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nal artery emboliz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182초

둔상 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유출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복강내와 후복막강/골반강내 출혈 비교 (Comparison of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the Each Patient Group with Arterial Embolization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fter Blunt Trauma)

  • 윤지영;김선휴;안력;황재철;홍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prognosis for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which had been confirmed by enhanced abdominal CT scan, after blunt trauma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giographic embolization.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March 2009,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regardi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trast extravasation (CE)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study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the intraperitoneal and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s according to the area of contrast extravasation. We reviewed the initial demographic data, the location of injury, the solid organ injury, the embolized vessel, and the clinical outcom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40.2{\pm}2.6$ years old, and there were 24 male patients. The intraperitoneal group included 10 patients, and retroperitoneal/pelvic group was comprised of 17 patients. The amount of transfusion from presentation to intervention and during the first 24 hours was greater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than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e intraperitoneal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severity of liver injury tha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Angiography revealed that the hepatic artery (n=4) was the most frequently embolized vessel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while the internal iliac artery (n=6), followed by the renal artery (n=4), internal pudendal artery (n=3), and the gluteal artery (n=2), were the most frequently injured vessels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contrast extravasation found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need for transfusion was less in the intra-abdomin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Liver injury was also more frequent and severe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Concurrent Intracranial and Extracranial Arterial Aneurysms: Report of Three Cases

  • Shin, Seung-Ryeol;Kim, Tae-Sun;Lee, Jung-Kil;Lee, Je-Hyu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3호
    • /
    • pp.223-227
    • /
    • 2005
  • Systemic multiple aneurysms are rare, and an association between intracranial and visceral arterial or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the same patient is a very rare occurrence. We report herein three such cases. In one case, aneurysms of the right internal carotid artery(ICA) and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ial bifurcation(MCAB) coexisted with the inferior pancreaticoduodenal arterial pseudoaneurysm and two ileal arterial aneurysms. In another case, the patient had the A-com arterial aneurysm and the right renal arterial aneurysm. And in the other patient, he had the right vertebral artery dissecting aneurysm with the abdominal aortic aneurym. Initially, all patients were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subarachnoid hemorrhage(SAH), and thereafter first two patients developed visceral arterial aneurysm rupture in the course of hospital stay and in the last patient, the abdominal aortic aneurysm was detected incidentally during carotid angiogram for Guglielmi detachable coil(GDC) embolization of vertebral dissecting aneurym. After thorough review of our cases together with pertinent literatures, we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underlying extracranial aneurysms in ruptured intracranial arterial aneurysm patient and it's uncommon but fatal complication.

Six-year Experience of Endovascular Embolization for Intracranial Aneurysms

  • Jung, Yeun-Ho;Park, Seong-Hyun;Kim, Yong-Sun;Hamm, In-Su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3호
    • /
    • pp.190-195
    • /
    • 2005
  • Objective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cedural complications, aneurysm occlusion rate, and mid-term outcome of endovascular treatments in intracranial aneurysm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35 patients with 161 cerebral aneurysms who were treated by endovascular means at our institute from March 1999 to December 2004. We statistically analyzed overall outcome, occlusion rate,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rupture history, and neck size of aneurysms. Results : Forty-nine patients [36.3%] had experienced acute intracranial or extracranial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Among these, there were 13cases of perforation of the aneurysm, 9 of local vasospasm, 8 of thromboembolism, 4 of coil migration, 3 of occlusion of parent vessels due to coil protrusion, and 1 of seizure. Extracranial complications occurred in 14cases including alopecia [9cases], femoral artery thrombosis [2cases], acute renal failure [2cases], and hypovolemic shock [1case]. One hundred twenty-six aneurysms [78.3%] had complete occlusion of the aneurysm and 35 [21.7%] incomplete occlusion at 6months angiographic follow-up. Postembolization clinical follow-up ranged from 1 to 60months [mean, 14.2months]. Seven of the 161 aneurysms underwent additional embolization and 2 incomplete embolized aneurysms required subsequent surgery. Conclusion : The procedural complications and incomplete occlusion rates are substantial. Therefore, endovascular treatment needs close and continued neurosurgical and neuroradiological concerns for the therapy of intracranial aneurysms.

