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sharing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5초

경영자원의 속성이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 자원기반관점을 중심으로 (Impacts of Resource Attributes on Resource Sharing: An Approach from Resource-based View)

  • 황재원;박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04-6013
    • /
    • 2014
  • 다각화 분야 내에서 자원공유의 사안을 다루는 연구들은 경영자원의 '공유'에 주목하였고, '경영자원'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의 핵심적인 변수들과 논리들을 토대로 자원공유의 결정요인과 성과함의에 대해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35개 기업집단의 계열사 263개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 질적 수준, 활용성이 계열사 간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성과함의와 관련하여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과 자원공유,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과 자원공유, 경영자원의 활용성과 자원공유의 상호작용이 계열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상호작용항이 포함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이 낮을수록,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활용성이 높을수록 자원공유의 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이 낮을수록, 활용성이 높을수록 계열사 간 자원공유가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은 자원공유와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 및 활용성이 가설과는 상반된 방향으로 자원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이 자원공유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성과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은 이유, 경영자원의 유형에 따라 가설검증의 결과가 달라지는지의 여부 등을 충분히 다루지 못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심화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search on the Sharing Strategy of Electronic Book Resources in Universities in the Internet Era

  • Guiya G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5호
    • /
    • pp.590-601
    • /
    • 2023
  • University books are an important information resource. University book resources can be shared not only in the traditional paper form, but also electronic form under the background of the Internet. In order to better manage the sharing of electronic book resources in universities, this study put forward three resource sharing strategies: centralized sharing strategy, distributed sharing strategy, and centralized-distributed shar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combined development of books and the Internet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book resource sharing. The centralized sharing strategy, however simple, was difficult to handle large traffic; while the resource nodes were independent and self-consistent, the distributed sharing strategy was not easy to find and had a high repetition rat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both strategies, the centralized-distributed sharing strategy was more suitable for the heterogeneous form of university book sharing. Finally, a teaching resources sharing platform for university libraries was designed based on the strategy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sharing, and three interfaces including platform login, resource search, and resource release were displayed. The results of the simulated comparison experiment showed that centralized and distributed sharing strategies had limitations in resource searching and had low efficiencies; the efficiency of the centralized strategy reduced with an increase in search subjects; however, the centralized-distributed sharing strategy was able to search more resources efficiently and main stability.

정보기술이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echnology on resource sharing)

  • 이영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205-244
    • /
    • 1995
  • Originally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resource sharing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bibliographic materials, and has been labor-intensive and high-cost activities. The technology has had a great impact on such pattern of the resource sharing, and has expanded the limited scope of the traditional concept into the sharing of library information in the levels of local, regional and national systems, and expertise, materials, facilities, equipments and personnels of the library system. While the traditional circulation service as a basic method to share library materials by users can provide the resource to a single person at a time, the electronic resource can be shared, by multi-users at a time anytime anywhere. The maximization of the electronic resource sharing requires that publishing process should be fundamentally changed and articles, books, chapters, speech manuscripts, music scores, maps, sound, and other formats of materials should be prepared in machine readable format.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technology on the resource sharing, but not investigate the concrete and complex problems as to the cost, guidelines, detailed procedures, design details, and intellectual properties and protection involved in the resource sharing. Some findings extracted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LL will lose its meaning as a method to share the materials if they are all in the electronic format and the phrase 'networked information resource' becomes omnipresent. (2) The technology keeps on changing the concept of resource sharing. Today, the scope of resource sharing not only encompasses the sharing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materials but also the sharing of the processings(eg. cataloging), expertise, user education, special facilities, and the integrated automated library systems. (3) The sharing of the networked resource will be a method to provide better services for library users in the low cost. (4) The a n.0, pplication of the technology to the resource sharing should be focus on the method which allows an end-users to do the direct access to the needed materials, and to be delivered the primary document as soon as possible.

  • PDF

자원 공유 커뮤니티를 위한 인증 기술과 신뢰관계사슬 (Authentication and Trust Relationship Chaining for Resource Sharing Community)

  • 김정곤;김신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55-69
    • /
    • 2010
  • This article proposed th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peer-to-peer resource sharing community. The proposed protocol does not require a priori information for generating and exchanging authentication key. Also this protocol can provide the delicate access control by allowing the user(authenticator) to assign the trust level to the authentication supplicant, which can be used to decide if the resource providing node will accept the resource sharing request from a resource requesting node. Trust Relationship Chaining provides the environment where trust levels (included in the trust table) of nodes in the resource sharing community are propagated among nodes when trust tables are exchanged between two nodes engaged in mutual authentication process and authentication refresh so that any two nodes which are not directly mutual-authenticated can assign the trust level each other for the access control for resource sharing. In the proposed protocol a node can implements the authentication refresh continuous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ation after mutual authentication so that the authentication of new node or authentication revocation(effectiveness cancellation) of the departed node can be propagated to the all the nodes in RSC and eventually safe resource sharing community is configured.

