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hearing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고도난청아(高度難聽兒)에 대(對)한 잔존청력(殘存聽力) (A Study on Residual Hearing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 이규식;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6권1호
    • /
    • pp.51-63
    • /
    • 1973
  • 고도난청아(高度難聽兒)에 대(對)한 잔존청력(殘存聽力)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1973년(年) 3월(月) 10일(日)부터 동년(同年) 11월(月) 28일(日)까지 한사대(韓社大) 부속(附屬) 농학교(聾學校) 재학생(在學生) 207명(名)(초등(初等) 138명(名), 중등(中等) 47명(名), 고등(高等) 22명(名)), 즉(卽) 남(男) 135명(名), 여(女) 72명(名)을 대상(對象)으로 문진(問診)을 통(通)한 사회의학적(社會醫學的) 배경조사(背景調査)와 특수교육연구소(特殊敎育硏究所) 방음실(防音室)에서 AS-105형(型) 진단용(診斷用) TRIO 청력측정기(聽力測定器)에 의(依)한 청력검사결과(聽力檢査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으므로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의무교육(義務敎育)은 초등교육(初等敎育)의 취학률(就學率)도 정상아(正常兒)에 있어서와 달리 난청출현율(難聽出現率)에 비례(比例)하여 고도난청아(高度難聽兒)에 있어서는 여자(女子)쪽이 현저(顯著)히 낮은 경향(傾向)이었고, 상분학교(上粉學校)(중(中),고(高))에 진학(進學)할수록 더욱 심(甚)한 격차(隔差)를 보였다. (2) 적령기(適齡期)(초등(初等) 만(滿) 6세(歲), 중등(中等) 12세(歲), 고등(高等) 15세(歲))에 입학(入學)한 학생(學生)은 11.3%, 학령기(學齡期)(초(初) 6세(歲)${\sim}11$세(歲), 중(中)12(세)歲${\sim}14$(세)歲, 고(高)15세(歲)${\sim}17$세(歲))에 재학(在學)하고 있는 학생(學生)은 45.9% (남(男) 43.7%, 여(女) 50%)이였다. 이러한 현상(現象)은 현장교육(現場敎育)이 기대(期待)에 부응(副應)치 못하며 장해아동(障害兒童)을 기피(忌避)하고 임상적(臨床的)으로만 청력(聽力)을 개선(改善)할려는 부모(父母)의 학력(學歷), 직업(職業)(농업(農業)과 판매업(販賣業)이 50.8%)및 심리적(心理的)인 현상(現象)과 대부분(大部分)의 이비과병원(耳鼻科病院)에 잔존청력(殘存聽力)을 정확(正確)히 판단(判斷)할 수 있는 유아청력검사(幼兒聽力檢査) 시설(施設)이 없으므로 조기발견(早期發見)과 대책(對策)을 강구(講究)치 않는데 기인(基因)된다고 사료(思料)된다. (3) 실청(失聽)이 될수 있었던 원인(原因)은 대개(大槪) 선천성(先天性) 23.6%(유전성(遺傳性) 13.5%, 임신시이상(姙娠時異常) 10.1%), 후천성(後天性)47.9%(경련(痙攣) 11.6%, 홍역(紅疫) 7.7%, 열병(熱病) 7.7%) 약물중독(藥物中毒) 3.4%, 뇌막염(腦膜炎) 2.4%, 뇌염(腦炎) 1.5%, 기타(其他) 31.3%), 불명(不明) 28.5%인 경향(傾向)이었다. (4) 실청시기(失聽時期)는 6개월(個月) 이내(以內)가 31.4%(선천성(先天性) 24.2%), 생후(生後) $2{\sim}3$년(年) 14.0%, $6{\sim}12$개월(個月) 11.6%, $1{\sim}2$년(年) 9.7% 순(順)으로 생후(生後) 3년내(年內) 실청(失聽)된 학생(學生)이 약(約) 90%(138명(명))로 대부분(大部分)이었다. (5) 난청원인(難聽原因)에 따른 청력손실도(聽力損失度)와 실청시기(失聽時期)와는 일정관계(一定關係)를 발견(發見)할수 없었으며 난청종류별(難聽種類別)로는 전음성(傳音性)이 2명(名), 혼합성(混合性)이 8명(名)이고 감음성(感音性)이 97.5%(197명(名))로서 대부분(大部分)이었다. (6) 500 Hz. 중심(中心)$(B=\frac{a+2b+c}{4})$의 평균(平均) 청력손실도(聽力損失度)에 따른 잔청실태(殘聽實態)는 정상청력자(正常聽力者) 2명(名)(자폐증(自閉症) 1명(名), 고도(高度)의 언어장해아(言語障害兒) 1명(名)), $41{\sim}55\;dB$의 잔청(殘聽)을 가진 학생(學生)이 4.8%(10명). $56{\sim}70\;dB$가 19.3%(40명(名)), $71{\sim}90\;dB$가 18.4%(38명(名)), scale out(91 dB 이상)가 단지 23.3%(48명(名))였고, 검사불능(檢査不能)이 33.3%(69명(名))였는데 대부분(大部分)이 초등(初等) $1{\sim}2$년생(年生)과의 정신박약(精神薄弱)을 겸한 중복장해아(重複障害兒)도 다소(多小)있다. 따라서 75 dB 이상(以上)의 많은 잔청(殘聽)을 가진 학생(學生)이 약(約) 30%(62명(名))나 되므로, 조기발견(早期發見)과 보청기착용(補聽器着用)에 의(依)한 적당(適當)한 훈련(訓練)을 실시(實施)하였다면 정상아(正常兒)와 유사(類似)하게 일반학교(一般學校)에서 재학(在學)이 가능(可能)한 상당수(相當數)의 학생(學生)이 학교(學校), 사회(社會), 부모(父母)의 잘못으로 인하여 농(聾)이 아닌 상당수(相當數)의 학생(學生)을 청능(聽能)의 개발(開發)과 개선(改善)을 시켜주지 못하여 수화(手話)에 의존(依存)하는 농학생(壟學生)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7) 보청기장용자(補聽器裝用者)는 12%(207명중(名中) 26명(名))에 불과(不過)했으며 이를 잔청별(殘聽別)로 보면 $41{\sim}55\;dB$의 잔청(殘聽)을 가진 학생(學生)은 60%(10명중(名中) 9명(名)), $56{\sim}70\;dB$ 학생(學生)은 20%(40명중(名中) 8명(名)), $71{\sim}90\;dB$ 학생(學生)은 13%(38명중(名中) 5명(名)). scale out는10%(48명중(名中) 5명(名)), 검사불능자(檢査不能者)는 3%(69명중(名中) 2명(名))로 보청효과(補聽 果)를 즉시(卽時) 인식(認識)할수 있는 잔청(殘聽)을 가진 자(者)는 비교적(比較的)으로 많은 학생(學生)이 장용(裝用)하고 있으나, 단시일(短時日)에 보청효과(補聽效果)를 기대(期待)키 어려운 잔청(殘聽)이 적은 학생(學生)은 장용(裝用)치 않고 있는 경향(傾向)이었다. 이 현상(現象)은 대부분(大部分)의 학생(學生)이 음(音)에 대(對)한 경청태도(傾聽態度)마저되어 있지 않아 교사(敎師)와 가정(家庭)의 보청기(補聽器)에 대(對)한 이해(理解)와 Acoustic mettled에 의(依)한 청능훈련(聽能訓練)에 대(對)한 충분(充分)한 지식(知識)이 결여(缺如)된데 기인(基因)된다고 추정(推定)된다.

