Hwan;Oh, Myung-Kyu;Kim, Myeong-Ki;Ahn, Sang-Nag;Koh, Hee-Jong;Yang, Sae-Jun;Kim, Yeon-Gyu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269-276
    • /
    • 2008
  • Field resistance is defined as the resistance that allows effective control of a parasite under natural field condition and is durable when exposed to new races of that parasite. To identify the genes for field resistance to rice blast,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conferring the resistance for races and blast nursery screening in japonica rice cultivars were detected and mapped using SSR markers. QT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190 RILs population from the cross between Suweon365 (moderately resistant) and Chucheong (highly susceptible). Twelve QTLs against nine blast races inoculated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1, 2, 4, 6, 7, 11 and 12. They explained from 5.1% to 34.9% of total phenotypic variation. Eight QTLs against blast nursery screening in four regions for three years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1, 2, 4, 11 and 12. The phenotypic variation explained by each QTL ranged from 4.3% to 37.7%. Three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CSSLs) of $BC_2F_6$ by backcross method were developed to transfer the QTLs into the susceptible cultivar Chucheong as a recurrent parent. A CSSL4-1 containing two QTLs qLB6.2 and qLB7 against blast races showed to the reaction of 6 to 7 at blast nursery in two regions for two years. The CSSL4-2 and CSSL93 containing QTLs, qLB11.2 and qLB12.1 of the resistance against leaf blast in blast nursery screening, respectively, had enhanced the resistance for blast nursery screening across two regions and in two years.

  • PDF

냉각저장방식에 따른 백미의 냉각 및 저장특성 (Cooling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by Different Cooling Storage Methods)

  • 김의웅;김훈;임태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8-4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열전반도체를 사용한 강제송풍식과 기계식냉동시스템을 사용한 정지공기식 냉각저장고를 이용하여 냉각방식에 따른 백미의 냉각특성과, 저장중 백미의 품질특성을 구명하였다. 강제송풍식과 정지공기식에서 냉각속도는 각각 $0.30^{\circ}C/hr,\;0.21^{\circ}C/hr$으로 강제송풍식이 빨랐으나, 냉각공기의 편차와 저장고 각 위치별로 백미의 온도편차가 정지공기식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다. 14주간의 백미저장실험 결과, 강제풍통식에 저장한 백미의 함수율은 저하하였지만 백미의 지방산가, b값과 밥의 관능적 품질은 정지공기식에 저장한 경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강제송풍식의 경우 냉각공기 편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구로서 $25^{\circ}C$ 상온챔버에 저장한 경우는 냉각저장구에 비해 백미의 함수율, b값 및 지방산가와 밥의 관능적품질에서 현저하게 빨리 품질이 저하하였다. 특히, 지방산가는 저장 6주 이후에 안전저장한계인 20 mL KOH/100g-dry matter를 초과하였으며, 밥의 관능적 품질도 저장 4주후부터 냉각저장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벼 이삭목도열병(病)의 감염(感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Neck Blast Infection of Rice Plant)

