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이용현황 및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User-Charge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남석;이덕용;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22
    • /
    • 2007
  • Our country already came into the aging society in 2000, and it will reach the ultimate aging society in 2026. Also it is necessary the architectural proposal to serve the aging society problem. Recently days, it is increased that the aged welfare facilities, and the concern of aged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pproaching the charged aged man welfare facilitie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about the increase of aged man and the aged man problem in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 investigated about the overall environm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ged welfare facilities to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satisfaction degree and requiring condition of users through the estimation after residing. Thus this study is purposed to insist importance about analysis the aged welfare facilities and dwelling conscious.

  • PDF

주거복지 수혜자의 주거환경 실태에 대한 사례조사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mong Beneficiaries of Housing Welfare Program)

  • 김미희;노세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6-24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are to understand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eneficiaries of housing welfare program. A case study was adopt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6 persons who are low-income dwellers in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program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The lowest income bracket would be the beneficiaries of housing welfare program, consider the type of the target households are selected directly by visiting there home life, housing and welfare-related aspects of interviewing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housing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conditions.

  • PDF

아파트 주민의 건강상태에 거주 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Health Status in Apartment Inhabitants)

  • 강기원;김화준;권근용;정민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279-290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주거형태인 아파트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입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관련이 높은 건강상태 변수가 무엇인지 밝히고 어떠한 주거환경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거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는 사회자본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도구인 SC-IQ를 바탕으로 하되 Chun[2]의 아파트 주거환경 조사척도를 첨가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7주간 이루어졌으며, 조사방법은 사전조사 차원을 통해 반응도 및 수거율 등을 고려하여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276부로서 수거율은 28%였으며 이 중 6부는 변수의 결측값이 많아 제거하여 총 270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주거환경과 관련된 건강관련 변수들 중에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가 가장 관련도가 높음을 파악했고, 요인 회전 및 요인 추출을 통해 27가지 주거환경 만족도에 대한 문항을 5가지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요인 1은 아파트 관리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2는 아파트 개별 가구 환경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3은 아파트 단지 환경(근린)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4는 이웃관계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5는 아파트 단지 시설환경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 요인 중 이웃관계 관련 요인 및 아파트단지 시설환경 요인의 경우 만족도가 높을수록 1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 하지만, 아파트단지 환경(근린) 관련 요인은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린공간 및 이와 결합되어 있는 사회적 지지 변수가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완충효과' 이론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결국 이 연구는 주거환경이 건강의 악화방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밝히고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한 물리적이고 정서적인 주거환경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PLS 회귀분석을 통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 규명 (Presumed Influence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of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using PLS-Regression Model)

  • 정광섭;박규용;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31-3943
    • /
    • 2014
  • 국내의 산업단지는 노후화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점점 더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실정이다. 첨단산업단지로의 재편을 위해 공공 및 환경디자인의 질적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성 정립이 시의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인을 PLS 회귀모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총 32개의 계획요인 중 중요도(VIP)값이 1.0 이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디자인 계획요인이 12개로 나타났으며, 0.9~1.0 사이의 비교적 중요한 계획요인이 8개로 도출되었다. 이들 계획요인은 디자인개선사업 시행 시 정량적 우선순위를 가늠할 수 있는 전략적 디자인 계획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 Lee, Hyunjeong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都市 超高層 住居建築의 室內空氣環境의 評價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door Air Environment in Super High-Rise Dwelling House)

  • 박미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9-125
    • /
    • 2002
  • The concept of dwelling space is tend to be changed not only to have reasonable mobility but also to have high quality of indoor air with psychologicaa satisfaction and comfortable. Moreover, recent constructed buildings have a big problem because of exhausted pollution gas and particles from building materials. More serious problem occurs from its high air tightness reducing the ventilation for saving the energy and superior adiabatic insulators to have high heat efficiency. Indoor air quality in super high-rise dwelling hous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ollutants such as $CO_2,=;CO,\;MO_2,\;R_n,\;TSP,\;PM_{10}$, HCHO, Offensive ordor. Subjective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processed for the inhabitants who live in research space by testing environmental load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 morphology, exterior environmental factor and post occupancy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attention.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공간 실용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그 효과 고찰 (A Study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Its Effects about Practical Use of Community Space in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 박정은;이효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1-70
    • /
    • 2015
  •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standards", residents' common spaces are restricted by the standards on building facilities. In a typical apartment complex, residents' communal facilities are represented by a children's playground, a elderly social station, and a management office. However, these residents' communal facilities do not reflect residents' composition characteristics.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experimentation to enable the community of housing complex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se situation, we observed institutional improvement about installing standard of community space, and analysed the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actical institutions to review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We conducted a case study where was renovated the community space according to the new standard. As a results, the installing standard of the community space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to increase the autonomy of resident. These results raise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pace, an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alternative to the institutional aspects and planning aspects for community activation in housing complex.

교통약자의 공공시설 접근성에 따른 보행안전 만족도 연구 (A Study on Walking Safety Satisfaction according to Vulnerable Pedestrians' Access to Public Facilities)

  • 권연화;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65-74
    • /
    • 2021
  • 앞으로 교통약자의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들의 보행안전만족도에 보행자의 개인 및 가구특성과 공공시설 접근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교통약자의 보행안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포용적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연령, 성별 변수가 중요하였으며,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학력이 중요한 요소였다. 노인과 장애인 모두 1인가구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 거주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공공시설 접근성의 경우 공공기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대중교통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노인과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노인은 상업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높아졌으나, 의료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오히려 보행만족도는 낮아졌다.

성별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생활 특성 및 여가생활 공간에 대한 선호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and Preference for Leisure Environment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according to Gender)

  • 신화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107-1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and preference for leisure environment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according to gender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community planning.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subjec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338 staffs of 7 companies, who were living in apartment complex.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way of life about leisure, leisure necessity, actual condition and need of leisure spaces, and leisure satisfaction.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chi}2-test$, t-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leisure time in weekend, the available leisure time distribution, and leisure cost,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2) After five-day workweek, the men and women showed to increase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to engage in diverse forms of leisure. Also, they showed an increased desired ratios in participating in each leisure activities. 3) Leisure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unity of family and cultivate the sentiment. 4) Even though current main area for leisure were in their house, men were likely to change them from in the house to around and near their house. And they needed leisure facilities which was closer to their house. 5)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was low and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is result implicated to improve and develope leisure space and facilities near the residental environment for promoting leisure behavior of both women and men. In particular it is necessity to create the good atmosphere of leisure facilities for women.

건축공종 및 내부자재별 친환경평가 분석을 통한 Smart Component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mart Component through the Analysis on Architectural Scheduling and internal Material)

  • 김재원;정병우;김선식;이상효;박인숙;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19-623
    • /
    • 2006
  •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에 대한 문제가 전 산업에서 등장하면서 리우환경회의에서 $CO_2$ 배출규제가 채택되었고, 우리나라도 교통의정서에 서명함으로서 친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해야하는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국내 건축물은 조기전면 철거와 재건축으로 인한 자원 및 건설에너지의 낭비와 폐자재 재활용 미흡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C0_2$ 배출량을 추정하여 건축물의 환경친화성을 평가하고, 주거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현 국내건축물의 문제요소를 도출하여 건축물의 수명과 유연성을 증대하고 실내 건축 환경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Smart Component 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