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growth rate (RGR)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Scientometrics Profile of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search

  • Gnanasekaran, D.;Balamurugan, S.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53-65
    • /
    • 2016
  • The authors in this paper aim to identify the growth of litera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The research publications on IPRs were downloaded from the Scopus online citation database and the authors found that there were 1,513,138 records contributed globally over a period of 10 years from 2005 to 2014. The distribution of publications based on the year, country, and document type were studied. Relative growth rate (RGR) of the publications and doubling time (Td) were calculated. Most productive organizations, source titles, and the productive authors on IPR research were studied. Most cited articles in the study area were identified. The results show that a number of publications under the subjects Medicine and Engineering were produced. The developed countries are very active in IPR research and producing publications. It is found that one institution which holds the sixth place among the top 10 most productive institutions belongs to Brazil, a developing country. Two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hold second and tenth positions respectively in the top 10 countries contributing literature on IPRs.

생장조절체 처리가 원통형 종이포트묘의 도장 억제 및 근권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Approaches with Diniconazole on the Inhibition of Stem Elongation and the Stimulation of Root Development of Cylindrical Paper Pot Seedling)

  • 장동철;수찬;김시홍;김대훈;김재경;허재윤;넉탕부;최기영;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5-372
    • /
    • 2020
  • 본 연구는 원통형 종이포트 토마토 육묘시 Diniconazole의 처리방법이 도장억제 및 근권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엽면적, LAR, 초장, 충실도, 생체중, RGR 및 R/S 에서 시험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한 농도를 처리했을 경우, 근권부와 지상부의 흡수도 차이로 인해 저면관수가 엽면살포에 비해 도장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저면관수는 엽면시비의 10분의 1의 농도만으로도, 20~30%정도의 동일한 도장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디니코나졸 처리에의한 근권부 반응이 흥미로웠는데, 저면관수시 총근장, 근권부피, 평균 근경 및 근단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0.3mm 이하의 초미세근이 감소하고 0.3~0.6mm의 세근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원통형 종이포트 육묘시 저면관수를 하는 것이 기존 엽면시비에 비해 사용량이 적으면서도 도장억제 및 근권부 활착률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nsulfuron-methyl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억제기간(生育抑制期間) 중의 생리적(生理的) 변화(變化) (Physiological Changes of Eleocharis Kuroguwai During Period of Growth Inhibition Caused by Bensulfuron-methyl)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1-175
    • /
    • 1994
  •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生育) 억제(抑制)로 부터 재생(再生)에 이르는 기간(期間) 중의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의 소장(消長), 각(各) 기관별(器官別) 호흡(呼吸), 광합성율(光合成率)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이후 생장(生長) 억제(柳制) 기간(期間)에는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의 증가(增加)가 전혀 없다가, 39g/ha 처리(處理)에서는 처리(處理) 후 25-30일부터, 51g/ha 처리(處理)에서는 30-35일부터 증가(增加)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가 재생(再生)의 시점(時點)이었다.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처리(處理) 직후 부터 급속히 감소되어 40일 후에는 거의 소진(消盡)되었던 반면에, bensulfuron-methyl이 처리(處理)된 경우에는 재생(再生) 직전까지 거의 변화(變化)가 없다가 재생(再生)과 함께 급격히 소모(消耗)되었다. 또한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30일, 39g 및 5lg/ha 처리시(處理時)에는 각각 처리(處理) 후 60일 및 70일까지 지속(持續)되었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생육(生育) 억제(柳制)된 올방개는 이 기간(期間)중에도 최소한(最小限)의 호흡(乎吸)과 광합성(光合成)을 행하였으며, 재생(再生)과 함께 호흡(呼吸)과 광합성율(光合成率)이 크게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 PDF

Priming 처리가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orbus alnifolia)

  • 서병수;최충호;박우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2
    • /
    • 2009
  • 종자 priming은 발아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빠르고 균일하게 하는 유용한 종자처리기술로서 조경적 가치가 뛰어난 팥배나무 종자의 번식 효율성을 위해 다양한 발아촉진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Priming 처리를 위해 NaCl, $CaCl_2$, $KNO_3$, PEG(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라 각각 2일과 3일간 처리하였으며, 실험종료 후 발아특성 및 유묘생장특성을 분석하였다. 발아율은 $KNO_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발아일수는 $KNO_3$ 200 mM 2일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속도와 발아균일지수 역시 $KNO_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발아특성 증진에는 $KNO_3$가 적정한 처리제임을 짐작하였다. Priming 처리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들을 대상으로 상대생장율과 유묘활력지수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5), 상대생장율(수고 및 근원경)의 경우 NaCl 4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묘활력지수는 발아율에서 가장 높았던 $KNO_3$ 100 mM 2일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riming 처리를 위한 염류(NaCl, $CaCl_2$, $KNO_3$, PEG) 중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적정 처리제는 $KNO_3$로 판단되었으며, 적정처리조건은 100 mM 2일처리였다.