  • 김홍기;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6-241
    • /
    • 1985
  • 이 연구(硏究)는 목도열병(病)의 감염시기(感染時期)와 조직내(組織內) 감염속도(感染速度) 및 감염(感染)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전염원(傳染源)의 소재(所在), 엽초내외의 제조건(諸條件) 등(等)을 구명(究明)하여 합리적(合理的)인 방제체계(防除體系)를 확립(確立)하는 자료(資料)를 얻고자 실시(實施)하였다. 1. 벼 이삭목도열병(病)의 감염(感染) 최성기(最盛期)는 수잉기(穗孕期)였으며 그 다음이 출수기(出穗期)로 이 시기(時期)에 대부분의 이삭목이 감염(感梁)되고 있었다. 그러나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은 출수후(出穗後)에도 환경(環境)에 따라 높은 감염(感染) 가능성(可能性)을 갖고 있었다. 2. 벼 이 삭목도열병(病)의 잠복기간(潛伏期間)은 자연조건하(自然條件下)에서 10~22일(日)로 그 변동복(變動福)이 넓었다. 인공접종시(人工接種時) 이삭이 어릴수록 잠복기간(潛伏期間)은 짧았고 감염속도(感染速度)가 심(甚)했으나 지엽절(止葉節) 밖으로 추출(抽出)한 이삭목은 잠복기간(潛伏期間)도 길고 발병률(發病率)도 낮았으며 조직내(組織內) 감염속도(感染速度)가 늦었다. 3. 이삭목도열병(病)의 약제방제(藥劑防除) 적기(適期)는 도열병균(稻熱病菌)의 감염(感染) 최성기(最盛期)와 잠복기간(潛伏期間)을 고려(考慮)할 때 속효성(速效性) 약제(藥齊)는 출수(出穗)5~10일전(日前), 지효성(遲效性) 약제(藥齊)는 10~15일전(日前)으로 추정(推定)된다. 4. 도열병균(病菌) 포자(胞子)의 엽초내 침투(浸透)는 주(主)로 지엽(止葉)을 포함(包含)한 상위(上位) 3개엽(個葉)에서 이루어졌고 강우(降雨)나 이슬, 일액(溢液) 등(等)과 함께 엽초 봉합부(縫合部)에서 침윤현상(浸潤現象)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침투율(浸透量)은 수도(水稻)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수잉기(穗孕期)가 가장 많았다. 포자(胞子)의 엽초내 침투(浸透)는 엽설(葉舌)이 크게 저지(沮止)하고 있었다. 5. 엽초내에 침투(浸透)한 포자(胞子)의 이삭에의 부착량(附着量)은 형태적(形態的)으로 복잡(複雜)한 수수절(穗首節)과 수축절(穗軸節)이 가장 많았고 이에는 모용(毛茸)와 퇴화지경(退化枝梗)이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고 있어 이들이 목도열병(病) 감염(感染)을 조장(助長)하고 있었다. 6. 벼 이삭목도열병(病) 감염(感染) 가능(可能) 포자농도(服子濃度)는 계통간(系統間) 차이(差異)가 있어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은 일반계(一般系)보다 낮은 100개(個) 이하(以下)의 포자농도(胞子濃度)에서도 쉽게 감염(感染)이 되었으며 발병지수(發病指數)도 매우 높아 그 피해(被害)가 더욱 심(甚)했다. 7. 벼 이삭목도열병(病)과 상관(相關)이 높은 이삭목의 질소함량(窒素含量)과 규소함량(硅數含量)은 벼 생육기간(生育時期)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어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수잉기(穗孕期)에서 출수기(出穗期)로 갈수록 증가(增加)를 보였고 그 후 다소(多少) 감소(減少)하고 있었다. 규소함량(硅數含量)은 수잉기(穗孕期)로부터 점차 증가(增加)하고 있어 이들 체내성분(體內成分)의 변화(變化)가 목도열병(病)의 발병(發病)을 조장(助長)하고 있었다. 8. 도열병균(稻熱病菌) 포자(胞子)의 비산(飛散)은 대다수 수직(垂直) 방향(方向)으로 상승(上昇)또는 하강(下降)하여 도체(稻體)에 부간(附看)하였으며 수평(水平)으로 이동(移動)하는 포자(胞子)는 극(極)히 적어 출수후(出穗後)의 이삭목에 부간(附看)하는 포자수(胞子數)가 적으므로 출수후(出穗後) 목도열병(病) 감염율(感染率)은 매우 낮을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도체(稻體) 상하위간(上下位間)의 온도차(溫度差)에 의(依)한 공기(空氣)의 이동(移動)은 포자비산(胞子飛散)에 대(對)한 하나의 원인(原因)이었다. 9. 출온기(出穩期)를 전후(前後)한 포자비산(胞子飛散)이 가장 목도열병발병(病發病)과 상관(相關)이 높았으며 지엽(止葉)을 포함(包含)한 상위(上位) 3개엽(個葉)에 형성(形成)된 병반(病斑)이 출수(出穗)를 전후(前後)한 시기(時期)에 포자형성량(胞子形成量)이 많아 직접(直接) 목도열병(病) 전염원(傳染源)으로서 크게 작용(作用)하고 있었다. 10. 엽초내 환경조건(環境條件)은 목도열병(病) 감염(感染)에 극(極)히 호적(好適)하여 엽초내에서 도열병균(病菌)의 침해(侵害)를 받는 경우 품종(品種)의 내병성(耐病性), 시복수준(施服水準)의 차이(差異)에 관계(關係)없이 이삭목이나 지경(枝梗), 인, 마디, 마디사이 등(等) 도체(稻體)의 어느 부위(部位)라도 감염(感染)이 이루어졌다. 11. 엽초내에 침투(浸透)한 우고균(優古菌) 중에서 벼 갈색엽고병균(病菌)인 Gerlachia oryzae 만이 발병(發病)을 다소(多少) 조장(助長)할 뿐 기타(其他)의 균(菌)들은 영향(影響)이 적었으며 품종(品種)의 출수소요일수(出穗所要日數)의 장단(長短)이 목도열병(病) 감염(感染)과 관련(關連)이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Screening of Rice Blast Resistance Genes from Aromatic Rice Germplasms with SNP Markers

