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G-CSF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18초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rhG-CSF)의 투여 용량에 따른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 of Different Doses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rhG-CSF) on Neonatal Sepsis Complicated by Neutropenia)

  • 최문영;정연숙;손동우;안효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39-448
    • /
    • 2002
  • 목 적 :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의 치료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rhG-CSF(recombinant human granulocy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투여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용량의 rhG-CSF를 투여함으로써 나타나는 신생아 패혈증에 합병된 호중구 감소증의 치료와 환아들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비교하려고 하였다(group I/II형 연구). 방 법: 1995년 10월부터 1996년까지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는 모두 10명으로 이들에게는 $10{\mu}g/kg$을 피하주사 하였고(rhG-CSF $10{\mu}g/kg$ 투여군), 1996년 10월부터 1997년 9 월까지는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는 모두 12명으로 이들에게는 rhG-CSF를 $5{\mu}g/kg$ 피하주사 하였다(rhG-CSF $5{\mu}g/kg$ 투여군). 각 군의 호중구 증가 정도와 임상적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RhG-CSF $10{\mu}g/kg$ 투여군은 조발형 신생아 패혈증 1명과 지발형 신생아 패혈증 9명으로 이루어졌고, 모두에게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되었다. rhG-CSF $5{\mu}g/kg$ 투여군은 조발형 신생아 패혈증 1명과 지발형 신생아 패혈증 11명이 대상이 되었고, 이들 모두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되었다. 두 군간에 출생체중, 재태주령, 항생제 사용, 신생아 패혈증 시기에 기계적 환기요법 투여, 승압제로 dopamine 투여 또는 다른 지지적 요법의 투여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rhG-CSF 투여 전의 순 호중구 수(ANC)는 rhG-CSF $10{\mu}g/kg$ 투여군이 $1,065{\pm}89$($mean{\pm}SEM$), $5{\mu}g/kg$ 투여군이 $1,053{\pm}131$로 차이가 없었다. 투여 후의 ANC의 증가는 rhG-CSF $10{\mu}g/kg$ 투여군과 $5{\mu}g/kg$ 투여군에서 각각 투여 후 24시간에 7배, 6배, 투여 후 48시간에 10배, 6배, 투여 후 72시간에 8배, 4배, 투여 후 120시간에 8배, 4배로 투여 전에 비하여 두 군 모두에서 각 시간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repeated measure ANOVA와 Kruskall-Wallis test, within subjects effect). 그러나 두 군 간의 차이는 투여 후 48시간에 ANC 최고치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student t-test와 Wilcoxon rank sum test). 단핵구 수도 이 기간 동안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정상범위를 넘지는 않았다. rhG-CSF $10{\mu}g/kg$ 투여군에서 1명의 환아가 자의 퇴원하였고, 1명의 환아가 사망하여 신생아 패혈증에서 회복하여 문제없이 퇴원한 생존율은 자의 퇴원 환아를 제외한 9명 중 8명으로 88.9%였고, rhG-CSF $5{\mu}g/kg$ 투여 군은 12명 중 10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83.3%였다. 두 군 모두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RhG-CSF의 투여는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극심한 신생아 패혈증 환아에서 호중구의 증가를 일으켰다. 두가지 투여 용량에 따르는 효과는 거의 동일하였으며, 단지 투여 후 48시간에 ANC 최고치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두 군의 생존율은 80%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rhG-CSF의 투여 효과는 골수 억압이나 호중구 소모에 의하여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시기적으로 적절히 투여하면 효과적인 치료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rhG-CSF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하여 무작위 대조실험이 필요시 된다.

Long-acting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rhG-CSF) with a Trimer-Structured Polyethylene Glycol

  • Jo, Yeong-Woo;Lee, Mee-Yong;Choi, Yun-Kyu;Lee, Sung-Hee;Kang, Soo-Hyoung;Na, Kun;Youn, Yu-Seok;Choi, Eung-Chi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6호
    • /
    • pp.379-386
    • /
    • 2010
  • Mono PEGylated rhG-CSF (PEG-G-CSF) prepared by utilizing unique PEG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by cation-exchange chromatography. A unique, trimer-structured PEG was chosen for PEGylation of rhG-CSF among various PEG moieties. The in-vitro bioactivity, st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mono-PEG-G-CSF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those of native rhG-CSF. Mono PEG-G-CSF exhibited reduced in-vitro bioactivity to native rhG-CSF but showed an excellent in-vivo bioactivity and stability. Furthermore, it showed markedly reduced clearance in rats, thereby increasing the biological half-life by about 4.5-fold compared to that of native rhG-CSF.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unique, trimer-structured 23 kDa PEG can provide advantages to improve the bioactivity of therapeutic proteins in clinical use.

