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ository grid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ative Analysis of Centralized Vs. Distributed Locality-based Repository over IoT-Enabled Big Data in Smart Grid Environment

  • Siddiqui, Isma Farah;Abbas, Asad;Lee, Scott Uk-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75-78
    • /
    • 2017
  • This paper compares operational and network analysis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repository for big data solutions in the IoT enabled Smart Grid environment. The comparative analysis clearly depicts that centralize repository consumes less memory consumption while distributed locality-based repository reduce network complexity issues than centralize repository in state-of-the-art Big Data Solution.

  • PDF

Grid 서비스를 위한 UDDI 기반의 Repository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설계 (A Study and Design of a Repository System Based on UDDI fur Grid Services)

  • 송인혁;이정훈;임효상;황규영;박형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76-78
    • /
    • 2003
  •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분산된 컴퓨팅 자원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W3C 에서는 분산환경의 표준 프로그래밍 모델로 웹서비스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UDDI 는 이러한 환경에서 웹서비스에 대한 메타데이타를 저장하고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Repository 시스템이다. 웹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응용프로그램은 UDDI 가 저장한 정보를 검색하여 원하는 웹서비스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DDI 는 웹서비스 기반의 분산 응용에서 필요한 디렉토리 서비스기능을 제공하여 분산된 웹서비스의 통합을 지원하는 기반 시스템으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W3C 에서 제정한 UDDI 3.0 Specification 을 분석하여 Repository 시스템에서 관리해야할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제공하는 API 들을 기능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Repository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설계한다.

  • PDF

개방형 모바일 클라우드 인터페이스 (A Study on Interface for Open Mobile Cloud)

  • 김우중;박용성;윤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8-279
    • /
    • 2012
  • 본 논문에선 개방형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Home App과 Repository App을 OMC Home App 생성 마법사를 통해 쉽고 효율적이고 사용자 기호에 맞게 개발할 수 있는 Home App Template과 Repository App Template을 제안한다.

그리드 서비스를 위한 UDDI Repository 시스템의 저장 및 검색 기능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ving and Searching Functions of a UDDI Repository System Based on UDDI for Grid Services)

  • 송인혁;이정훈;임효상;황규영;박형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169-171
    • /
    • 2004
  • UDDI는 인터넷에 분산되어 있는 웹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손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Repository 시스템이다[1]. 본 논문에서는 Repository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 및 아키텍쳐 설계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UDDI 3.0 표준 명세를 따르는 Repository 시스템의 저장 및 검색 기능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XML 형태의 UDDI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 설계를 설명하고 이를 통한 효율적인 UDDI 저장 기능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표준에서 명시하는 다양한 검색 방법을 분석하고 저장된 웹서비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기능의 설계와 구현에 관해서 설명한다.

  • PDF

XMDR 기반의 통합 검색을 위한 데이터 그리드 Wrapper 설계 (The Design of Data Grid Wrapper for Integrated Retrieve based on XMDR)

  • 황치곤;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21-929
    • /
    • 2008
  • 최근 데이터 통합을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 이질성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가 제안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XMDR 래퍼와 XMDR 저장소이다. XMDR 래 퍼는 XMDR의 표준 정보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준 정보와 로컬스키마 간의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XMDR 쿼리와 로컬 쿼리 간의 상호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이질성을 해결한다. XMDR 저장소는 표준 정보와 로컬간의 매핑정보를 관리하는 XMDR과 수행된 결과를 저장하는 Proxy DB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XMDR 래퍼가 XMDR의 메타 시멘틱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스키마의 이질성을 해결뿐만 아니라 인스턴스 시멘틱 온톨로지를 통한 값의 의미에 따른 이질성도 고려함으로써 중복된 질의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이질성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을 위한 데이터 그리드 래퍼를 제안한다.

WASTE CLASSIFICATION OF 17×17 KOFA SPENT FUEL ASSEMBLY HARDWARE

  • Cho, Dong-Keun;Kook, Dong-Hak;Choi, Jong-Won;Choi, Heui-J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149-158
    • /
    • 2011
  • Metal waste generated from the pyroprocessing of 10 MtU of spent fuel was classified by comparing the specific activity of a relevant radionuclide with the limit value of the specific activity specified in the Korean acceptance criteria for a lowand intermediate-level waste repository. A Korean Optimized Fuel Assembly design with a 17${\times}$17 array, an initial enrichment of 4.5 weight-percent, discharge burn-up of 55 GWD/MtU, and a 10-year cooling time was considered. Initially, the mass and volume of each structural component of the assembly were calculated in detail, and a source term analysis was subsequently performed using ORIGEN-S for these components. An activation cross-section library generated by the KENO-VI/ORIGEN-S module was utilized for top-end and bottom-end pieces. As a result, an Inconel grid plate, a SUS plenum spring, a SUS guide tube subpart, SUS top-end and bottom-end pieces, and an Inconel top-end leaf spring were determined to be unacceptable for the Gyeongju low- and intermediate-level waste repository, as these waste products exceeded the acceptance criteria. In contrast, a Zircaloy grid plate and guide tube can be placed in the Gyeongju repository. Non-contaminated Zircaloy cladding occupying 76% of the metal waste was found to have a lower level of specific activity than the limit value. However, Zircaloy cladding contaminated by fission products and actinides during the decladding process of pyroprocessing was revealed to have 52 and 2 times higher specific activity levels than the limit values for alpha and $^{90}Sr$, respectively. Finally, it was found that 88.7% of the metal waste from the 17${\times}$17 Korean Optimized Fuel Assembly design should be disposed of in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Therefore, it can be summarized that separation technology with a higher decontamination factor for transuranics and strontiu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etal waste resulting from pyroprocessing.