  • Kim, Jeong-Soon;Ahn, Sang-Nag;Kim, Chung-Kon;Shim, Chang-K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70-79
    • /
    • 2010
  • Rice blast is one of the serious devastating disea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ies of blast resistance (R) genes form 86 accessions of aromatic rice with eight SNP markers, z4792, zt4792, z60510, zt6057, k6415, k6411, k39575 and t256, which showed the close-set linkage to 6 major genes, Piz, Piz-t, Pik, Pik-m, Pik-p, and Pit. Four accessions of indica type, Mayataung, Yekywin Yinkya Hmwe, Basmati9-93, and Basmati5854, showed the positive amplicons of six major genes. Among 86 accessions, 83 accessions were detected both or one of Piz and Piz-t genes. Seventy three accessions contained the Piz gene with z4792 marker. In addition, 30 and 71 accessions possessed Piz-t gene with zt4792 and zt6057 markers, respectively. Ten accessions showed the positive bands for the Piz-t gene with both zt4792 and zt6057 markers. Only one accession, Khau Nua Keo, was not amplified for both Piz and Piz-t gene. But japonica type, Gerdeh, possessed only Piz gene between Piz and Piz-t. Fifty two accessions showed the three of Pik multiple genes and Pit gene. Four accessions, Iari7447, Daebunhyangdo2, Shiyayuuine, and Basmati 6129 possessed a Pik-p gene. Especially, Pit gene on chromosome 1 was detected with t256 marker in all of 83 accessions, exception of A-2, one accession of japonica type.

Study of Thiazoline Derivatives for the Design of Optimal Fungicidal Compound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 Han, Won-Seok;Lee, Jin-Kak;Lee, Jun-Seok;Hahn, Hoh-Gyu;Yoon, Chang-N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5호
    • /
    • pp.1703-1706
    • /
    • 2012
  • Rice blast is the most serious disease of rice due to its harmfulness and its world wide distribution. $Magnaporthe$ $grisea$ is the cause of rice blast disease and destroys rice enough to feed several tens of millions of people each year. Fungicides are commonly used to control rice blast. But $M.$ $grisea$ acquires resistance to chemical treatments by genetic mutations. 2-Phenylimino-1,3-thiazolines were proposed as a novel class of fungicides against $M.$ $grisea$ in the previous study. To develop compounds with a higher biological activity, a new seri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was synthesized and its fungicidal activity was determined against $M.$ $grisea$. The QSA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seri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The QSAR results showed the dependence of fungicidal activity on the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featur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guidelines for the study of the mode of action and further design of optimal fungicides.