  • PDF

적응 빔형성기법을 이용한 보청기의 궤환 및 잡음제거 알고리즘 (A Feedback and Noise Cancellation Algorithm of Hearing Aids Using Adaptive Beamforming Method)

  • 이행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C호
    • /
    • pp.96-10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보청기의 음향궤환 및 잡음을 제거시키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2개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궤환제거 필터의 계수를 갱신시키는 잔차신호에서 음성신호를 제거함으로서 수렴성능을 향상시킨다. 먼저 궤환제거기가 마이크 신호에서 궤환신호를 제거하고, 이어서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궤환 및 잡음제거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궤환제거기와 잡음제거기에서 각각 약 14.43 dB의 SFR 및 10.19 dB의 SNR 지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ig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Energy-efficient Broadcast MAC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Kang, Young-Myoung;Lim, Sang-Soon;Yoo, Joon;Kim, Chong-Kw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6호
    • /
    • pp.1113-1132
    • /
    • 2011
  •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most energy saving asynchronous MAC protocols are custom tailored for unicast communications only. However, broadcast protocols are very commonly used in WSNs for a variety of functionalities, such as gathering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event monitoring and query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low-power asynchronous broadcast MAC protocol called Alarm Broadcast (A-CAST). A-CAST employs the strobe preamble that specifies the residual waiting time for the following data transmission. Each receiver goes back to sleep upon hearing the strobe preamble for the residual time duration, to conserve energy and to wake up just before data transmission starts. We compute the energy consumption of A-CAST via rigorous mathematical analysis. The analytic results show that A-CAST outperforms B-CAST, a simple broadcast extension of the well-known B-MAC. We also implement A-CAST on sensor mot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through real experimen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CAST reduces the energy consumption by up to 222% compared to the previously proposed protocols.