인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제제인 HM10411와 필그라스팀의 정맥, 근육 및 피하 주사시 흰쥐와 마우스에서의 약물 동태 (Pharmacokinetics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rhG-CSF) Following Intravenous,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HM10411 and Filgrastim to Rats and Mice)

  • 김인화;이상훈;김영민;정성엽;권세창;이관순;정석재;심창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2호
    • /
    • pp.89-94
    • /
    • 2001
  • The pharmacokinetics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rhG-CSF) following intravenous (i.v.), intramuscular (i.m.) and subcutaneous (s.c.) administration of HM1041l-lyo and HM10411-liq (lyophilized and liquid formulations of rhG-CSF, recently under development by Hanmi Pharmaceutical Company) were studied in rats, and compared with that of Filgrastim (conventional formulation of rhG-CSF on market). The plasma concentration of rhG-CSF was quantified using a specific ELIS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rhG-CSF, after i.v., i.m. and s.c. administration of Filgrastim, HM1041l-lyo and HM1041l-liq to rats at a rhG-CSF dose of $10\;{\mu}g/kg$, were almost identical among the three formulations. No dose-dependency was observed i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rhG-CSF following i.v. administration in the dose range of $5{\sim}100\;{\mu}g/kg$. rhG-CSF, after i.v. administration of the three preparations at a dose of $10\;{\mu}g/kg$ to rats, was detected at low levels in all of the body tissues with highest tissue/plasma ratio of $0.46{\sim}0.51$ for the kidney at 30 min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pharmacokinetics of rhG-CSF, after i.v. administration to mice at a dose of $10\;{\mu}g/kg$, were comparable among the three formulations. In conclusion, HM10411-lyo and HM10411-liq exhibited similar pharmacokinetics for rhG-CSF with Filgrastim regandless of animal spec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HM10411 series, contrary to Filgrastim, are proteins lacking a methionine residue, the methionine moiety in rhG-CSF molecule does not appear to influence the pharmacokinetics of the protein significantly.

  • PDF

대장균에서 증식속도 조절에 의한 수용성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촉진인자의 생산 (Production of Soluble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E. coli by Control of Growth Rate.)

  • 박세철;고인영;강희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1
    • /
    • 2004
  •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는 골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호중구의 분화 및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재조합 hG-CSF는 암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감소증, 골수이식시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에 수반되는 호중구 감소증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pA signal sequence를 삽입하여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가 분비발현되도록 고안된 T7 promoter 에 의하여 발현되는 pYRCl 발현백터를 제조하였다. E. coli BL2l (pYRCl) 발현시 $37^{\circ}C$에서 배양하는 경우 많은 양의 봉입체(aggregates)를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10\mu$M ucose를 포함하는 변형된 MBL배지에서 10 g/$\ell$IPTG를 유도물질로 7시간동안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전체 periplasm단백질의 15%가 soluble rhG-CSF이었다. 또한, 유가식 배양방법을 사용하여 E. coli BL2l(pYRCl)에서 soluble rhG-CSF의 생산조건을 조사하였다. 유가식 배양에서 rhG-CSF의 발현량이 비증식속도를 $0.43 h^{-1}$ 에서 0.14 $h^{-1}$ 으로, 유도 배양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rhG-CSF의 발현량이 4.4mg/$\ell$에서 24mg/$\ell$ 로 증가하였다.

새로운 재조합 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DA-3030의 변이원성연구 (Mutagenicity Study of DA-3030, A New Recombinant Human G-CSF(rhG-CSF))

  • 강경구;최성학;김옥진;안병옥;백남기;김계원;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3호
    • /
    • pp.286-291
    • /
    • 1994
  • The mutagenicity of DA-3030(rhG-CSF)was studied by reverse mutation test, chromosome aberration test and micronucleus test. The reverse mutatuon test in bacteria was perform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TA98, TA1535 and TA1537 with rhG-CSF in any of the concentrations(150, 75, 37.5, 18.75, 9.375 and 4,6875 $\mu\textrm{g}$/plate),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in each strain was observed, irrespective of treatment with the metabolic activation system(S-9 mix)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as carried out using CHL cells, cell line from chinese hamster lung. With 4 doses(75, 37.5, 18.75 and 9.375 $\mu\textrm{g}$/ml) of rhG-/CSF the cells were treated for 24 or 48 hours in the direct method or for 6 hours followed by 18 hour-expression time in the metabolic activation metho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by the direct method or metabolic activation method, no trend toward increase in the number of aberrant metaphase. The micronucleus test was carried out using ICR mice at the age of 8 weeks. Three doses(862.5, 1725 and 3450 $\mu\textrm{g}$/kg) of DA-3030 were admint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single shot and bone marrow cells were sampled at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Neither the number of polychromatic erythrocytes with micronuclei nor the ratio of normochromatic erythrocytes to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creased singinficantly in each dose, compared with a vehicl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G-CSF has not mutagenic potential under the condiions.

