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humidity of microclimat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투습방수의류의 착용쾌적성 평가 (Assessment of Wear Comfort of Water-vapor-permeable (WVP) garments)

  • 강인형;박효숙;이한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928-939
    • /
    • 2012
  • This study evaluates wear comforts of water-vapor-permeable (WVP) garments through a measurement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skin and rectal temperatures, microclimate between skin and clothing, sweat rate, and subjective sensations (thermal, wet and comfort sensations) to correl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human body with its comfort feeling. Wear comfort during a specific exercise on a treadmill in a climatic chamber (temperature T = $20{\pm}0.5^{\circ}C$ and relative humidity H = $50{\pm}10%$) were studied using eight men wearing seven sportswear outfits (a long sleeve shirts and a long pants) made with seven different WVP fabrics. A comfort sensation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skin T (p<.001), microclimate (T and H) between skin and clothing (p<.001) and sweat rate (p<.05). A regression model correlating comfort sensation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btained from wearer trials could be established: Y = 14.167 - 0.362 ${\times}$ X1 + 0.424 ${\times}$ X2 - 0.238 ${\times}$ X3 - 0.561 ${\times}$ X4 + 0.253 ${\times}$ X5 + 0.214 ${\times}$ X6 - 0.393 ${\times}$ X7 + 0.023 ${\times}$ X8 - 0.043 ${\times}$ X9. (Y = comfort sensation, X1 = forehead skin T, X2 = forearm skin T, X3 = hand skin T, X4 = thigh skin T, X5 = T of chest microclimate, X6 = T of thigh microclimate, X7 = chest sweat rate, X8 = H of back microclimate, X9 = H of thigh microclimate. The regression model obtained in this work can be used by manufacturers to objectively estimate the comfort sensation of sportswear before it is introduced to the consumer market. This study provides salient information to sportswear manufacturers and sportswear consumers.

양말 소재별 인체생리적 반응 및 주관적 감각평가 (Evalu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in Different Sock Materials)

  • 김칠순;정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475-148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according to fiber content of socks. Six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ear trial test which was conducted in controled environmental chamber with 26${\pm}$1$^{\circ}C$ and 60${\times}$3%. R.H.SA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ean skin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different socks. AWNP socks had the highest mean skin temperature and instep temperature. Also relative humidity in the microclimate of socks as well as heart rate were influenced by fiber content of socks, However, test of subjective sensation such as thermal, humid, comfort sensat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different socks thermal sensation during the exercise and recovery period.

  • PDF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와 화분용토에 따른 스킨답서스, 싱고늄의 실내습도 개선효과 (Effect of Scindapsus aureus and Syngonium podophyllum on the Improvement in Indoor Humidity by a Difference of Hydoroculture Volume Ratio and Pot Media)

  • 주진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4-99
    • /
    • 2009
  • 본 연구는 하이드로컬쳐 실내녹화방법을 실내습도 개선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엽식물로 매우 보편화된 스킨답서스(Scindapsus aureus)와 싱고늄(Syngonium podophyllum)을 대상으로 하이드로컬쳐 식재 부피비율인 2%, 3%, 5% 차이와 3%의 동일한 하이드로컬쳐 식재대에서의 화분용토, 식물종의 차이에 따른 실내습도 변화를 실측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에 따른 습도 변화에 있어서 스킨답서스의 경우, 식물이 투입하지 않았던 대조구에 비해 식물이 있는 생장상 내 상대습도가 높았다. 특히, 식물과 식재대의 용적비율이 높아질수록 습도가 높아졌다. 상대습도 25%인 대조구에 비해, 2%는 40%를, 3%는 45%를, 5%는 50%로 측정되었다. 싱고늄은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 2%는 40%를, 3%는 44%를, 5%는 46%로 각각 나타내어 대조구인 25%의 상대습도보다는 높았으나 부피비율에 따른 상대습도 차이는 확연하지 않았다. 하이드로컬쳐 식재대 내의 화분용토와 식물종에 따른 상대습도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인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초기 상대습도가 다소 높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식재대 내의 흙화분 처리구와 유사한 약 45%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였다. 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상대습도가 약 30%로 나타났으며,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한 산호수는 상대습도 약 38%로 측정되었다.