청각장애인용 자막방송 서비스를 위한 연쇄잔차 신경망 기반 음향 사건 분류 기법 (Sound Event Classification Based on Concatenated Residual Network Applicable to Closed Captioning Services for the Hearing Impaired)

  • 김남균;박동건;김준호;김홍국;안충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72-47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에게 자막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디오 콘텐츠에 등장하는 음향 사건을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복수의 잔차 신경망(ResNet)을 연결하는 연쇄잔차(concatenated residual) 신경망 구조를 갖는다. 신경망의 입력 특징을 위해 음성의 멜-주파수 켑스트럼 벡터를 다수의 프레임으로 결합하여 형성한 2 차원 이미지와 전체 프레임에 대한 멜-주파수 켑스트럼 벡터들로부터 얻은 1 차원의 통계 특징벡터를 얻는다. 각각의 입력은 2 차원 잔차 신경망과 1 차원 잔차 신경망으로 모델링되고, 두 개의 잔차 신경망을 연쇄연결(concatenation)하는 구조를 가진 연쇄잔차 신경망으로 구성된다. 성능평가를 위해 수집된 데이터셋으로부터 6-fold 교차검증을 통해 평가한 결과, 85.48%의 분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청신경초종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 팽성화;김무성;심홍보;정영균;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308-1313
    • /
    • 2001
  • Object : The goals of radiosurgery include preservation of neurological function and prevention of tumor growth. We document the results of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Method & Object : Eighty-two patients underwent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an vestibular schwannoma from October, 1994 to December, 2000. Sixty-five of thes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As pregamma-knife modality, surgical resection were done in 23 patients,and V-P shunt in 2 patients. Initial symptoms were headache(n=45), dizziness(n=16), tinnitus(n=17). While normal facial function(House-Brackmann grade 1) was present in 48 patients(73.8%), other patients showed grade 2 function in 8, grade 3 function in 7,and grade 4 function in 2. The Gardner/Robertson scale was used to code hearing function. Male to female ratio was 1:3. Mean tumor volume was $7.98cm^3$. Mean dose delivered to the tumor margin was 14.2Gy,and mean maximal dose was 28.3Gy. Results : Mean follow-up duration of 19.9 months. Thirty-five showed decrease(53.8%) in size, 19 patients(29.2%) stationary, 3(4.6%) initial decrease follow up increase, 5(7.6%) initial increase follow up decrease,and 59 patients (90.8%) were well controlled. Two patients experienced transient facial neuropathy, one transient trigeminal neuropathy, and one transient hearing deterioration. After gamma-knife radiosurgery, ventriculoperitoneal shunt was done in 4 patients. Conclusions : Gamma-knife radiosurgery can be used to treat postoperative residual tumors as well as in patients with concomitant medical problems in patients with preserved hearing function. Gamma-knife radiosurgery is safe and effective method to treat small, medium sized(less than 3cm in extracanalicular diameter), intracanalicular vestibular schwannoma, associated with low rate of cranial neuropathy.

  • PDF

심야용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Hazard of Electric Radiant Heating Systems with Thermal Storage Using Off-peak Electricity)

  • 박민영;문용수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re danger of the electric radiant heating system and check the way how to use it and the problems that could be possible through a actual case. We carry out an experiment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the fire in the similar condition of the actual fire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a possible condition to fire if the air blast of the electric radiant heating system is blocked by som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plastic bags continuously. A temperature sensor and a residual current device are necessary to disconnect the power source. It is also necessary to attach a notice in front of the electric radiant hearing system that shows users the fire danger to forbid the possible fire. Fires could be happened by internal defects of the electronic products. However, we can also find many external reasons to happen fires. Therefore, we need to check all reasons to make fires in the scene of a fire.