사지동맥의 색전제거술 -26례의 분석- (Embolectomy of Arteries of Extremities -Clinical analysis of 26 cases)

  • 강종렬;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2-178
    • /
    • 1997
  •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에서 실시한 말초동맥 색전제거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87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26명의 환자가 색전제거술을 시술받았고 남자는 18명 여자는 8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56.8세 였다. 24명의 환자에서 휴식시 동통이 주소였고 2명의 환자에서 급성 증상의 회복후 장기간의 간헐적 파행을 호소하였으며 10명의 환자에서만 신경/근육 증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색전은 심인성으로 빈도가 높은 원인질환으로8명의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 11명의 환자는 심장판막질환이 있었다. 동맥색전 부위는 상지동맥이 6명, 안장색전증이 2명, 하지동맥 18명이였고 대퇴동맥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술전 동맥조영술은13명의 환자에서 진단과 수술계획을 위해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명만이 6시간이내 색전제거술을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모두 6시간 이후에 수술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우회로 조성술 엄이 포가티 색전제거 카테터를 사용하여 색전제거술을 하였는데, 상지동맥 색전증은 상완동맥 절개로 수술하였고, 안장색전증의 경우 양측 서혜부 절개로 접근하였으며, 하지동맥 색전증은 경대퇴동맥 접근을 하 느립\ulcorner3명의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 환자에서 재수술시 경술와 동맥 색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로 18명의 환자가 헤파린이나 푸락시파린으로 항응 고제 요법을 받았고 17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와파린을 투여하였으며 항응고제 투여의 적응증은 심판막 질환, 심방세동, 말초동맥 죽상경화증, 재발색전 등이었다. 색전제거술후 14명의 환자에서 좋은 결과가 있었고, 5명에서 재수술후 증상 호전되었으며, 심한 하지동맥 죽상경화증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슬관절 이하 하지절단을 시행하였다. 색전재발은 1명, 사망 환자는 2명이 였는데, 사인은 각각 급성 신부전과 뇌동맥 혈전증이였다. 색전제거술 합병증으로 재관류 손상, 가성동맥류, 내막박리 등이 각각 1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지동맥 색전증치 진단이 지연되고 있고, 허혈성 심질환을가진 고령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었다. 술전 동맥조영술은 항상 진단과 수술을 위해 필요하지 않으며 항응고제는 적응증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여하여 색전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의 경우, 경대퇴동 맥 접근으로 선택적인 경골동맥 색전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 PDF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Aprotinin의 안전성 (Safety of Aprotinin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1-505
    • /
    • 1997
  • 초 저체온 및 순환정지하 개심수술시 Aprotinin을 사용하는 경우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신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1992년 11월부터 95년 8월까지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대 동맥 수술을 한 44례 환자 중 고농도 Aprotinin을 사용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주요장기에 미치 는 aprotin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저체온하 순환정지 시에는 좌측대퇴동맥을 통하려 저혈류로 순환시켜 흉부대동맥내로 공기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순환정지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대동맥궁을 치 환하는 경우에는 선택적뇌관류를 하였다. 순환정지시 활성응고시간은 639초에서 1531초로 1례를 제외한 모 든 환자에서 활성응고시간을 750초 이상 유지하였다. 대상환자 20례중 수술사망은 4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원인은 출혈 1례, 폐출혈 1례, 좌 관상동맥 박리에 따른 좌심실 기능부전이 1례, 근리고 다발성 뇌경색이 1례 있었다. 수술 후 뇌손상이 2례에서 발생하였으나 1례는 수술전 부터 자측 총경동맥 박리가 원인이었고 1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얼었다. 생존한 환자중 수 술 후 신 기능이나 간기능의 이상은 얼\ulcorner다. 결론적으로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를 이용한 대동맥수술시 avotinin을 사용한 결과 ACT를 750초이상 충분 히 유지하고, low flow retrograde perfusion을 유지하는 경우 신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합 병증이 증가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o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 Song, June Seok;Kim, Sa Il;Kim, Woongjun;Park, Dong Won;Kwak, Hyun Jung;Moon, Ji-Yong;Kim, Sang-Heon;Kim, Tae Hyung;Sohn, Jang Won;Shin, Dong Ho;Park, Sung Soo;Yoon, Ho J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4호
    • /
    • pp.163-168
    • /
    • 2013
  • Background: In uncontrolled hemoptysis patient,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is a important procedure i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cidence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and the risk factors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CIN)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in two university hospital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11. CIN was defined as rise of serum creatinine more than 25% of baseline value or 0.5 mg/dL at between 48 hours and 96 hours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We excluded patients who already had severe renal insufficiency (serum creatinine${\geq}4.0$) or had been receiving dialysis. Results: Of the total 100 screened patients, 88 patients met the enrollment criteria. CIN developed in 7 patients (8.0%). The mean duration betwee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of CIN was $2.35{\pm}0.81$ day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serum albumin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IN (p=0.0219).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idence of CIN was higher than expected and patients with hypoalbuminemia should be monitored more carefully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IN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개에서 다중나선형 CT촬영에 의한 동맥혈전색전증의 평가 (Assessment of Systemic Arterial Thromboembolism with Multi-Slice Spiral CT in a Dog)

