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uptake rat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99m}Tc-DMSA$$^{99m}Tc-DTPA$의 상대적 신섭취율을 이용한 신기능의 평가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Determined by Relative Renal Uptake of $^{99m}Tc-DMSA$ and Relative Glomerular Filteration Rate of $^{99m}Tc-DTPA$)

  • 정병천;최정일;김광원;이재태;이규보;권태환;조동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7-236
    • /
    • 1991
  • Background: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renal function is important to diagnosis and follow-up of various diseases. Ureteral catheterization of each kidney has been widely used for this purpose, but this method had some technical difficulty, frequent complications and much restriction in reapplication. Therefore we tried to applicate radiopharmaceuticals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renal function. Methods: We measured 2 hour, 4 hour and 24 hour relative renal uptake of $^{99m}Tc-DMSA$ and relative glomerular filteration rate of $^{99m}Tc-DTPA$ with 59 patients with various renal diseases to determine their usefulness for assessment of individual renal function and to compare correlations between every renal uptake of $^{99m}Tc-DMSA$ and relative glomerular filteration rate.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2 hour-, 4 hour- and 24 hour- relative renal uptake of $^{99m}Tc-DMSA$ and relative glomerular filteration rate of $^{99m}Tc-DTPA$ were R=0.9190 (p < 0.001), R: 0.9229 (p<0.001) and R=0.9917 (p<0.001). In acute obstructive uropathy, the correlations at 2 hour and 4 houre were poor as R=0.1812 (p<0.05) and R=0.4923 (p < 0.05), but the correlation at 24 hour was good as R=0.9942 (p<0.001).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relative renal uptake at 2 hour and 4 hour had good correlation with relative DTPA uptake ratio in the cases without chronic renal failure and obstructive uropathy. Delayed image with 24 hour relative renal uptake $^{99m}Tc-DTPA$ had the best correlation with relative glomerular filteration rate of $^{99m}Tc-DTPA$ and that might be useful in evaluation of chronic renal disease in which showed increased beckground activity or acute obstructive uropathy.

  • PDF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의 $^{99m}Tc-DMSA$ 신주사에서 절대적 신섭취율과 상대적 신섭취율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Diagnostic Value between the Absolute and Relative Uptake Rate on $^{99m}Tc-DMSA$ Renal Scan of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김희연;배상영;황수자;박은애;김호성;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24-30
    • /
    • 1997
  • 목적 :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의 ${99m}Tc-DMSA$ 신주사에서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비교하여 진단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117례(남아 70례, 여아 47례)에서 $^{99m}Tc-DMSA$ 정맥주사 3시간 후에 좌우 신장의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측정하였다. 고열과 $^{99m}Tc-DMSA$ 신주사상 결손 부위를 보인 환아는 총 68례였고 이중 일측성 부분 결손을 보인 35례, 양측성 부분 결손을 보인 13례, 양측성 미만성 결손을 보인 20례의 절대적 및 상대적 신섭취율을 측정하여 비발열성 요로감염이면서 $^{99m}Tc-DMSA$신주사가 정상인 대조군 49례와 비교하였다. 결과 : 1) 대조군에서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평균 $22.0{\pm}3.9%$, 전체 $44.2{\pm}7.8%$로 좌우측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변화로 좌우측 평균과 전체는 0-6개월에 $18.3{\pm}4.3%,\;36.7{\pm}8.7%$, 7-12개월에 $20.8{\pm}3.2%,\;41.6{\pm}6.4%$, 13-24개월에 $22.0{\pm}1.3%,\;45.7{\pm}3.5%$, 25-36개월에 $22.7{\pm}0.7%,\;44.5{\pm}1.5%$, 36개월이상 $22.7{\pm}3.2%,\;43.1{\pm}6.6%$로서 영아기동안 연령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세경에 성인과 비슷하였다. 2) 일측성 급성 신우신염시 $^{99m}Tc-DMSA$의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보면 이환신의 경우 $41.2{\pm}9.7%,\;16.5{\pm}5.4%$로 대조군의 $50.0{\pm}2.6%,\;22.0{\pm}3.9%$(좌우 평균)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반대측의 정상신은 $58.8{\pm}9.7%,\;23.2{\pm}5.2%$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양측성 급성 신우신염시 상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49.9{\pm}2.9%$, 좌측 $50.1{\pm}2.9%$로 대조군의 우측 $49.4{\pm}2.6%$, 좌측 $50.2{\pm}2.5%$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1)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17.3{\pm}5.3%$, 좌측 $17.4{\pm}5.3%$, 전체 $34.7{\pm}10.3%$로 대조군의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전체 $44.2{\pm}7.8%$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4) 양측성 미만성 결손을 보인 급성 신우신염시 상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48.9{\pm}1.9%$, 좌측 $51.0{\pm}1.9%$로 대조군의 우측 $49.4{\pm}2.6%$, 좌측 $50.2{\pm}2.5%$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18.1{\pm}3.9%$, 좌측 $18.4{\pm}3.8%$, 전체 $36.8{\pm}7.6%$로 대조군의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전체 $44.2{\pm}7.8%$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결론 : 양측성 부분 결손이나 미만성 결손을 보이는 급성 신우신염 환아의 $^{99m}Tc-DMSA$신주사 에서 절대적 신섭취율은 상대적 신섭취율에 비해 진단적 가치가 높았다.

