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growth rate (RGR)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초

식물성장해석 기법을 이용한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L.) 분변토의 비료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f Compost Derived by Black Soldier Fly(Hermetia illucens L.) Using Plant Growth Analysis Method)

  • 최영철;박관호;이용구;문성경;최한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7-113
    • /
    • 2013
  • 아메리카동애등에의 분변토는 비료품질검사법에 의거하여 환경부 고시 기준으로 비료 또는 퇴비로서 적합하였다. 강낭콩을 아메리카동애등에의 분변토가 섞인 배양토에 식재한 결과, 강낭콩의 엽면적의 성장은 분변토 처리구에서 6일째부터, 총건중량과 엽건중량은 분변토 처리구 9일째부터 대조구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아메리카동애등에 분변토를 25% 혼합했을 때보다는 50%로 혼합 했을 때 성장 촉진 효과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메리카동애등에 분변토 처리는 생육 초기부터 후기까지 강낭콩 상대성장률(RGR)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순동화율(NAR)의 변화는 상대성장률(RGR)의 변화와 정상관관계(r = 0.89)를 보였으며, 상대성장률(RGR)과 엽면적비(LAR) 사이에는 약한 정상관관계(r = 0.09)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순동화율(NAR)과 상대성장률(RGR)의 관계는 고도로 유의하며, 상대성장률(RGR)과 엽면적비(LAR)과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아메리카동애등에 분변토를 처리시 강낭콩 엽건중량에 대한 엽면적비(SLA)의 변화에서 아메리카동애등에의 분변토 처리는 일반적으로 성장 초기부터 후기까지 잎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잣나무 묘목(苗木)의 생육환경(生育環境) 요인(要因)에 따른 생장해석적(生長解析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rowth Analysis of Pinus koraiensis Seedings under Various Relative Light Intensities and Planting Densities)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3호
    • /
    • pp.314-322
    • /
    • 1989
  • 물질생산적(物質生産的) 측면(側面)에서 잣나무에 대한 광환경(光環境) 및 식재밀도(植栽密度)를 달리한 생육조건(生育條件)과 그에 따른 묘목(苗木)의 생장관계(生長關係)를 추적(追跡)하고 생육환경(生育環境)의 개선방안(改善方案)을 위(爲)한 양묘생산(養苗生産)의 기초확립(基礎確立)을 목적(目的)으로 광도(光度) 및 식재밀도(植栽密度)를 각각 4개(個) 수준(水準)으로 구분(區分) 생육(生育)시킨 잣나무 묘목(苗木)(2-2)를 대상으로 영국계(英國系)의 생장해석법(生長解析法)을 도입(導入), 이들에 대한 묘목(苗木)의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Relative growth rate)과 순동화율(純同化率)(Net assimilation rate) 등을 산출(算出)하였다. 또한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과 순생장율(純生長率) 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통계적(統計的)으로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던 바 잣나무 묘목(苗木)의 생육(生育) 환경개선방안(環境改善方案)의 모색이 요구(要求)되었기에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묘목(苗木)의 건중량생장(乾重量生長)의 변화(變化) 양상(樣狀)은 각(各) 처리구간(處理區間) 공(供)히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차이(差異)를 나타냈고 광도(光度)가 높을수록, 그리고 식재밀도(植栽密度)가 소(疎)할 수록 증가(增加)하여 광조건(光條件)의 변화(變化)가 물질생산(物質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주요(主要)한 변수(變數)로 작용(作用)되었다. 2. 엽면적생장(葉面積生長)은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가 가장 컸고, 그보다 광도(光度)가 높거나 낮아질 수록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상대광도(相對光度) 19%구(區)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3.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RGR)은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에서 $6{\times}6/m^2$ (36본(本))구(區)의 6월(月) 생장(生長)이 최대(最大)였고, 상대광도(相對光度) 19% 구(區)에서 $12{\times}12/m^2$(224본(本))구(區)의 9월(月) 생장(生長)이 최소치(最少値)를 나타냈다. 4. 순동화율(純同化率)(NAR)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감소(減少)하다가 8월(月)과 9월(月)을 기점(起點)으로 증가(增加) 하였으며 상대광도(相對光度) 100%의 $6{\times}6$=36본(本)$/m^2$구(區)에서 6월(月)의 생장(生長)이 최대치(最大値)를, 그리고 상대광도(相對光度) 19%구(區)에서 $12{\times}12$=144본(本)$/m^2$구(區)의 9월(月) 생장(生長)이 최소치(最少値)를 나타냈다. 5.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과 순동화율(純同化率) 간(間)에는 모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으며 이들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있었다.

