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s with family of origi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RAPD를 이용한 Pecan 품종의 유전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ednes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in Pecan Taxa)

  • 신동영;김회택;박종인;노일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0
  • 재배되고 있는 22 페칸종간의 RAPD분석을 한 결과, Agarose gel상에서 primer당 평균 6개의 DNA단편이 증폭되었다.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 는 100bp에서 1500bp의 범위에 위치하였다. 페칸종간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한 결과 OPA-02, OPA-10, OPA-12, OPB-01이 최적이었다.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한 PCR산물을 1.5% Agarose gel상에 분획하여 단편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22의 페칸종은 5개의 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40종 primer로부터 증폭된 466 DNA단편을 기초로하여 유전적 근연계수를 계산하였던 결과 유사도 값이 가장큰 것은 C. flacra와 Black walnut로 0.90를 나타났으며, Kiowa와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에는 유사도 값이 0.31로 가장 작았다. 선발된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PCR산물을 Polyacrylamide gel상에 분획한 후 검출된 DNA단편을 분석하였다. 유사도 값이 가장 큰 것은 그룹 V의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으로 1.0이었고, Farley와 Pawnee간과 Sturya와 Clarke간은 공히 0.98를 나타내었다. Polyacrylamide gel분획 후 은염색하여 단편을 검출하는 것은 Agarose gel에 비하여 시간, 기술, 경비가 요구되지만 보다 정확한 유전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Agarose gel 분석, Polyacrylamide gel 분석 및 주성분 분석법에서 Farle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 C. corpiformis만이 동일 그룹에서 이탈되지 않았다.

  • PDF

trnL-trnF 서열에 의한 한국 귤나무속과 두 근연 식물종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ic Study of Genus Citrus and Two Relative Genera in Korea by trnL-trnF Sequence)

  • 허만규;윤혜정;최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52-1459
    • /
    • 2011
  • 귤나무속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한다. 동남아시아, 미얀마, 중국 운남에서 기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속의 분류관계는 복잡한데 클론번식과 야생식물과 교잡이 빈번하다. 식물에서 속간 속내 계통관계 추론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엽록체 trnL-trnF 부위가 있다. 이 귤나무속과 두 근연한 탱자나무속과 금감속에 속하는 7종간 계통 관계를 평가하였다. 많은 삽입이 발견되었고 속내 종간 변이는 결실/삽입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의 레몬과 당귤나무은 네 계통도(MP, ML, ME, and NJ)에서 모두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여 가장 근연관계에 있었고 광귤나무(향귤나무)과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유자나무는 이들과 많은 서열 차이를 나타내었다. 외부 분지군은 낮은 지지도를 나타내었다.

알타이는 존재하는가: 지역연구와 지역의 의미 (Does Altai Exist?: Area Studies and the Meaning of "Area")

  • 남영호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5-156
    • /
    • 2010
  • 알타이라는 명칭은 어족의 이름, 알타이 산맥 일대에 거주하는 민족의 이름 그리고 알타이어족의 사람들과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이름 등 여러 가지로 쓰이면서도, 그것이 의미있는 단위인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알타이 어족의 분포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주체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데에 이러한 논란의 핵심적인 원인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알타이 문화권이라고 부를만한 문화적인 공통성과 역사적인 접촉이 있었을 수 있지만, 그것이 근대를 겪으면서 의미있는 단위인 민족으로 묶어지지 않았고 또 그러한 의식이 형성되지도 않았기에 문화적 유사성으로만 남게 된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소비에트적인 근대화를 통한 종족 정체성의 재구성과 러시아, 중국 등 주변 강대국의 강력한 개입, 불교, 기독교등 외래 종교의 뒤늦은 전래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알타이를 지역 연구의 단위로 설정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은 이 지역에 특이한 현상만은 아니다. 이는 지역 설정이 물리적 환경에 따른 자연적인 경계 획정이 아니라, 문화정치적 관계에 따라 인위적으로 권력관계가 분배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타이의 사례는 그 지역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지역연구에서 지역을 균일한 "문화"를 지니는 것으로 미리 전제하는 것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함축을 지닌다.

Factors Related to Dietary Fiber Intake Among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on City

  • Chung, Young-Jin;Lee, Yangsoon;Suh, Yoon-Su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113-12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dietary fiber intake among sixth grade children in an elementary school in Daejon city. One hundred and forty-seven children completed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their food habi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taken, and a 24-hour diet recall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ree-day food intake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children's families belonged to the upper middle class; 53.0% of their fathers and 25.8% of their mothers had completed college or higher degrees. 27.9% of the mothers had jobs, including part-time jobs. Approximately 30% of the children skipped breakfast, 66.4% of the children preferred animal foods to plant foods, and 52.4% of the children preferred green vegetables to yellow or pale vegetables. Grilled meat dishes, such as Grilled beef rib with seasoning, Bulgogi, grilled pork belly and beef steaks, were the most popular types of food eaten outside home by the children. Daily dietary fiber intake was 14.5 g in boys and 14.5 g in girls, and these intakes are low compared to the standard guidelines. The average intakes of energy and protein of the children were 84.5% and 114.0%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s), respectively. Besides energy, riboflavin, iron and calcium intakes were below the RDAs, and especially calcium intake was only 50% of the RDAs. On the other hand, thiamin, niacin, ascorbic acid, protein and phosphorus intakes exceeded the Korean RDAs. Family income or the children's body mass index (BMI) was not directly related to dietary fiber intakes. However, higher dietary fiber intakes tended to be related to higher intakes of green vegetables and fruits. Children with higher dietary fiber intake tended to prefer plant foods to animal foods. Energy and most nutrients, except heme iron and retinol,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dietary fiber intake. Especially potassium and plant origin protein and calcium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ietary fiber intakes(r>0.6).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dietary fiber intakes of thes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less than the standard reference and it is anticipated to decrease further in the future with increased incomes. Therefore, increased intakes of dietary fiber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uld be promoted through nutrition education,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s and recipes utilizing green vegetables and fr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