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observ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졸업 후 의학교육에 경험학습이론의 활용 (Applic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영희;김병수
    • 의학교육논단
    • /
    • 제11권1호
    • /
    • pp.11-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Kolb's model, and to review some applic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published literature on GME and education for general practitioners applying the experiential theory and the Kolb's model was reviewed. Experience learning defined the cyclical learning process which emphasizes the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of the learners' concrete experience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ontinuous learning actives. Kolb includes this 'cycle of learning' as a central principle in hi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is is typically expressed as a four-stage cycle of learning. Kolb's cycle moves through concrete experience(CE), reflective observation(RO), abstract conceptualization(AC) and active experimentation(AE). Componen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 were based on autonomy, context of learning, and competence and performance as educational objectives. Some strategies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were reflective thinking, self-directed learning, morning reporting and feedback with peer review, etc. Opportunities for learning from experience in practical life can be made to enhance reflective thinking and performance of practitioners. Strategies to develop reflective practice among physicians should be explored by further research.

2022 개정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전략, 미완의 과제: 교육과정 개발 경험을 통한 성찰적 관찰을 중심으로 (Development Direction & Strategy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Unfinished Tasks: Focusing on Reflective Observ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79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참여라는 경험을 스스로 질문하고 검토하고 숙고하면서 재평가하는 성찰적 관찰의 방법으로 접근하여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의 구축을 연구자 개인의 배움으로 이끌어내며, 동시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과 이론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모든 학습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여전히 자신과 주변, 그리고 세상이 더 나은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선택하면서 살 것이다." 둘째, 전체 교육과정 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가치는 "가정과교육은 미래세대가 더 나은 삶, 즉 더 좋은 삶을 영위하게 하는데 필요한 힘(역량)을 함양하도록 하는 생활교과"이다. 셋째,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모든 인간과 세상을 지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래 교육에서 의도적인 학습의 영역으로 청소년들에게 'Good Life Literacy'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이 핵심이 되어야 하며, 가정과교육은 이를 위한 핵심적 교과이다"로 도출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실무행위에 대한 성찰적 실천을 통해 구축한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이론이 더 많은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

수업디자인 모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 개선의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to Improv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9-17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Methods: Participants were 132 students who took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planning, ac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nd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12-step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by Fink was applied in the planning. In the acting stage, the course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 designing the course, students wrote reflective journals and the professor gave feedback to the reflective journal and the class observation journal was used for lessons. In the observation stage, the course evaluation was surveyed and analyzed, evaluations were positive with 47.1% of students positively evaluating the teaching strategy. In the reflecting stage, outcomes in course improvement were reflected 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 the lower level-of-achievement decreased. Conclusion: Action research was a useful research method that could capture th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in college courses. Expression of effort and passion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action research in various ways and to share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nursing education are important.

한국어 경력교사 대상 요구조사를 통한 성찰적 교사교육 방안 모색 -수업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f a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lan through Survey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ing on the Area of Teaching Professionalism)

  • 이선영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109-137
    • /
    • 2018
  •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i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bove the current level. The type of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experienced teachers is broadly divided into top-down education and bottom-up education. So far, studies on top-down education were commo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emphasizing the need for bottom-up education, driven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fo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71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opinions regarding existing teacher education, the need for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existing teacher re-education experience. Also, 91%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intend to participate in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particular, respondents showed high demands for 'peer coaching', 'peer observation', and 'teaching portfolios' among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Lastly, many respondents select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encouraging learner's utterances', and 'leading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as sub-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at they wish to improve through teacher re-education.