  • PDF

Genetic parameters and correlations of related feed efficiency,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beef cattle

  • Mehrban, Hossein;Naserkheil, Masoumeh;Lee, Deuk Hwan;Ibanez-Escriche, Noeli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824-83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and genetic correlations for related feed efficiency,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cattle. Methods: Phenotypic data from 15,279 animals born between 1989 and 2015 were considered. The related feed efficiency traits considered were Kleiber ratio (KR) and relative growth rate (RGR). Carcass traits analyzed were backfat thickness (BT),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Growth traits were assessed by the average daily gain (ADG), metabolic body weight (MBW) at mid-test age from 6 to 24 months, and yearling weight (YW). Variance and covar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using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using nine multi-trait animal models. Results: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related feed efficiency (0.28±0.04 for KR and RGR) and growth traits (0.26±0.02 to 0.33±0.04) were moderate, but the carcass traits tended to be higher (0.38±0.04 to 0.61±0.06). The related feed efficiency traits were positively genetically correlated with all the carcass traits (0.37±0.09 to 0.47±0.07 for KR, and 0.14±0.09 to 0.37±0.09 for RGR), except for BT, which showed null to weak correlation. Conversely, the genetic correlations of RGR with MBW (-0.36±0.08) and YW (-0.30±0.08) were negative, and those of KR with MBW and YW were close to zero, whereas the genetic correlations of ADG with RGR (0.40±0.08) and KR (0.70±0.05) were positive and relatively moderate to high. The genetic (0.92±0.02) correlations between KR and RGR were very high. Conclusion: Sufficient genetic variability and heritability were observed for traits of interest. Moreover, the inclusion of KR and/or RGR in Hanwoo cattle breeding programs could improve the feed efficiency without producing any unfavorable effects on the carcass traits.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별 생육특성 IIV. 봄철 생육의 생장해석 (Seasonal Growth Pattern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V.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6-231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dry matter accumulation using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grown under space planting conditions, based on the data of previous paper9'.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Growth parameters of leaf area ratio(LAR), specific leaf area(SLA) and leaf weight ratio(LWR) were recognized sigi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But, specific leaf area(SLA), leaf weight ratio (LWR) and relative tiller appearance rate(RTAR) were recogniz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wth stages. Specific leaf area(SLA)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interaction of variety Xgrowth stage. 2.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RGR) and root(RWGR), and net assimilation rate(NAR) as affected by the varieties and growth stages. 3.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ct assimilation rate(NAR) in all varieties. Leaf area ratio(LA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pecific leaf area(SLA) in all varieties, but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weight ratio(LWR) of Maprima variety. 4.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bsolute growth rates of yield components.

  • PDF

옥상녹화에서 혼합식재에 따른 블루페스큐와 지피초화류의 생육 반응 (Effect of Companion Planting on Growth of Festuca glauca 'Elijah Blue' and Flowering Ground-cover Plants on Green Roofs)

  • 윤용한;서수현;이선영;오득균;주진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5-23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an appropriate plant combination by evaluating the growth of flowering ground-cover plants planted with Festuca glauca 'Eljiah Blue' on the roof-top environment. As for the plant materials, Allium senescens and Chrysanthemum coreanum which are shorter than Festuca glauca 'Eljiah Blue' and Sedum takesimense and Agastache rugosa which are taller than Festuca glauca 'Eljiah Blue' were selecte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as planted on Conrol, an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Allium senescens (T1),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Sedum takesimense (T2),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Agastache rugosa(T3), an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Chrysanthemum coreanum (T4) were plan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Plant height and covering rat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growth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Also, relative growth rate (RGR) of plant height, RGR of plant width, and mortality rate of the flowering ground-cover plants were estimated. Plant height and cover rate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was greatest in T3. RGR of plant height was greater in the order of Agastache rugosa, Allium senescens, Chrysanthemum coreanum, and Sedum takesimense. In particular, RGR of plant width was also greatest for Agastache rugosa. Mortality rates of Agastache rugosa and Allium senescens were lowest at 11%. Therefore, based on good growth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planted with Agastache rugosa,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as a desirable combination of plant species for rooftop gardening.

Effect of Nitrogen Rate and Planting Density on Early Growth in Wheat

  • Song, Chang-Khil;Richard A, Richards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19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ine wheat geno-types to choose the wheat which has excellent early vigour. 'Vigour 18' and 'ZL 59A' are excelle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type, while 'Amery' and 'Janz' are excellent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the growth stage and nitrogen level, Vigour 18 is predomina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gype, while Janz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sow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horter the leaf area of Vigour 18 and Janz. Also the leaf area turned out to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high nitrogen than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This is true of leaf weight and root weight. Concerning specific leaf area (SLA) and leaf area ratio (LAR),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LA tended to grow larger, while the SLA grew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as were found in Vigour 18 and Janz. The roots of long coleoptile genotype, Vigour 18, turned out to gro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3 seeds. While the roots of short coleoptile genotype, Janz, gre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2 seeds.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was the same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RGR was 0.071 and 0.072 g $g^{-1}d^{-1}$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partitioning of RGR into net assimilation rate (NAR) and LAR showed that the average LAR at low N rates was similar to the LAR at high N rates. Variation within each cultivar in the LAR and NAR was small relativ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Above ground mass was 8.2 mg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whereas leaf area was 0.05 $\textrm{m}^2$$kg^{-l}$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The NAR was similar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whereas LAR was greater at high N rates (0.05 $\textrm{m}^2$$kg^{-l}$); variation in SLA was responsible for the variation in NAR and LAR both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NAR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ciprocal of SLA.

