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ble prosthodontic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1초

과도한 치아 마모와 교합평면 붕괴를 보이는 환자에서 상악 고정성 보철 및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통한 구강회복 증례 (A case of oral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and occlusal plane collapse, utilizing maxillary fixed prosthesis and mandibular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안재형;김성용;김성아;이용상;이근우;장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74-182
    • /
    • 2024
  • 다수의 구치를 상실한 환자에서는 전방부 치아들의 마모나 변위, 교합평면의 붕괴와 교합수직고경의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편측으로 소수의 치아만 가진 경우 국소의치는 생역학적으로 불리하므로, 소수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우측 구치부 상실로 인해 전방부 치아들이 심하게 마모되고, 교합평면이 붕괴되어 있었다. 최소한의 교합 수직고경 거상과 함께 상악 고정성 보철 및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을 진행하였고,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악 견치 잔존시 의치 설계에 따른 치아 지지조직 및 잔존치조제의 광탄성 응력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N TOOTH SUPPORTING STRUCTURE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DENTURE DESIGN FOR REMAINING MANDIBULAR CANINES)

  • 김일평;고준원;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6-50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patterns developed in abutment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removable denture design in case of remaining mandibular canines. The removable denture designs in this study were as foolows : 1.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2.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splinted abutment 3. Overdenture with telescopic crown 4. Overdenture with O-Ring attachment 5. Overdenture with combination bar attachment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was used to record the isochromatic fringe patterns and to calculate principal stress components at measuring poi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stress of root area at the loaded side was the larg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of root area were observed between loaded side and unloaded sid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of residual ridge at the loaded side were observed betwee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splinted abutme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3. In case of combination bar attachment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oot area was the largest and in case of telescopic crown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oot area was the lowest. 4. In case of attachment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esidual ridge was lower but stress of root area was larger than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 PDF

단일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20 개월 경과 관찰 증례 보고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crown: A 20-month follow-up case report)

  • 노경우;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23-329
    • /
    • 2018
  • 후방 무치악 부위를 수복하는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전통적인 치료방법으로는 가철성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이 있다. 최근, 환자의 전신 건강과 심미적 요구사항, 치료 비용, 잔존 치조골 상태 등을 고려하여, 두가지 치료가 결합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 assisted RPD)개념이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치조골 결손부가 큰 경우나, 생역학적으로 불리한 경우에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조골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위에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전통적인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양측 소구치부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하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최종 보철물 장착 후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에 대해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후 1년 이상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예후를 관찰 중이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통해 증진된 지지와 안정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총의치 제작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기술과 임상적 고찰 (Application and consideration of digital technology for removable complete denture)

  • 이정진;송광엽;박주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9호
    • /
    • pp.534-543
    • /
    • 2019
  •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various aspects of the clinical dentistry. The intraoral scanner and Computer-aided design /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technology are widely used in fabricating fixed prostheses and in implant surgery. These technologies greatly improved the efficiency of clinical and laboratory procedures. With all newly introduced software, devices, and clinical studies,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applied in removable prostheses. It is now possible to fabricate the removable prostheses more quickly and easily through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Various clinical and laboratory protocols were introduced by many manufacturer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summarize the literature on digital technology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 wi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 PDF

하악 편측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b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fixed implant prosthesis in unilateral partial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기원진;박재호;임현필;윤귀덕;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6-181
    • /
    • 2019
  •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소수의 치아로 지대치를 형성하여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 시 환자의 불편함 및 지대치 손상 등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최근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제작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수직 악간관계를 보존하고 본인의 치아와 같은 형태를 부여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향상된 저작 기능의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통하여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역학적, 기능적으로 유리한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 요소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환자에게 경제적 및 사용 시 만족감을 가져왔다.

Implant-assisted Removable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 Oh, Hyun-Su;Lim, Young-Jun;Kim, Myung-Joo;Kwon, Ho-Beom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32-39
    • /
    • 2021
  • 'Crossed occlusion' is the condition in which occlusal intercuspation is lost when several teeth on upper and lower jaw remain. This report describes a clinical case in which a patient had two upper-left posterior teeth and two lower-right posterior teeth; typically known as left-right crossed occlusion. Considering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financial situation, the treatment plan included placement of two implants on each jaw against the remaining teeth using surgical guide. To find out the ideal position of implants, digital diagnostic wax-up was preceded by superimposing the cast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 which was aided with radiographic stents. The consequent surveyed implant bridge provided stable vertical stop for fabrication of the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functionality and esthetics of definitive prosthesis.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with a Crown-type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hrough Guided Implant Surgery: A Case Report with a 12-month Follow-up

  • Jun, Ji Hoon;Oh, Kyung Chul;Li, Jiayi;Moon, Hong Seo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5-83
    • /
    • 2022
  • Crown-type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CIRPDs) can be a feasible treatment option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Here we report a case with remaining unilateral mandibular teeth. Two implants were placed in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using a surgical guide, and a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s was fabricated. After 12 months, both the abutment teeth and implants were in good condition. The treatment outcomes were satisfactory in terms of masticatory function and esthetics. The advantages of CIRPDs and considerations for obtaining successful clinical outcomes with these dentures are also discussed.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자유 착탈가능 임플란트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수복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freely removable abutment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오유경;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8-66
    • /
    • 2020
  • 완전무치악환자의 보철 치료를 위한 방법 중에서 임플란트 지지 상부보철물을 서베이드 금관의 형태로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활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치료 방법에서 지대치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은 유지 형태에 따라 전통적으로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장, 단점이 존재한다. 시멘트 제거, 수리의 어려움, 나사구멍(screw hole)으로 인한 비심미성 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새로운 유지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 시스템인 EZ crown system (Samwon DMP, Yangsan, Korea)이 소개되었다. 이 시스템은 fixture에 체결되는 나사 일체형의 특수 abutment와 니켈-티타늄 스프링과 지르코니아 볼이 포함된 cylinder 구조물을 microlocking 방식으로 연결하여 유지력을 얻는다. 이번 증례의 환자는 하악 피개의치의 지대치가 발거되어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 맞춤형의 진단 과정을 통해 전방부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특히, 전통적인 방식의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EZ crown system을 적용한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제작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digital guide surgery in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김태훈;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88-96
    • /
    • 2021
  •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와 더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또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중 부착 장치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함께 이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경우, 부착 장치와 국소의치가 동일한 삽입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국소의치를 사용하던 중,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플란트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활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임플란트 식립 시, 기존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의 삽입로와 동일한 식립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이용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좌, 우측 소구치부에는 로케이터를 장착하고, 좌측 구치부에는 치유 지대주 상태로 국소의치의 지지를 부여하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국소의치 장착시 잔존치아의 치태침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QUE ACCUMULATION FOLLOWING THE WEARING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 주대원;장익태;김광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7-206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ring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plaque accumulation. Twelve removable partial denture cases were examined. Patients were recalled three consecutive 3 day periods. Plaque index was measured after each 3 day period. (1) not wearing the denture, (2) wearing the denture, (3) wearing the denture after intensive tooth brushing instr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laque indices of all the remaining teeth were higher following the wearing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than those of teeth not wearing the denture and those of teeth after intensive tooth brushing instruction. 2. Plaque indice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ll the tooth surfaces which were in contact with the denture and those which were not. 3. Plaque indic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which were in contact with the denture and those which were not. 4. Plaque indice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oximal surfaces which were in contact with the denture and those which were n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