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tool

검색결과 8,743건 처리시간 0.037초

Battle Group Combat Simulation Model ('BAGSIM') as an Experimental Tool

  • Chol Sang-Yeong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42
    • /
    • 1990
  • This paper describes a Battle Group Combat Simulation Model (called 'BAGSIM'). BAGSIM is developed to be used as an experimental tool for studies about combat modelling at battle group level. Thus it takes many of the parameters and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at this level, and it is designed to be easily adapted to represent equivalent situations to the other more aggregated models. Further the main processes occurring in its simulation procedure such as target detection process, target selection process, firing and killing processes are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tochastic duel models.

  • PDF

EDAS_P 시스팀에서 Graphic Tool개발 (SYMED_P, SCHED_P)

  • 박인학
    • ETRI Journal
    • /
    • 제9권1호
    • /
    • pp.25-30
    • /
    • 1987
  • EDAS_P 시스팀을 이루고 있는 8개의 tool 중 symbol의 모양을 정의하는 SYMED_P, 전자회로도를 입력시키는 SCHED_P, 그리고 논리 검증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WAVGR_P는 graphics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취급한다. 본고에서는 그림으로 정보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발췌식으로 선별하여 소개하였으며, 그림정보를 표현하는 형식 및 정보의 종류를 설명한다.

  • PDF

수정된 연하곤란사정도구와 비디오 연하영상 조영술의 흡인 위험 예측비교 (Comparison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between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Videofluoroscopy in Post-Stroke Patients)

  • 문경희;손현숙;이은석;백은경;강은주;이승희;한나리;이민혜;김덕용;박창기;유지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6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Methods: A consecutive series of 210 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symptoms such as cough and dysphagia who had soft or regular diet without tube feeding were examined.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compared with videofluoroscopy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analysis. Results: In CART analysis, of 34 factor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estimating risk of aspiration were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and cough after swallowing. The risk estimate error of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was 25.2%, equal to that of videofluoroscop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develop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was potentially useful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primary risk estimating factor was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cough after swallowing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디지털 증거물의 법적능력 확보를 위한 정보감사용 e-Forensic 툴 연구 (e-Forensic Tool Research for Obtaining Legal Evidence Ability of Digital Evidence by Intelligence Inspection)

  • Kim, Seungyong;Kim, Gyeongyong;Hwang, Incheol;Kim, Dongsi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67-275
    • /
    • 2017
  • 본 연구는 재해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증거물을 채집 분석하는데 있어 디지털 포렌식 기법에 입각하여 효율적으로 재해 현장 디지털 데이터를 채증할 수 있는 e-Forensic 툴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현장에서 채집한 다양한 디지털 증거물이 법적 증거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증거물이 위변조가 없는 원본과 동일한 상태임을 입증해야만 하는데 이를 본 e-Forensic툴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툴을 활용하면, 현장 수사 중 디지털 파일을 증거로 수집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바로 해시값을 생성, 암호화된 디지털 파일에 부가함으로써 디지털 파일의 원본과 사본의 동일성을 보장하고 현장 증거의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단결정 다이아몬드공구 제작 기술을 통한 초정밀 미세패턴 가공 연구 (Research on ultra-precision fine-pattern machining through single crystal diamond tool fabrication technology)

  • 정성택;송기형;최영재;백승엽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4권3호
    • /
    • pp.63-70
    • /
    • 2020
  • As the consumer market in the VR(virtual reality) and the head-up display industry grows, the demand for 5-axis machines and grooving machines using on a ultra-precision machining increasing. In this paper, ultra-precision diamond tools satisfying the cutting edge width of 500 nm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research of a focused ion beam. The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was a single-crystal diamond tool (SCD), and the equipment for machining the SCD used a focused ion beam.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Gaussian beam emitted from the focused ion beam, the lift-off process technology use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was used. 2.9 ㎛ of Pt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diamond tool. The sub-micron tool with a cutting edge of 492.19 nm was manufactured through focused ion beam machining technology. Toshiba ULG-100C(H3) equipment was used to process fine-pattern using the manufactured ultra-precision diamond tool. The ultra-precision machining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direction, and fine burrs were generated in the pattern in the forward direction. However, no burr occurred during reverse machining. The width of the processed pattern was 480 nm and the price of the pitch was confirmed to be 1 ㎛ As a result of machining.

지능형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지원도구 모델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Contents Planning Supporting System(ICPS) in familyHistory)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07-614
    • /
    • 2010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한 지능형 스토리텔링 기획지원도구란 가족의 역사, 개인의 인물사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이야기의 저작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서사의 영역은 극, 신화, 전설, 역사 등의 언어적 서사물 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비언어적 서사도 포괄되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서사물로서 각 가정의 구성원에 대한 인물사 및 가족역사를 중심으로 한다. 본 스토리텔링 기획 지원 도구는 샘플DB와 지식DB를 통하여 가정의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장르별 스토리텔링을 재구성하고, 내용의 가치와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스토리텔링 기획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과 비용의 최소화를 지향 한다. 가족, 가정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창작 콘텐츠의 가장 원초적인 기반을 이루는 핵심적 단계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작성할 수 있는 기획 및 저작도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창작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기획지원도구는 대중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매커니즘을 개방화, 구조화 시킴으로서 향후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창작 도구로 연동 가능한 모델을 설계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