벼 조기초관폐쇄성의 품종 변이 및 수량과의 관계 (Genotypic Variation of Rapid Canopy Clos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Yield of Rice)

  • 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7-143
    • /
    • 2008
  • 조기 초관폐쇄성(rapid canopy closure, RCC) 또한 벼의 유전적인 잠재수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리적 특성 중 하나이다. EGV(early growth vigor)가 상이한 22개 품종을 선정하여 EGV와 초관의 조기폐쇄성(RCC)과의 관계, RCC와 생육 및 수량간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포장실험(이앙재배)을 실시하였다. 초관이 폐쇄되기 전의 생장은 $y\;=\;{\alpha}{\cdot}{\exp}({\beta}{\cdot}t)$와 같은 지수생장함수로 표현되는데, y는 엽면적지수(LAI) 또는 지상부건물중(DW)이고, t는 적산온도이며, $\alpha$는 지수생장초기의 LAI나 DW 값이고, $\beta$는 지수생장이 일어나는 시기의 LAI 또는 DW의 상대생장률(relative growth rate, RGR; $^{\circ}C^{-1}$)이다. 1. 벼의 지수생장 초기단계에는 품종의 LAI나 DW가 $\alpha$와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또한 종자 무게(천립중)와 정의 상관이 있어 종자무게에 의하여 생육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 후의 시기는 품종의 LAI 및 DW가 $\beta$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alpha$$\beta$는 모두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beta$는 단위면적당 영화수 및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결론적으로 EGV 및 RCC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고, EGV가 크면, RCC도 커서 수량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VD 반응기 내에서의 유동장에 대한 샤워헤드 지름의 영향에 대한 수치적 연구 (EFFECTS OF SHOWERHEAD DIAMETERS ON THE FLOWFIELDS IN A RF-PECVD REACTOR)

  • 김유재;김윤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75-1480
    • /
    • 2004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uses unique property of plasma to modify surfaces and to achieve the high deposition rates. In this study, a vertical thermal RF-PECVD (Radio Frequency-PECVD) reactor is modeled to investigate thermal flow and the deposition rates with various shapes of the showerhead. The showerhead in the CVD reactor has the shape of a ring and gases are injected in parallel with the susceptor, which is a rotating disk. In order to achieve the high deposition rates, we have simulated the thermal flow fields in the reactor with several showerhead models. Especially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injection holes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susceptor are studied. Using a commercial code, CFDACE, which uses FVM (Finite Volume Method) and SIMPLE algorithm, governing equations have been solved for the pressure, mass-flow rate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CVD reactor. With the help of the Nusselt number and Sherwood number, the heat and mass transfers on the susceptor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characteristics of measure the flatness of the layer, furthermore,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is considered.

  • PDF

Seven Days of Consecutive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Caused Irreparable Yield Reduction in Corn (Zea mays L.)

  • Kim, Sang Gon;Shin, Seonghyu;Jung, Gun-Ho;Kim, Seong-Guk;Kim, Chung-Guk;Woo, Mi-Ok;Lee, Min Ju;Lee, Jin-Seok;Son, Beom-Young;Yang, Woon-Ho;Kwon, Young-up;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96-207
    • /
    • 2016
  • In monsoon climates, persistent shade is a troublesome weather condition with an impact on the growth and yield of corn (Zea mays L.). We imposed 7, 14, 21, and 28 days of consecutive shade (CS) on Gwangpyeongok and P3394 corn hybrids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Shade had little impact on leaf area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stem and leaves. However,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ear was severely reduced by approximately 28% and 53% after 14 and 28 days of CS, respectively. For the components of grain yield, 7 and 14 days of shade did irreparable damage to the number of filled kernels, the kernel number per ear row, and the percent of filled kernels, but did little damage or reversible damage after removal of the shade to the 100-grain weight and the row number per ear. Shad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due to a decrease in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rce activity limitation by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leads to the inhibition of sink activity and size. The yield of biomass, ear, and grain logistically declined as the length of CS increased. Probi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days of CS needed to cause 25% and 50% reductions in grain yield were 3.7 and 23.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 yield loss induced by shade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is mainly achieved within the first 7 days of consecutive shade.