  • PDF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에 대한 $^{99m}Tc$-DMSA 신티그램의 임상적 고찰 ($^{99m}Tc$-DMSA Scintigram for Renal Function Recovery after Therapy in Infants and Children)

  • 문태용;손현주;김인주;윤종병;이석홍;김병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1994
  •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을 관찰하기 위하여 $^{99m}Tc$-DMSA 신스캔을 추적 검사하였다. 치료전과 치료후에 $^{99m}Tc$-DMSA 신스캔을 시행한 9세 이하의 유소아환자는 15명 20예였다. 이들중 10명이 방광요관역류증으로 코헨식요관방광조구술을, 2명의 수신증은 신우성형술을, 1명은 좌요관신우연결부협착증으로 항생제로 치료하였다. $^{99m}Tc$-DMSA 신스캔상 정량적 신섭취율은 y=0.591x-2.105의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질병에 이환되어 치료를 받은 환신은 모두 29개였으며, 치료후 $^{99m}Tc$-DMSA 신스캔상 섭취증가를 나타내어 신기능 회복으로 나타내었던 신장은 20개 (69%)였다. 신기능회복소견을 보였던 예들은 연령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고 치료후 시간경과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었다. 유소아 신질환에서 $^{99m}Tc$-DMSA 신스캔은 측정상의 큰 오차로 치료후 미세한 신기능회복을 평가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소아 99mTc-DMSA 검사에서 신장 섭취율의 평가 (Evaluation of Renal Uptake Rate in 99mTc-DMSA Scan on Pediatrics)

  • 백승주;이효영;길상형;조경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35-238
    • /
    • 2015
  • 소아 $^{99m}Tc-DMSA$ 검사에서 방광의 포함 여부에 따른 신장 섭취율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팬텀실험과 임상실험으로 진행되었으며 3개의 컵으로 좌, 우측신장 그리고 방광에 위치시키고 좌, 우측 신장의 방사능은 일정한 양( 1.0 )으로 고정하였고 방광에 해당되는 컵에는 0, 0.5, 1, 2배 방사능의 차이를 두어 영상을 획득하였다. 임상환자는 $^{99m}Tc-DMSA$ (300uCi, 11MBq)을 주사하여 2시간 뒤 동일하게 영상 획득하여 각각 정량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ver 22.0) 으로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방광의 방사능을 제외한 양측 신장 섭취율은 $29.83{\pm}8.8%$(좌측), $24.29{\pm}6.66%$(우측)이었고, 방광을 포함했을 때 신장 섭취율은 $26.65{\pm}8.03%$(좌측), $21.78{\pm}6.24%$(우측)이었다. 신장 섭취율은 방광의 소변(방사능)이 증가할수록 양측 신장의 섭취율은 감소하였다. 이는 $^{99m}Tc-DMSA$ 신장스캔 시 좌, 우측 신장에서 방사능을 계수할 때 방광의 소변에 포함된 방사능의 계수가 포함되어 신장 섭취율 공식에서 총 계수가 포함되므로 실제 양측 신장 섭취율의 값이 감소되었다.