  • PDF

일조시간 조절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물질생산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Construction of Zoysia japonica on a photoperiod)

  • 도봉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5-76
    • /
    • 2001
  • 잔디(Zoysia japonica)의 1차 생산성과 광조건과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생리생태학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조시간을 조절한 상태에서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RGR은 각 시험구공히 이식 후 20일경까지의 생장과정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고치는 Control에서 이식 후 20일과 20일사이의 생장과정에서 2.13g/g.10-days로 나타났으며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이식 후 초기생장부터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으며 짧은 시간 자연광 조사가 RGR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2. NAR은 3시간 광조사구를 제외한 각구 공히이식 후 초기 생장과정에서 높은 치를 보였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은 치를 나타내었으며 최고치는 Control구에서 35g/$m^2$ 10days로 나타났다. 광조사 시간이 짧은수록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으며 특히 3시간 광조사구에서는 초기생장부터 현저히 낮은 치를 나타내었고 변화도 감소하였다. LAI와는 역상관, RGR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LAR은 Control구와 각 일조시간 조절구에서는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이식초기부터 현저히 높은 LAR치를 보였고, 특히 3시간 광조사구에서는 현저히 높은 치를 보였으나 생장과정에 따른 증가율은 낮게 나타났다. LAR은 RGR과 NAR에 대하여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CGR은 각구 공히 이식 후 50일까지는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이후의 생장과정에서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고치는 1.56g/$ extrm{cm}^2$10days로 Control구에서 이식 후 60일경에 나타났다. LAI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최적엽면적지수 Control구와 9시간, 7시간, 5시간 및 3시간, 일조시간 조절구에서는 각각 1.87, 1.12, 0.83, 0.18로 나타났다.

  • PDF

광환경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물질생산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II. 차광율이 잔디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of Zoysia japonica under the Light Environment II. Effect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Construction of Zoysia japonica on a Shade Rate)

  • 도봉현;김광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3-81
    • /
    • 1992
  • 잔디(Zoysia japonica)의 1차 생산성과 광조건과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생리생태학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차광을 조절한 상태에서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RGR은 각 시험구 공히 이식후 20일경까지의 생장과정에서 높게 나타나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율이 높고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이식후 초기생장부터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다. 2. NAR은 이식후 초기생장과정에서 높은치를 보였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은 치를 나타내었으며 차광율이 높고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다. 3. LAR은 Control구와 30% 차광구에서 이식후 초기생장과정에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50% 및 70% 차광에서는 이식후 40일 이후부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LAR은 RGR에 대하여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CGR은 각 공히 이식후 50일까지는 생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LAI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최적엽면적 지수는 Control구와 30%, 50% 및 70% 차광구에서 각각 2.10, 1.75, 1.25, 0.90으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Mn의 영향 (Effects of Mn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Nutrient Culture Solution)

  • 이충화;이승우;진현오;정진현;이천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49-352
    • /
    • 2002
  • Mn 처리에 대한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의 반응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Mn 처리 농도별(0, 30, 60ppm) 배양액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배양액에 이식하여 90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켰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Mn 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상대생장율(RGR)과 순동화율(NAR) 감소에 대한 Mn의 영향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액의 Mn 농도 증가에 의해 잎의 건물생산효율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식물체내 원소함량에 대한 Mn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묘목의 줄기와 뿌리내 Ca 및 Mg 함량은 Mn 60ppm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Mn 농도는 뿌리에 비하여 잎에서 3배 가량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처리구에 비해 Mn 처리구에서 순광합성 속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뿌리의 양분 흡수저해 및 뿌리에서 잎으로 이행된 Mn의 과잉축적에 의한 광합성 저해를 반영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량 감소가 이들 결과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초래되었음을 시사한다.

오존에 노출된 자작나무류 4수종 잎의 가시적 피해와 생장 반응 (Visible Foliar Injuries and Growth Responses of Four Betula sp. Exposed to Ozone)

  • 이재천;한심희;김장수;장석성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7
    • /
    • 2002
  • 본 연구는 자작나무류의 오존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율과 생장 반응을 측정하여 수종별 오존 민감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 재료는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로 온실에서 양묘하여 포트로 옮겨 심고, 100 ppb의 오존 농도에서 하루 8시간 씩 5주 동안 오존에 노출시킨 후 그들의 가시적 피해율과 잎 수, 잎 면적 및 생장(수고와 직경 상대생장율, 잎, 줄기, 뿌리의 건중량)을 측정하여 수종간, 처리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4개 수종의 오존에 대한 반응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데 사스래나무를 제외한 3개 수종의 생장은 오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에 많은 조기낙엽을 나타내는 거제수나무와 가시적 피해율이 가장 높은 물박달나무는 오존에 대해 민감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스래나무는 초기에 오존에 대한 영향으로 생장이 감소하지만 오존에 대한 적응을 통하여 생장을 회복하는 내성 수종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