  • PDF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From Level-Specific Chirp

  • Dzulkarnain, Ahmad Aidil Arafat;Salamat, Sabrina;Shahrudin, Fatin Amira;Jamal, Fatin Nabilah;Zakaria, Mohd Normani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4호
    • /
    • pp.199-20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No known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elicited from level-specific (LS) chirp.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imulus polarity selection for ABR elicited from LS chirp stimulu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BR from LS chirp compared to the ABR from click at 80 dBnHL in normal-hearing adult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The ABRs were acquired using click and LS chirp stimuli using three stimulus polarities (rarefaction, condensation, and alternating) at 80 dBnHL. The ABRs were tested only on the right ear at a stimulus rate of 33.33 Hz. The ABR test was stopped when the recording reached the residual noise level of 0.04 μV. The ABRs amplitudes, absolute latencies, inter-peak latencies (IPLs), and the recorded number of average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mong ABRs at different stimulus polarities and stimuli combinations. Results: Rarefaction polarity had the largest ABR amplitudes and SNRs compared with other stimulus polarities in both stimuli. There were marginal differences in the absolute latencies and IPLs among stimulus polarit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verages required to reach the stopping criteria was found. Conclusions: Stimulus polar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BR to LS chirp. Rarefaction polarity is recommended for clinical use because of its larger ABR peak I, III, and V amplitudes than those of the other stimulus polarities.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From Level-Specific Chirp

  • Dzulkarnain, Ahmad Aidil Arafat;Salamat, Sabrina;Shahrudin, Fatin Amira;Jamal, Fatin Nabilah;Zakaria, Mohd Normani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9-20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No known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elicited from level-specific (LS) chirp.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imulus polarity selection for ABR elicited from LS chirp stimulu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BR from LS chirp compared to the ABR from click at 80 dBnHL in normal-hearing adult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The ABRs were acquired using click and LS chirp stimuli using three stimulus polarities (rarefaction, condensation, and alternating) at 80 dBnHL. The ABRs were tested only on the right ear at a stimulus rate of 33.33 Hz. The ABR test was stopped when the recording reached the residual noise level of 0.04 μV. The ABRs amplitudes, absolute latencies, inter-peak latencies (IPLs), and the recorded number of average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mong ABRs at different stimulus polarities and stimuli combinations. Results: Rarefaction polarity had the largest ABR amplitudes and SNRs compared with other stimulus polarities in both stimuli. There were marginal differences in the absolute latencies and IPLs among stimulus polarit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verages required to reach the stopping criteria was found. Conclusions: Stimulus polar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BR to LS chirp. Rarefaction polarity is recommended for clinical use because of its larger ABR peak I, III, and V amplitudes than those of the other stimulus polarities.

심층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청기의 음향궤환 및 잡음 제거 (Acoustic Feedback and Noise Cancellation of Hearing Aids by Deep Learning Algorithm)

  • 이행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249-125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보청기의 음향궤환 및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FIR 구조를 이용하는 대신 신경망 적응예측필터를 이용한 심층학습 알고리즘으로 궤환 및 잡음제거 성능을 향상시킨다. 먼저 궤환제거기가 마이크 신호에서 궤환신호를 제거하고, 이어서 Wiener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 제거는 음성신호가 가진 주기적 성질에 따라 선형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잡음이 포함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을 추정해내는 것이다. 한 루프 안에 포함된 두 적응 시스템의 안정적 수렴을 보장하기 위해 궤환제거기 및 잡음제거기의 계수 업데이트를 분리하여 실시하며 제거 후 생성된 잔차신호를 이용하여 수렴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궤환 및 잡음제거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심층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기존의 FIR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궤환제거기에서 약 10 dB의 SFR(: Signal to Feedback Ratio), 잡음제거기에서 약 3 dB의 SNRE(: Signal to Noise Ratio Enhancement)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국 음향학자 앨프레드 메이어의 음향학 연구 (American Acoustician Alfred M. Mayer's Acoustical Research)

  • 구자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4-50
    • /
    • 2009
  • 19세기 내내 미국 음향학이 유럽에 뒤쳐져 있었을 때, 미국의 음향학자인 앨프레드 메이어는 미국의 실험 음향학을 유럽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파리에 머물면서 악기 제작자인 쾨니히와의 협동 연구를 통해 실험 기술을 전수 받았고 영국을 방문하여 레일리를 비롯한 앞선 연구자들의 연구 능력을 배우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메이어는 온도에 따른 음속 변화를 이용한 음향 고온계의 개발, 선택적 공명에 의한 모기 청각의 발견, 소리의 잔류 감각 지속의 공식화, 소리의 방향을 찾아내는 토포폰의 개발, 음의 진동수를 가시화 하는 장치 등 독창적인 성과를 통해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유럽의 음향학에 독창적인 연구 성과를 더했을 뿐 아니라 음향학을 물리 교육에도 활용함으로써 차세대 미국 음향학자들의 배출에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