인적자원관리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공유비전과 코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uman Resource Practices and Knowledge Sharing : The Mediating Role of Shared Vision and Codes)

  • 허문구;문상미
    • 지식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57-73
    • /
    • 2010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practices on knowledge sharing. We developed and tested a mediation model of how human resource practices affect shared vision and codes which facilitates knowledge sharing. A field study of the R&D centers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showed that commitment-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hared vision and codes and knowledge sha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R practices and knowledge sharing was fully mediated through shared vision and code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tant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focusing on the role of HR practices and shared vision and codes.

  • PDF

경쟁전략이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 전략적 상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mpetitive Strategy and Resource Sharing: Moderating Effects of Strategic Contexts)

  • 황재원;박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8-148
    • /
    • 2021
  • 본 연구는 경쟁전략이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존 실증연구에서 경쟁전략과 자원공유 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던 이유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쟁전략이 차별화보다는 저원가를 추구할수록 자원공유의 정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먼저 검증하고, 이후 다각화전략, 상호연결성, 집권화, 자원보유수준을 조절변수로 투입했을 때 경쟁전략과 자원공유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통계결과에 의하면 경쟁전략은 자원공유에 단독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다각화전략을 제외한 상호연결성, 집권화, 자원보유수준과 결합될 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저원가 전략은 높은 상호연결성, 높은 집권화, 낮은 자원보유수준의 조건 하에서 자원공유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경쟁전략과 자원공유의 관계에 대한 기존 논의가 자원공유의 의지나 의도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능력이나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능력이나 가능성을 반영하는 조절변수의 투입을 통해 자원공유를 보다 잘 예측할 수 있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자원공유에 대한 기존 논의의 취약성을 발견하고 보완논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3-45
    • /
    • 2012
  •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전국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구축하여 소장정보 공동 활용과 해외전자정보 공동 구매, 학술원문 공동 구축을 통한 대학 간 정보 격차 해소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편, 문부성과 NII를 중심으로 우리보다 15년경 일찍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구축한 일본은 대학 소장정보 공유 사업을 시작으로 우리와 비슷한 전개 양상을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정보 환경이 급변하고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변화가 발생하면서, 물리적 소장 자원을 대체하는 전자정보자원의 관리, 오픈 액세스 기반의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비교 연구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위한 발전 방향을 조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첫번째, 물리적 소장 자원을 대체하는 전자정보자원의 관리 체계 확립, 두 번째, 해외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재편, 세 번째, 오픈 액세스를 위한 도구로써 기관 레포지토리 활성화, 네 번째, 분산된 학술정보 사업 추진 체계의 일원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의 장벽에 대한 이해관계자 분석 (A Stakeholder Analysis for Understanding Barriers to Resource Sharing)

  • 심원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9-143
    • /
    • 2010
  • 전통적인 상호대차와 원문복사 서비스와 같은 도구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제한적이며 보다 심층적인 자원공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공유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을 통해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정보공유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자원공유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라고 여겨지는 사서의 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내 대학에서 자원공유 관련서비스를 담당하는 실무사서 6명과의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규모가 큰 대학이 반드시 자원공유에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서비스를 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자원공유에 대한 도서관간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담당 사서들의 태도에서 큰 간격이 있었다. 특히 연구에 대한 협소한 정의와 기관 규모의 불균형으로 인한 업무 폭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자원공유를 새로운 차원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적극성이나 비전을 발견하기는 어려웠지만 자원공유 관련 서비스가 도서관에서 중요한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고 담당자의 관심과 태도에 따라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원공유의 활성화, 보다 심층적이고 부가가치적인 자원공유 서비스를 창출하려면 먼저 사서들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 지역별, 주제별 사서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 in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 Sewon JOO;Innwoo PAR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2호
    • /
    • pp.115-141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regarding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s(ERS)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2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ced significant emphasis on high-quality, convenient functions, and reward system for sharing resources. Specifically, teachers identified the necessity for a diverse array of materials,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these resources, and the provision of monetary compensation as essential component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advocate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RS including enhancing accessibility, constructing user-friendly features, increasing awareness, and establishing a reward system to incentivize the resource sharing. In particular, teachers proposed strategies such as developing mobile-based services and AIdriven data recommendation system. These results provide actionable insights for stakeholders engaged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esource sharing platforms.

학술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 평가 방안 (Developing the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rary for Activating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82
    • /
    • 2003
  •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정보량의 부족, 지방대 정보 격차 등의 문제 뿐 아니라, 외국 정보원에 대한 절대적 의존 현상을 보이고 있어, 대학간 원활한 학술정보 공유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보 공유에 대한 의식을 제고하고 대학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에 대한 평가 체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 공유 현황을 분석하곤 공유 사업 내용을 기반으로 한 기여도 평가 항목 및 배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를 기존 대학 평가 체제에 편입시키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