Effects of High Glucose Levels on the Protein Kinase C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Primary Cultured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Han, Ho-Jae;Kang, Ju-Won;Park, Kwon-M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0권2호
    • /
    • pp.257-267
    • /
    • 1996
  • Diabetes mellitus is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pathophysiologic changes in the kidne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chanisms by which glucose modulates the expression of polarized membrane transport functions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ate of 30 minute $Rb^{+}$ uptake was significantly higher($137.76{\pm}5.40%$) in primary renal tubular cell cultures treated with 20 mM glucose than that of 5 mM glucose. Not the level of mRNA for the ${\alpha}$ subunit of Na, K-ATPase but that of ${\beta}$ subunit was elevated in primary cultures treated with high glucose. The initial rate of methyl-${\alpha}$-D-glucopyranoside(${\alpha}$-MG)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71.91{\pm}3.02%$) in monolayers treated with 20 mM glucose than that of 5 mM glucose. There was a tendency of an increase in phlorizin binding site in cells treated with 5 mM glucose. However, 3-O-methyl-D-glucose(3-O-MG) uptake was not affected by glucose concentration in culture media. TPA inhibited $Rb^{+}$ uptake by $63.61{\pm}1.94\;and\;45.80{\pm}1.36%$ and ${\alpha}$-MG uptake by $48.54{\pm}3.69\;and\;41.87{\pm}6.70%$ in the cells treated with 5 and 20 mM glucose, respectively. Also TPA inhibited mRNA expression of Na/glucose cotransporter in cells grown in 5mM glucose medium. cAMP significantly stimulated ${\alpha}$-MG uptake by $114.65{\pm}5.70%$ in cells treated with 5mM glucose, while it did not affect ${\alpha}$-MG uptake in cell treated with 20 mM glucose. However, cAMP inhibited $Rb^{+}$ uptake by $76.69{\pm}4.16\;and\;66.87{\pm}2.41%$ in cells treated with 5 and 20 mM glucos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ctivity of the renal proximal tubular Na,K-ATPase is elevated in high glucose concentration. In contrast, the activity of the Na/glucose cotransport system is inhibited. High glucose may in part affect the activity of the Na,K-ATPase and the Na/glucose cotransport system by controlling the protein kinase C and/or A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primary cultured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PDF