산불 피해지 복원 방법이 임분 내 미세 기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Restoration Methods and Stand Structure on Microclimate in Burned Forest Stand)

  • 김정환;임주훈;박찬우;권진오;최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6
    • /
    • 2015
  • 본 연구는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수종의 구성에 따라 미세 기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어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임분의 구성에 따라 임분 내 기상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 변수로 임분을 구성하는 수종의 종류와 생장, 임분 밀도, 그리고 피복율이며, 이에 따른 종속 변수로는 임분 내 광량, 기온, 습도, 토양 온도, 그리고 토양 수분 함량이었다. 기상 조건은 대부분 광 조건에 영향을 받는 종속 변수이나, 임분을 구성하는 수목의 생장과 피복률에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 내 습도는 임분 밀도와, 임분 내 기온과 수목의 수고와 음(-)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분 밀도와 수목의 생장이 증가할수록 임분 내부의 기온과 습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임분의 발달은 대부분 미세 기후의 전체 평균보다는 변동계수와 같은 편차를 줄이는 형태로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수관 층의 수고와 임분 내 광량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R^2$=0.87), 임분의 구조는 광량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다른 미세 기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변동계수의 경우 삼척 지역이 고성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목의 생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산불 발생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현재 단계에서는 산불 피해 이후 숲의 발달에 따른 임분 내부의 기상 조건의 변화상을 뚜렷하게 확인하고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를 위해서는 보다 긴 시간에 걸쳐 많은 지점에서의 기상 조건과 임분 현황을 지속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일반화된 자료를 활용한다면, 임분 구조와의 관계 해석은 물론, 하층 식생 출현 등에 대한 해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Individual Sweating Response on Changes in Skin Blood Flow and Temperature Induced by Heat of Sorption Wearing Cotton Ensemble

  • Tanaka, Kaori;Hirata, Kozo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권5호
    • /
    • pp.398-404
    • /
    • 2000
  • We examined the effect of individual sweating responses on thermoregulatory responses induced by heat of sorption, immediately after the onset of sweating.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made of 100% cotton (C) and 100% polyester (P) clothing were exposed in the chamber at ambient temperature (Ta) of $27.2^{\circ}C$ and relative humidity (rh) raised from 50% to 95% at five different increase rates of environmental vapor pressure (VP). The increase rate of clothing surface temperature (Tcs), peak Tcs and peak tim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crease rate of environmental VP in C-clothing (p<0.05). In experiment 2, seven female subjects were studied during leg water immersion ($35-41^{\circ}C$) for 70min in Ta of 27.2 and 50%r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increase rate of clothing microclimate VP vs. changes in Tcs, skin blood flow, mean skin temperature and mean body temperature (p<0.05).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clothing microclimate VP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rmoregulatory responses induced by heat of sorption wearing C ensembles.

  • PDF

Characterization of Odorant Compounds from Mechanical Aerated Pile Composting and Static Aerated Pile Composting

  • Kumari, Priyanka;Lee, Joonhee;Choi, Hong-Li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94-598
    • /
    • 2016
  • We studied airborne contaminants (airborne particulates and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compost facilities in South Korea. There are primarily two different types of composting systems operating in Korean farms, namely mechanical aerated pile composting (MAPC) and aerated static pile composting (SAPC). In this study, we analyzed various particulate matters (PM10, PM7, PM2.5, PM1, and total suspended particl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mmonia, and correlated these airborne contaminants with microclimatic parameters, i.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Most of the analyzed airborne particulates (PM7, PM2.5, and PM1) were detected in high concentration at SAPC facilities compered to MAPC;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Similarly, most of the odorants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MAPC and SAPC facilities, except for dimethyl sulfide (DMS) and skatole. DMS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PC facilities, whereas skatol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PC facilities. The microclimate variables also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MAPC and SAPC facilities, and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most of the airborne particles and odorous compounds, suggesting that microclimate variables did not influence their emission from compost facilitie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the airborne contaminants that are emitted from compost facilities and the two different types of composting agitation systems.

기후변화 대응 건축물 기화냉각시스템 적용에 따른 외부 열환경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External Heat Environment of Building Evaporative Cooling System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윤용한;권기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61-126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xternal therm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evaporative cooling systems in building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verify changes in the external thermal environment, a T-test was performed on the microclimate, Thermal Comfort Index (TCI), and building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s in microclimate,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evaporative cooling system in the building,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particular, temperature decreased by more than 7% when the evaporative cooling system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hermal Comfort Index analysis, the Wet-Bulb Globe Temperature (WBGT) was below the limit of outdoor activities, indicating that outdoor activities were possible. The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 values were within the very strong heat stress range when the evaporative cooling system was not applied, When the system was applied, the UTCI values were within the strong heat stress range, indicating that they were lowered by one level. The building surface temperature decreased by ~10% or more when the evaporative cooling system was applied, compared to when it was not applied. Finally, the outsid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uilding decreased by ~12% or more when the system was applied, compared to when it was not applied. We conclude that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building was significant.