초등학생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학습전략 개발 및 적용 -관찰과 분류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xplicit and Reflective Learning Strategy for Enhanc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Inquiry Skills -Based on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 이혜원;민병미;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5-112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관찰과 분류를 중심으로 한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 학습전략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 학습전략은 이론적 고찰 후에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다. 실제 수업 진행을 위해 실험집단은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 학습전략을 적용하여 수업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용지도서에 따른 일반적인 수업을 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시행 전 후 과학탐구능력검사와 수업시행 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하였다. 그리고 수업전사자료, 심층면담,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서 수업 전 후 탐구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개발한 교수 학습전략의 단계를 (1) 동기유발하기, (2) 반성적으로 탐색하기, (3) 명시적으로 안내하기, (4) 명시적으로 탐구하기, (5) 반성적으로 검증하기의 5단계로 설정하였다. 둘째, 개발한 교수 학습전략의 수업 적용 결과, 정량분석에서는 관찰과 분류에 대한 탐구능력의 성취도 향상이 전체(관찰과 분류를 합한 탐구능력)와 관찰능력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분류능력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개발된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성취도와 탐구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탐구능력의 향상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성분석결과, 개발한 교수 학습전략을 적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명시적인 안내와 소집단 활동을 통하여 반성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는 학생의 관찰과 분류의 탐구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정량분석과 정성분석 결과를 통해 과학탐구의 가장 기본적인 관찰기능이 형성된 후 이를 바탕으로 분류기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식물관찰 활동 및 관찰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to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 김흥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58-4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plant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Thirt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lant observation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for 11 weeks,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to plants,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Also, the observation journals, reflective journal writin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qualitative change.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classifi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ith respect to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and teaching efficacy.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interest to plant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and positive change of the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more positive effects on females. The positive attitud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positive recognition about plants and the diversity, increased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plants, careful observation about nearby plants, and independent learning and positive inquiry with plants.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they showed positive change such as enjoyment and satisfaction with plant-observation, confidence as elementary teachers in the future, and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teachers for plant education. However, the changes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수학 교육에서 실험 수업의 의의와 특성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class in Mathematics Education)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7-87
    • /
    • 2005
  • 본 고는 실재 학교 상황 내에서 교사의 실재를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에의 기여를 위한 실험 수업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고안은 Dewey의 반영적 사고와 이론과 실재의 연계에 그 지향하는 바를 두고 있다. 또한 색심적 구저적 특성은 Garet, Porter, Desimone, Birman & Kwang (2001)이 제안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시도되었으며, 교사들이 자신의 실재에 반영할 수 있고 자신의 교수-학습을 자가 생성(Carpenter & Leher, 1999)될 수 있게 함을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둔 실험수업을 제안하였다.

  • PDF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 고문숙;이순덕;최정희;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4-57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및 인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교수피드백, 세미나와 워크숍, 자기평가, 협의회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는 3명의 멘토교사와 박사 석사과정에 있는 교사 2명, 대학교수 1명,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으로 구성되었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저널과 일대일 멘토링 면담자료를 통해 알아보았다. 2회에 걸친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멘티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살펴보면, 자신의 교사위주의 강의식 수업과 오개념 및 교과내용지식의 부족 등에 대한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발문기술의 부족 및 적절하지 못한 교수언어 사용 등에 대한 교수기술 및 태도 측면과 평가의 전문성 부족, 학습공동체 구현 등의 교실문화 측면에 대한 문제점을 반성하고 이를 개선, 실행하려는 반성적 실천을 통해 실제 수업에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협력적 멘토링 과정을 통해서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에 의한 반성적 실천에서 일부의 변화가 있었으나, 반성의 요소가 모두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이는 단기간의 멘토링을 통해서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이끌어내기가 어려움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수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 (Observation on the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of Student Teachers: A Case of Geography Classroom Organization)

  • 강창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77-603
    • /
    • 2009
  • 본 연구는 두 교육실습생의 지리 수업조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을, 그 배경이 되는 심층동기와 이론적 지식의 경험부터 교실이라는 실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실행과 반성적 실천에 이르는 과정에 참여 관찰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교생의 '지리교사'에 대한 동기는 가장 바람직한 '본질적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예비 지리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은 지리와 지리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에서 시작되었다. 2) 두 교생의 수업은 대략 $9{\sim}14$개의 단락으로 조직되었다. 도입 정리 단계의 단락 조직과 전개 단계의 단락 조직 방식과 기능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개 단계의 시간 비중이 가장 높았고, 시간 비중이 가장 낮은 정리 단계는 단락 활동이 생략되거나 축소되는 등 가장 불규칙하게 조직되었다. 3) '반성적 사고의 틀'에 의거하여 분석한 두 교생의 반성적 사고는 '기술적인 수준'과 '숙고적인 수준'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바람직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연구 내용과 결과는 교사 교육자들에게 '가르칠 줄 아는 것'과 '가르치는 것에 대해 아는 것' 사이의 관계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고문숙;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4-113
    • /
    • 2013
  •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링 전후의 교수행위의 특징과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를 통해 교수실행의 반성적 실천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 석사과정에 있는 연구자 2명, 3명의 멘토교사와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 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으로 범주화하여 수업실행 전후의 멘티저널, 멘토링 협의회 녹음전사본, 멘토링 후 멘티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초임 과학교사 3명의 멘토링 이전 수업의 특징은 교과내용지식과 관련된 측면은 어느 정도 구성되어 있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탐구적 교수법과 학생들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강화하는 수업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3명의 멘티교사의 차시별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티교사별로 상승곡선의 경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나, RTOP의 평균 점수는 점진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로 나타난 반성적 실천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3명의 멘티교사 모두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점진적으로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에게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반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반성적 실천에 의한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수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