그리드 기반의 고성능 과학기술지식처리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Grid-based Framework for High-Performance Scientific Knowledge Discovery)

  • 정창후;최성필;윤화묵;최윤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77-885
    • /
    • 2009
  • 본 논문은 그리드 컴퓨팅을 이용한 고성능 과학기술지식처리 프레임워크인 SINDI-Grid의 개발에 관련된 연구이다. SINDI-Grid 프레임워크는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소 및 고속의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그리드 컴퓨팅의 장점을 이용하여 분산 데이터 분석과 과학기술지식처리를 위한 다양한 그리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SINDI-Workflow 도구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식처리 알고리즘을 통합하는 복잡한 과학기술지식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Auth 기반의 대리 인증서 위임 서비스 (OAuth based Proxy Delegation Service)

  • 허대영;황선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5-62
    • /
    • 2012
  • 그리드 환경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웹 인터페이스 및 웹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웹 표준 기술에 기반을 둔 그리드-웹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웹 표준 보안 구조에서 위임 인증 방법의 부재로 웹 애플리케이션에 그리드 보안 시스템 GSI를 통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자격증명 저장 서비스를 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리드 자격증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웹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간의 상호 신뢰를 전제로 하는 온라인 자격증명 저장 서비스인 MyProxy를 사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그리드 자격증명 위임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서비스의 자격증명 교환 프로토콜은 OAuth에 X.509 인증 위임 절차를 추가한 것이다. 이 위임 서비스는 그리드-웹 애플리케이션에게 단일 로그온을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그리드 자격증명을 위임하고 획득할 수 있는 보안 방법을 제공한다.

개방형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리파 지토리 구조 (The architecture for application repository in Open Mobile Cloud environment)

  • 김성환;박용성;윤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7-238
    • /
    • 2012
  • 기존의 기업 응용 프로그램들은 스마트폰의 성능 이상의 처리를 요구하는 데스크탑 환경에서 동작하였고 또한 기업의 시스템들은 스마트폰과의 연동과는 적합하지 않았다.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일부 기업 업무처리가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으로 온-디멘드 클라우드 리소스를 이용한 개방형 모바일 클라우드(Open Mobile Cloud 이하 OMC) 플랫폼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OMC 플랫폼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리파지토리의 역할과 구조를 제안한다. 해당 플랫폼에서 리파지토리로의 요구사항으로는 VApp과 HApp의 버전 관리 및 배포가 있다. 또한 확장성, 독립성, 신뢰성 및 고 가용성의 리파지토리를 만족할 수 있는 구조 연구를 통해 이를 시험적으로 구현한 OMC App Repository를 소개한다. 또한 결론에서는 OMC 플랫폼에서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추후 연구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고성능 그리드 환경을 위한 자원정보모델에 관한 연구 (A Resource Information Model for High Performance GRID Environemnts)

  • 김희철;이강우;이용두;조세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67-178
    • /
    • 2001
  • 고성능 그리드 환경을 구축을 위해서는 그리드 내의 사용자, 관리자, 서비스, 하드웨어 등에 대한 제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리드 정보서비스(Grid Information Service)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정보서비스의 구조(Grid Information Service Architecture) 설계에 근간이 되는 자원정보 모델(Resource Information Model)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자원요청 자원탐색, 자원할당 등 자원 스케줄링의 최적화 알고리즘의 개발 및 구현을 보장할 수 있는 자원정보모델의 성격 및 특성에 대한 요구정의(Requirement Definition)의 도출에 초점을 두었다. 본 고에서는 고성능 그리드 정보서비스(GIS)는 엔티티기술(Entity Description)과 자원 상호 간의 관계기술(Relation Description)을 포함한 자원기술(Resource Description), 스케줄링 지원, 자원정보 표현모델과 저장 모델의 독립성 사용자 측면의 자원기술방식과 시스템 측면의 자원기술방식의 분리에 대한 이슈가 명확하게 반영된 자원정보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제시한다. 이러한 자원정보모델에 준하여 기존의 대표적인 자원정보모델들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