  • 신승호;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3
    • /
    • 2007
  • 호흡곤란과 후지마비 및 발등부위의 괴사를 나타낸 수컷 진돗개가 전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초기 검사에서 심장 사상충 감염이 확인되었다. 흉부방사선 외측상에서 폐동맥의 확장과 후엽의 간질패턴, 그리고 복배상에서 주 폐동맥의 뚜렷한 확장등이 관찰되어 심장사상충증을 뒷받침하였고, 복부 외측상 및 복배상에서 복부세부음영 소실이 관찰되어 복수를 의심하였다. 초음파상에서 복수와 불규칙한 간변연 그리고 신장양극의 피질에서 쐐기모양의 국소적 고에코상을 관찰하였으며 복부대동맥에서 분지하여 주행하는 바깥장골동맥의 3상형 동맥파형이 분지부 근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이 후 대퇴동맥의 파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혈액화학검사에서 백혈구증다증, 빈혈, 혈색소 뇨, 고빌리루빈혈증, 저 알부민혈증, 전해질불균형, 그리고 간장 및 신장효소치의 상승등이 관찰되어 광범위한 장기의 손상이 의심되었다. 특히 글루코스는 정상적인 전지와 마비를 보이는 후지에서 비교한 결과 후지의 글루코스 수치가 현저하게 낮았다. 전산화단층촬영술 후 3차원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이용하여 후지 마비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후지 동맥의 혈전색전증과 폐동맥혈전색전증 및 신장경색 등을 확인하였다. 예후불량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적 중재적 방사선술을 시도하였으나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3차원 재구성 CT 영상은 색전증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유용하며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판단된다.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에 있어서 이식편의 대동맥부 근위부 문합 방법에 따른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의 비교: 하트스트링을 이용한 방법 대 고식적인 수기 문합술 (Comparison of the Neurologic Outcom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ximal Graft Anastomosis at the Aortic Side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Heartstring Sealing System versus Conventional Manual Anastomosis)

  • 조원철;김준범;김희중;김환욱;김윤석;정재승;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41-446
    • /
    • 2009
  • 배경: 관상동맥 우회술의 대동맥부 근위부 문합을 위한 상행 대동맥 부분 겸자는 대동맥 내벽에 존재하는 죽상반의 색전에 의한 뇌경색의 위험성을 높일 뿐 아니라, 겸자에 따른 직접적 대동맥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Heartstring proximal sealing system (Guidant Corporation, Santa Clara, Calif)을 이용한 근위부 문합은 대동맥 부분 겸자를 피할 수 있어, 이러한 잠재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이 연구는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의 근위부 문합에 있어서 대동맥 부분 겸자를 통한 수기 문합과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문합간의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499명의 환자가 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았다. 그 중 182명의 환자가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이식편 대동맥 근위부 문합술을 시행받았고(I군), 317명의 환자가 고식적 수기 문합술을 시행 받았다(II군). 이 두 군간의 수술 후 신경 손상을 비롯한 주요 합병증 및 사망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나이, 성별, 좌심실 구출율, 신장 기능, 당뇨, 고혈압, 흡연력 등의 수술 전 인자들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전 뇌허혈의 과거력은 환자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I군 31.3%, II군 34.4%, p=0.48), 뇌혈관 MRI상에서의 내경동맥의 협착이 75%가 넘는 환자는 I군이 81명(44.5%), II군이 95명으로(30.0%)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3). 수술 후 새로 발생한 신경 이상의 경우 I군에서 3명, II군에서 2명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258), I군의 경우 모두 일과성 허혈이었던 것에 반해 II군의 경우 모두 색전에 의한 다발성 뇌경색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수술 후 발생한 주요 합병증(p=0.47)및 사망(p=0.40)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I군에서 한 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근위부 분합에 따른 대동맥 박리증이 발생하여 상행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비록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가 낮아 통계학적 유의성에 다다르진 못했으나, Heartstring system을 이용한 근위부 문합술은 고식적 문합에 비해 색전에 의한 수술 후 뇌졸중의 합병 및 대동맥 손상의 위험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