국화 "백마"의 생육 일수 및 누적 온도에 따른 건물중과 엽면적의 생장 회귀 모델 개발 및 비교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Growth Regression Model of Dry Weight and Leaf Area According to Growing Days and Accumulative Temperature of Chrysanthemum "Baekma")

  • 김성진;김정환;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4-420
    • /
    • 2020
  • 본 연구는 대륜 국화 '백마'의 생육 특성인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을 조사하여, 생장 및 기후요소에 따른 생장 예측모델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식후 일수 및 누적온도에 따른 국화의 건물중 및 엽면적 분석에 기반한 '백마'의 생장예측을 위한 시그모이드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백마'의 건물중 상대생장률(RGR)은 재배기간 평균 0.084 g·g-1·d-1이었다. 정식 후 재배 기간에 따른 건물중에 대한 상대 생장률은 정식 초기부터 단일처리 전까지 높았으며 최고 0.133 g·g-1·d-1까지 증가하였고, 63일째 단일처리가 시작된 후 수확 시기에서는 0.030 g·g-1·d-1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누적온도에 따른 국화의 건물중, 엽면적에 대한 생장 모델(sigmoid 곡선)을 개발하였다. 정식 후 일수와 누적온도에 따른 '백마'의 건물중 및 엽면적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건물중의 경우 63일(누적온도 1601℃)까지 평균 39.1%씩 증가하였고, 이후 평균 7.4%씩 증가하였다. 엽면적의 경우 정식 후 28일차까지 평균 63.3%씩 증가하였고, 화아분화가 발생하기 전인 84일차까지 평균 6.5%씩 증가하였으며 화아 분화가 발생하기 전 84일까지 평균 6.5%로 증가했고, 이후 수확 전까지 평균 10.6%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은 충남지역에서 대륜 국화 '백마'의 재배관리 체계와 계획적 연중 생산 체계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보다 정밀한 생육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누적 일사량을 포함한 다양한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교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인삼의 지하부 생육 및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Growth and Extract Content of Roo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우;강승원;성낙술;현근수;현동윤;김영창;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83-489
    • /
    • 2004
  • 경기도 안성지역의 $4{\sim}6$년생 재래종 (자경종) 인삼포장에서 4월 28일에서 9월 30일까지 월별 지하부 생육특성과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체장은 월별 수축과 회복을 반복하여 9월 수확기까지 증가되지 않았으나 동체직경은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2. 단위 면적당 지상부중은 4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7월에 최고를 보인 후 차차 감소되었으며, 지하부중은 5월에 감소된 후 9월 수확기까지 점차 증가되었는데, 6년생은 7월 이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3. 지하부의 상대생장율은 전엽기인 5월과 고온기인 8월에 감소되었고 6, 7,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6년생의 지근과 세근은 $4{\sim}5$년생에 비해 월별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 상품비율 (근중 60g 이상)은 연생이 증가할수록 커서 4년생 23%, 5년생 60%, 6년생 69% 이었다. 5. 뿌리의 수분함량은 수확기까지 차차 감소되었는데, $7{\sim}9$월까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9월 수확기의 수분함량은 4년생 > 5년생 > 6년생순 이었다. 6. 동체의 경도는 5월에 감소된 후 급격히 증가되었는데, $4{\sim}5$년생은 $6{\sim}9$월까지 대체로 증가되었으나 6년생은 8월부터 차차 감소되어 $4{\sim}5$년생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동체와 지근의 엑스함량은 4월부터 6월까지 급격히 감소된 후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4{\sim}5$월의 엑스함량은 4년생이 $5{\sim}6$년생보다 많았으나 9월에는 연생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Silage 옥수수의 생장해석 (Growth Analysis of Silage Corn in Response to Seeding Time)

  • 강정훈;이호진;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2-219
    • /
    • 1985
  •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반응(生長反應)을 알아 보고자 1980년(年) 4월(月) 25일(日)부터 6월(月) 24일(日)까지 12일(日) 간격(間隔)으로 6회(回)의 파종기(播種期)를 두고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장(飼料圃場)에서 조생종(早生種) MTC-1과 만생종(晩生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출현일수(出現日數)는 단축(短縮)되었으며 출현(出現)에서 출사(出絲)에서 생리적(生理的) 성숙기(成熟期)(황숙기(黃熟期))까지 소요일수(所要日數)는 파종기(播種期)에 무관하였다. 2.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감소(減少)되었고 엽면적비(葉面積比)는 높았으며 엽면적비(葉面積比)의 최대치(最大値)에 도달되는 소요일수(所要日數)는 단축(短縮)되었다. 3.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생장초기(生長初期)보다 자수발육기(雌穗發育期)에 파종기(播種期)에 관계없이 포엽기(苞葉期)에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지면 현저히 감소(減少)하였고,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은 품종(品種) 및 파종기(播種期) 조(早) 만(晩)에 관계없이 제(第)1절(節) 노출기(露出期)부터 급격히 낮아졌다. 4. 개체당(個體當) 건물량(乾物量)은 파종기(播種期)가 빠를수록 많았고 최대건물량(最大乾物量)에 도달되는 소요일 수는 파종기(播種期)가 늦을수록 단축(短縮)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