Effects of High Glucose on Na,K-ATPase and Na/glucose Cotransporter Activity in Primary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 Han, Ho-J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1호
    • /
    • pp.69-80
    • /
    • 1995
  • Renal proximal tubular hypertrophy and hyperfunction are known to be early manifestations of experimental and human diabetes. As the hypertrophy and hyperfunction have been suggested to be central components in the progression to renal failure, an understanding of their underlying causes is potentiall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y. A primary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 culture system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that the renal proximal tubular hypertrophy and hyperfunction observed in vivo in diabetes mellitus, can be attributed to effects of elevated glucose levels on membrane transport systems. Primary cultures of rabbit proximal tubules, which achieved confluence at 10 days, exhibited brush-border characteristics typical of proximal tubular cells. Northern analysis indicated $2.2{\sim}2.3$ and 2.0 kb Na/glucose cotransporter RNA species appeared in fresh and cultured proximal tubule cells after confluence, repectively. The cultured cells showed reduced Na/glucose cotransporter activity compared to fresh proximal tubules. Primary cultured proximal tubule cells 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20 mM glucose have reduced ${\alpha}-MG$ transport compared to cells grown in 5 mM glucose. In the proximal tubule cultures 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5 mM or 20 mM glucose, phlorizin at 0.5 mM inhibited 0.5 mM ${\alpha}-MG$ uptake by 84.35% or 91.85%, respectively. The uptake of 0.5 mM ${\alpha}-MG$ was similarly inhibited by 0.1 mM ouabain (41.97% or 48.03% inhibition was observed, respectively). In addition, ${\alpha}-MG$ uptake was inhibited to a greater extent when $Na^{+}$ was omitted from the uptake buffer (81.86% or 86.73% inhibition was observed, respectively). In cell homogenates derived from the primary cells grown in 5 mM glucose medium,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Na/K-ATPase $(6.17{\pm}1.27\;{\mu}mole\;Pi/mg\;protein/hr)$ was 1.56 fold lower than the values in cell homogenates treated with 360 mg/dl D-glucose, 20 mM $(9.67{\pm}1.22\;{\mu}mole\;Pi/mg\;protein/hr)$. Total $Rb^{+}$ uptake occurred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1.60 fold increase) in primary cultured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 monolayers incubated in 20 mM glucose medium $(10.48{\pm}2.45\;nM/mg\;protein/min)$ as compared with parallel cultures in 5 mM glucose medium. $Rb^{+}$ uptake rate in 5 mM glucose medium was reduced by 28% when the cultures were incubated with 1 mM ouabain. The increase of the $Rb^{+}$ uptake by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in 20 mM glucose could be attributed primarily to an increase in the rate of ouabain-sensitive $Rb^{+}$ uptake $(5\;mM\;to\;20\;mM;\;4.68{\pm}0.85\;to\;8.38{\pm}1.37\;nM/mg\;protein/min)$. In conclusion, the activity of the renal proximal tubular Na,K-ATPase is elevated in high glucose concentration. In contrast, the activity of the Nafglucose cotransport system is inhibited.

  • PDF

Tc-99m DMSA SPECT for Follow-Up of Non-Operative Treatments in Renal Injuries: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 Sang-Geon Cho;Ki Seong Park;Jahae Kim;Jang Bae Moon;Ho-Chun Song;Taek Won Kang;Seong Hyeon 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1017-1027
    • /
    • 2023
  • Objective: The assessment of cortical integrity following renal injuries with planar Tc-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intigraphy depends on measuring relatively decreased cortical uptake (i.e., split renal function [SRF]). We analyzed the additive values of the volumetric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residual cortical integrity using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compared to the planar 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47 patients (male:female, 32:15; age, 47 ± 22 years) who had non-operatively managed renal injuries and underwent DMSA planar and SPECT imaging 3-6 months after the index injury. In addition to planar SRF, SPECT SRF, cortical volume, and absolute cortical uptake were measured for the injured kidney and both kidneys together. The correlations of planar SRF with SPECT SRF and those of SRF with volumetric/quantitative parameters obtained with SPECT wer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SPECT parameters with renal function, grades of renal injuries, and the risk of renal failure was also analyzed. Results: SPECT SR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lanar SRF, with particularly higher biases in severe renal injuries. Planar and SPECT SRF (dichotomized with a cutoff of 45%) showed 19%-36% of discrepancies with volumetric and quantitative DMSA indices (when dichotomized as either high or low). Absolute cortical uptake of the injured kidney best correlated with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t follow-up (ρ = 0.687, P < 0.001) with significant stepwise decreases by GFR strata (90 and 60 mL/min/1.73 m2). Total renal cortical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moderate-to-high risk of renal failure than those with low risk. However, SRF did not reflect GFR decrease below 60 mL/min/1.73 m2 or the risk of renal failure, regardless of planar or SPECT (count- or volume-based SRF) imaging. Conclusion: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renal cortical integrity assessed with DMSA SPECT can provide more clinically relevant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n planar imaging or SRF alone.