  • PDF

항암약물요법후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환자에서 rhGM-CSF의 제2상 임상연구: rhGM-CSF의 용량에 대한 효과비교

  • 라선영;이경희;정현철;이혜란;유내춘;김주항;노재경;한지숙;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3-313
    • /
    • 1994
  • 대상환자는 40예중 37예에서 평가가 가능하였고 남녀비는 11:26. 중앙연령 42세 이었으며 대상질환은 위선암 12에, 유방암 10예. 골옥종 5예등 이었다. rhGM-CSF에 의한 부작용은 150.250 $\mu\textrm{g}$/$m^2$/d 용량군에서는 Grade I-II의 전신쇠약감, 근육통.심계항진등이 관찰되었으나 특별한 조치없이 회복되었다. 350$\mu\textrm{g}$/$m^2$/d 용량군에서는 8예에서 WHO grade II-III의 전신쇠약, 전신열감,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였고 1예에서 투여 1일러 WHO gradeIII의 피부반응이 나타났으며, 이 중 2예에서는 rhGM-CSF를 250 $\mu\textrm{g}$/$m^2$/d로 감량투여후 상시 증상이 소실되었다. rhGM-CSF 투여전의 대조기와 투여기의 혈액학적 소견 비교시. 평균 중성구 최저치는 세 용량군에서 모두 관찰기에 비해 시험기어서 증가하였고. 평균 총 백혈군 최저치는 150.350 $\mu\textrm{g}$/$m^2$/d 용량군은 차이가 있었고 250 $\mu\textrm{g}$/$m^2$/d 용량군은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혈구치가 최저치에서 4.000/㎣ 이상으로 회복되는 평균일수와 호중구치가 최저치에서 2.000/㎣ 이상으로 회복되는 평균일수는 세 용량군 모두에서 관찰기어 비해 시험기에서 증가하였다. 고용량 항암약물요법후 중성구 감소에 의한 발열은 rhGM-CSF 비투여기에서 18예. rhGM-CSF 투여기에서 8예 관찰되었다고 발열기간은 각각 5-7일. 2-3일 이었다. 임상 양상은 세 용량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시험기에서 발열의 발현율이 낮았으며, 발열일 수와 항생제 사용일 수가 짧았다. 결론: 골수억제 조절 효과는 용량에 따른 혈액소견에 미치는 영향, 부작용, 감염의 빈도, 감염발생에 따른 항생제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그 임상 유효성 평가시, 제 3상 시험에 사용할 권장량 (recommended dose) 은 250 ug/$m^2$/d $\times$ 10d 으로 관찰되었다.

  • PDF

인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제제인 HM10411 (rhG-CSF)의 국소자극성 (Local Irritation Test of HM10411 (rhG-CSF) in Rabbits)

  • 차신우;한정희;김충용;서정은;김종춘;권세창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3호
    • /
    • pp.170-174
    • /
    • 2002
  • The local irritation study (skin and occular irritation tests) of HM10411, a rhG-CS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was carried out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HM10411 was applied to the bare skin at a dose of 2.5 mg/rabbit (5.0 mg/ml, 0.5 ml) and to the conjunctival sac of eye at a dose of 0.5 mg/rabbit (5.0 mg/ml, 0.1 ml) ,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re were no clinical signs which were related to HM10411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From above results, HM10411 has not any irritating activity to skin and eye in rabbits.

개에서 재조합 과립구 자극 인자 (rh G-CSF)의 투여 간격에 따른 말초혈액과 골수의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Responses Depends on the Frequency of rhG-CSF Administration in Dogs)

  • 김지현;지초희;원진희;정해원;문종현;조규완;강병택;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7-84
    • /
    • 2014
  • 본 연구는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 (rhG-CSF) 투여 간격에 따른 말초혈액과 골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는 개에서 항암치료 후 나타나는 골수억압 등에서 유용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투여간격에 따른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간격으로 실험 기간 동안 각각 2마리씩 3그룹으로 체중당 $5{\mu}g$으로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를 주사하였다; (1) 하루에 한번 주사; 그룹 1, (2) 2일에 한번 주사; 그룹 2, (3) 3일에 한번 주사; 그룹 3, 말초혈액 분석과 100개의 직접 현미경 세포계수는 매일 실시하였다. 골수천자는 0일차, 3일차 9일차 마지막으로 말초혈액상 총 백혈구수가 정상범위내로 떨어지는 12일차 혹은 13일차에 시행하였다.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는 모든 실험견에서 잘 투여되었으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체중당 $5{\mu}g$의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의 투여는 말초혈액과 골수에서 세포특이적이고 투여간격에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 투여가 반복될수록 그 효과는 증가하였으며 사람 재조합과립구자극인자 투여를 중지한 이후에도 골수에 미치는 효과는 3일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가들은 적절한 치료 간격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30-330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덜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l6 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중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06-306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를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16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 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 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증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