Streptomyces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ice Blast Causing Fungus, Magnaporthe grisea

  • Lee, Chul-Hoon;Kim, Bum-Joon;Choi, Gyung-Ja;Cho, Kwang-Yun;Yang, Hee-jung;Shin, Choon-Shik;Min, Shin-Young;Lim, Yo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6호
    • /
    • pp.1026-1028
    • /
    • 2002
  • Screening tests against fungus causing rice blast, Magnaporthe grisea,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biopesticides. More than 400 actinomycetes collected at several sites near Hanla Mountain on Jeju Island, Korea were tested, and strain BG2-53 showed potent antifungal activity. The in vivo screening was performed with fermentation broth, and the strain taxon was identified.

벼도열병에 대한 품종의 지속저항성 발현요인에 관한 연구 1. 벼도열병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 개발 (Factors Affecting the Expression of Durable Resistance of Rice Cultivars to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1. Selection of Durably Resistant Cultivars for Rice Blast)

  • 라동수;오정행;류재당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1-236
    • /
    • 1996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의 도열별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을 조기에 선발, 보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색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온실 유묘검정, 밭못자리 및 포장검정을 통하여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고 재배면적과 재배기간을 참고로 하여 지속저항성 품종을 선발하였다.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으로는 다양한 레이스에 침해되면서 개체당 병반수 20개 이내, 밭못자리검정에서는 평균 발병정도 5이하, 본답에서의 잎도열병은 병반면적율 0.5%이하, 이삭도열병 발생은 이병수율 5% 이내로 병발생이 비교적 적은 섬진벼, 팔공벼 및 동진벼를 선발하였고, 지속저항성 품종으로는 재배기간이 10년 이상 유지되면서 재배면적은 전체재배 면적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품종 중 장기간 동안 저항성을 발현하는 동진벼를 선발하였다.

  • PDF

목도열병의 잠복기간구명 시험 (Investigation of Incubation Period of Neck Blast in Rice Plants)

  • 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7-292
    • /
    • 1983
  • 수잉기에 지엽엽초내의 유수를 도열병균포자현탁액으로 주사접종후 목도열병병징발현시의 잠복기간을 구명하였다. 접종일로부터 병징발현시까지 $10.9\~15.1$일이 소요되었는데 병원균의 발아, 부착기형성, 침입, 감염이 일어나기까지의 소요일수 약 2일간을 감안할 때 목도열병의 잠복기간은 9일에서 13일 사이로 측정되었다.

  • PDF

한국 도열병균 KI-409 race의 급격한 증가 현황과 원인 분석 (Analysis of Rapid increase of Rice Blast Fungus Race KI-409 in Korea)

  • 한성숙;최성호;나동수;은무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5-709
    • /
    • 1998
  •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grisea) race KI-409 that has been rapidely increased since 1993 and became predominant in 1995 in Korea were investigated. Varietal resistance of current commercial cultivars of rice to the race was also tested in this study. The race KI-409 was first isolated from rice cv. Namyangbyeo in 1985. Since 1985 the race had been isolated mainly from the rice cultivars having BL1 BL7 pedigree as a resistance source. Distribution ratio of the race in 1995 was 23.7% in average and became a predominant in the P. grisea population in Korea. The race distributed widely and found in all the eight provinces in Korea. Many commercial cultivars such as Chucheongbyeo as well as those with BL1 or BL7 as a genetic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the race KI-409.

  • PDF

수도(水稻)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의 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시비수준(施肥水準)의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Level of Fertilizers on Blast Disease Occurrence of Tongil-line of Rice)

  • 김홍기;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97-104
    • /
    • 1979
  • 새로운 도열병균의 생태형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은 수도 통일계 품종 밀양 23호의 도열병의 발생경과와 발생양상에 미치는 시비수준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동안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체로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밀양 23호는 도열병에 대하여 감수성이 더욱 높아지며 발병과 시비 수준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인정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는 마디도열병이나 이삭목도열병의 발생보다도 잎도열병 발생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시비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마디도열병이냐 목도열병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며 시비수준이 높은 경우의 마디 또는 이삭목도열병의 발생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시비수준을 조절하므로서 마디 또는 목도열병을 회피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할지 모르며 또한 잎도열병의 발생상으로부터 목도열병을 예찰한다는 것도 곤란한 일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