수신증을 진단 받은 소아 환자의 DMSA 신장 검사에서 정확한 관심영역 설정에 대한 고찰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on $^{99m}Tc$-DMSA Renal Scan in Pediatric Hydronephrosis Patients)

  • 남궁혁;이동혁;오신현;조석원;박훈희;김정열;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27-33
    • /
    • 2012
  • 수신증 진단을 받은 소아 환자 $^{99m}Tc$-DMSA 신장 검사에서 영상 획득 후 좌-우측 신장의 섭취 비율을 분석하기 위해 관심영역을 설정하는데, 장비의 자동 관심영역 설정 시 수신증으로 확장되어 있는 신우 부위까지 관심영역에 포함되어 정확한 좌-우 신장의 섭취율이라 할 수 없기에 본 연구는 신장 모형과 확장된 신우의 모형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수신증으로 인해 확장된 신우를 포함한 관심영역과 포함하지 않은 관심영역을 비교하여 보다 개선된 관심영역의 설정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또한, 확장된 신우에 섭취된 방사성 의약품이 신장 피질 세포에서의 섭취인지 아니면 요관의 막힘으로 인한 잔류 소변 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 판독의의 도움을 받아 알아 보기로 한다. 두 개의 신장 모형에 같은 양의 물을 채우고 $^{99m}TcO_4$ 111 MBq를 각각 넣어 섞었다. 확장된 신우를 표현하기 위해 5개의 고무 풍선에 물 용량을 각각 10 mL로 채운 후 $^{99m}TcO_4$를 각각 18.5, 37, 55.5, 74, 92.5 MBq를 각각 섞어 준비 하였다. 또한, 고무 풍선에 $^{99m}TcO_4$를 37 MBq으로 고정하고 물 용량을 각각 5, 10, 15, 20, 25 mL를 섞어 준비하였다. 좌측 신장은 모양 그대로 유지하고 우측 신장 모형에 이 고무 풍선을 붙여 수신증의 신장과 비슷한 모형을 만든 후 각각 200만 계수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상을 확장된 신우를 포함한 관심영역과 포함하지 않은 관심영역을 그려서 좌-우 신장의 섭취비율을 비교 하였고, 재현성을 위해 한 영상당 5회씩 관심 영역을 설정하였다. 환자의 경우 $^{99m}Tc$-DMSA를 1.5~1.9 MBq/kg 주사하고, 3~4시간 후에 검사하였고, 숙련된 3명의 방사선사가 각각 1회씩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두 자료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ver. 17) Wilcoxon Signed Ranks Test 사용하였다. 신장 모형 실험 결과로 확장된 신우를 포함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한 것과 포함하지 않고 관심영역을 설정한 두 집단간에 수집계수, 주변 계수, 섭취율을 비교해 본 결과 수집계수와 섭취율의 변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환자 검사 영상에서 또한 섭취율의 변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확장된 신우에 섭취된 방사성 의약품은 확장된 신우에 의해 요관으로 내려가지 못한 잔류 된 소변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위 결과에서 보여 주듯이 신장의 좌-우측 섭취율 도출 시에 수신증으로 인해 신우가 확장된 신장에서 신우를 포함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했을 때의 섭취율이 포함하지 않았을 때의 섭취율에 비해 과섭취율을 보여 주고 있다. 검사자의 작업 편의성과 결과의 신속성을 위해 자동 관심영역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도출해 내고 있지만, 이러한 수신증 환자의 경우에는 확장된 신우에 방사성의약품이 섭취가 되어있는 것은 잔류된 소변이므로 관심영역 설정 시에 확장된 신우 부분을 제외하고 수동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해야 정확한 좌-우측 신장의 섭취율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99mTc-DMSA 검사에서 상대 신섭취율 산출 시 양면상 촬영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Usefulness of Using Anterior and Posterior Views for Calculation of Total Relative Uptake Ratio in 99mTc-DMSA Renal Scan)