광합성효율 모델을 이용한 밀폐형 식물 생산시스템의 재배환경 최적화 (Optimization of Growth Environment in the En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Using 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 김기성;김문기;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9-2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 내에서 생체정보에 의한 최적 환경제어와 식물의 환경스트레스 판단을 위하여 엽록소형광 분석법으로 광합성효율 모델을 만들었으며, 광합성효율 모델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배환경 최적화 프로그램의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6가지 미기상 요인 중 5가지는 고정하고 1가지씩만 변화시켜 가며 측정한 Fv'/Fm'이 최대가 되는 환경조건은 기온 $21^{\circ}C,\;CO_2$농도 $1,200\~1,400ppm$, 상대습도 $68\%$, 기류속도 $1.4m{\cdot}s^{-1}$, 배양액온도 $20^{\circ}C$이었으며 PPF가 $140{\mu}mol{\cdot}m^{-2}{\cdot}s^{-1}$ 보다 증가할수록 광합성 효율은 감소하였다. 광합성효율모델의 오차는 평균 $2.5\%$였다. 재배환경 최적화 프로그램으로부터 계산된 밀폐형식물 생산시스템내에서 상추의 최적재배환경조건은 기온 $22^{\circ}C$, 배양액온도 $19^{\circ}C,\;CO_2$농도 1,400ppm, 기류속도 $1.0m{\cdot}s^{-1}$, PPF $430{\mu}mol{\cdot}m^{-2}{\cdot}s^{-1}$, 상대습도 $65\%$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광합성 효율 모델을 이용하여 식물 생산시설의 환경모니터링 시스템과 식물 생체정보에 의한 최적제어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현풍석빙고의 미기후 분석을 통한 손상요인 해석과 보존환경 평가 (Damage Factor Interpretation and Conservational Environment Assessment by Microclimatic Analysis of Hyeonpung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Korea)

  • 김지영;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5-395
    • /
    • 2010
  • 이 연구는 현풍석빙고의 미기후 특성을 분석하여 손상에 영향을 미친 기후인자를 해석하고 보존환경을 평가한 것이다. 석빙고의 내부 구성부재에는 균열, 이격, 탈락, 박락, 백화, 갈색 변색, 흑색 변색 및 생물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생물에 의한 변색이 가장 높은 훼손율(24%)을 보였다. 석빙고 내부의 환경은 외부의 기상 변화에 따라 변동하나 변동폭과 일교차가 작고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석빙고 전면의 산사면과 폐쇄된 입구환경이 외기를 차단하여 온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다. 석빙고의 단열환경은 수분의 응축과 동결 현상을 방지하여 물리적 손상도를 저감하고 장빙기능을 극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99% 이상의 높은 상대습도는 미생물의 생장을 활성화시켜 생물학적인 손상도를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의 보존환경 및 미기상 분석 (Analysis of Microclimate and Conservation Environment of the Stone Buddha and Shrine in Unjusa Temple, Hwasun, Korea)

  • 박성미;이찬희;이명성;김사덕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1호
    • /
    • pp.73-84
    • /
    • 2009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제797호)은 고려시대 양식을 갖추고 있는 석조문화재로서 우리나라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거대한 석조불감이다. 남쪽과 북쪽의 감실 내부에는 각각의 불상이 등을 맞대고 있는 쌍배 좌상의 독특한 양식을 보이고 있어 역사적, 미술사적 및 학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석조불감은 특별한 보호시설 없이 옥외에 노출되어 장기간 풍화를 받아 다양한 훼손양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인 훼손 및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석조불감 내부와 외부의 온도분포와 상대습도를 일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이 결과, 석조불감의 기온 및 상대습도 연중변화는 일정한 변동률의 폭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기온은 계절에 따라 상승과 감소의 경향을 뚜렷이 보이는 반면, 상대습도는 사계절 모두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조불감의 내부는 높은 상대습도로 인해 표면 결로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봄, 여름 및 겨울철에 관찰된다 특히 여름철은 봄과 겨울철의 합보다도 2배정도 높게 나타나며, 기온이 높고 상대습도가 거의 100%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결로현상이 오랫동안 암석 표면에 지속되어 구성광물을 용해시키고 표면을 변질시켜 화학적 풍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석조불감의 보존을 위해 결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습도의 저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