  • 김주연;이한울;권오준;김정열;박민수;조석원;강천구;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37-43
    • /
    • 2015
  • $^{99m}Tc-DMSA$ 신장 신티그라피는 피질에 주로 섭취되어 신실질을 영상화하고 좌우 신장 및 배후방사능에 관심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상대 신섭취율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 진단 및 치료 후 경과관찰에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후면상과 양면상 촬영 시 그리고 신장의 깊이를 적용한 경우의 상대 신섭취율 변화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은 신장 팬텀 및 조직등가물질을 이용하여 신장의 깊이에 차이를 주며 깊이 당 각 5번씩 총 25번을 진행하였다. 임상연구는 2014년 2월부터 10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99m}Tc-DMSA$ 검사를 시행한 36명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감마카메라 INFINIA를 사용하였으며 GE사의 Xeleris Ver. 2.1220을 이용하여 신장 및 배후 방사능 모두 자동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하였다. 또한 환자별 신장 깊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측면상을 촬영한 후 실제 신장 깊이를 측정하였다. 후면상에서의 산술평균값과 양면상에서의 기하학적 평균값 그리고 후면상에 신장 깊이를 적용해준 상대 신섭취율을 비교해보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팬텀 실험 결과 좌, 우 신장 깊이의 차이가 1 cm 미만인 경우에는 양면상을 촬영했을 때와 후면상에 실제 깊이를 적용해준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1 cm를 초과한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임상 연구에서는 후면상만을 촬영해준 경우와 후면상에 신장 깊이를 적용해준 경우의 상관관계(r=0.988)에 비해 양면상을 촬영해준 경우와 후면상에 신장의 깊이를 적용하여 보정해준 경우가 더 높은 상관관계(r=0.999)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양면상과 후면상을 촬영했을 때의 상대 신섭취율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면상만 촬영한 경우에도 깊이를 보정해줬을 때와 비교하여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양면상을 촬영해주는 방법을 권고한다.

  • PDF

미세 단백뇨기의 당뇨병 환자에서 $^{99m}Tc$-DMSA 신섭취율은 감소하는가? (Is the Renal Uptake of $^{99m}Tc$-DMSA Decreased in Microalbuminuric Diabetic Patient?)

  • 김성장;김인주;김용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8-404
    • /
    • 1999
  • 목적: 당뇨병성 신증은 말기 신부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서 그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99m}Tc$-DMSA는 신피질용 방사성 의약품으로 개발되었으며 신피질의 기능 손상 유무를 형태적으로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저자들은 $^{99m}Tc$-DMSA 신섭취율이 당뇨병 환자에서 단백뇨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당뇨병성 신증의 조기 예측인자로서 유용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당뇨병으로 본원에 입원한 145명(남자 64, 여자 81, 평균연령 56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99m}Tc$-DMSA 신스캔을 시행하고 신섭취율을 구하였다. 환자를 24시간 소변의 단백배설량에 따라 정상 단백뇨군(1군), 미세단백뇨군(2군), 현성단백뇨군(3군)으로 구분하여 $^{99m}Tc$-DMSA 신섭취율의 차이 및 $^{99m}Tc$-DMSA 신섭취율과 다른 임상지표들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99m}Tc$-DMSA 신섭취율은 2군에서 $40.8{\pm}11.0%$로 1군의 $54.4{\pm}6.3%$보다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01), 3군의 $27.7{\pm}12.0%$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각 군에서 $^{99m}Tc$-DMSA 신섭취율은 혈청 크레아티닌치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었으며(r=-0.62, p<0.001), 크레아티닌 제거율과는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70, p<0.001). 결론: 미세단백뇨기 당뇨병 환자의 $^{99m}Tc$-DMSA 신섭취율은 정상 단백뇨를 보인 당뇨병 환자에서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 현성단백뇨기의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99m}Tc$-DMSA 스캔은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병성 신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검사방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