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activit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타당성 검토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Review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Elemetary $5^{th}$ graders)

  • 박지연;박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65-280
    • /
    • 201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rom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by designing a process of 'validity review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n, by analyzing the results.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eatures of children's thinking in accordance with 4 stages of problem solving, children's thinking was equally observed in every stage rather than intensively observed in one stage, and reflective thinking related to important elements from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process was observe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in description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changes by children's knowledge level in mathematics, however, the activity of validity review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overall induce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description, especially the chang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children.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the validity review on problem solving process promotes children's reflective thinking and enables meta-cognition thu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description of problem solving process.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Focusing on Earth Science)

  • 채동현;임성만;이효녕;한제준;이상균;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school.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ooks, surveys, and then developed a textbook model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e have selected the three elementary school, three grades, fifty-seven students to apply the model developed textbooks. Textbook model of Earth was developed as a center of student activity. Applying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ield, students were interested about the student-centered textbooks and they were felt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ere textbook that students can study on their own.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confirm that it should be provided feedback to causes of the reflective thinking of students in the textbook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textbook.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 함다정;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49-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in Paju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ESD competencies of 6th graders. The community resources used were Unjeong lake park, environmental circulation center, environmental management center, currency museum, butterfly museum, experience center for peaceful unification, Yulgok arboretum, and Jangsan observatory.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and composed of 15 sessions for 6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all of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ESD.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did not help improving the perception and function competencies of learners except for the thinking abilities.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ttitude competencies, especially in self-reflective attitude and other-oriented attitude. Also,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 the students were constantly developing their valu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flecting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a reflective way and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life.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 on Team-based Technology Design Project of Non-Engineering Students

  • 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5권2호
    • /
    • pp.201-215
    • /
    • 2014
  • The design project of a technology produc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inter-connectedness of academic information and ill-defined real-world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non-engineering students' activity and perception through the assistive technology design project.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engaged in a team-based technology design project. Then,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adopted, which included reflective journals with 24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six factors (knowledge value, social value, reality value, accomplishment value, perspective value, benefit value) of perception and five stages (topic selection, function suggestion, visualization, presentation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activity.

공과대학에서 PBL 적용을 위한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PBL in Engineering Schoo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05-610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개발한다. 연구 대상은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8명 이었으며, PBL수업은 12주에 4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PBL의 효율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 과정에서 평가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또한 PBL 활동이 끝날 때 마다 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에 대한 이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자아성찰,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 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서작성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관찰 능력, 평가 능력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에 대해서는 지난 학기에 비하여 자신감, 만족감, 성취감도 높았으며, PBL 수업이 매우 유용했다고 응답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나 PBL 활동 과정에서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문제, 함께 모이는 문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팀원 문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트레일 러닝을 위한 아웃도어 웨어 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of Outdoor Wear for Trail Running)

  • 김윤
    • 복식
    • /
    • 제65권3호
    • /
    • pp.151-166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needs of the trail runners as trail running has become a popular outdoor activity, and give suggestions for high functional outdoor menswear design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highly demanding taste of runners. The design development is as follows: 1) The design had to be made of lightweight material and be easily packable in all situations, and 2) we also considered the ergonomic and compact fit for activity, 3) the functional location of high functional fabric, 4) the reflective use and layering system giving a wide range of outdoor workout time and 5) the trend in 2016 S/S active sports and outdoor wear. Based on the above elements, the men's outdoor wear design has been developed for trail running in spring and summer. The design development includes a total of 7 items. The design focused on lightweight, availability of packaging, "comfortability" and freshness in activity, functional suitability of location of highly functional materials and the layering system to protect body temperature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layering system was implemented to provide ventilation, and it was done in body parts that released the most body heat. Therefore, mesh materials were actively used on the side panel, sleeves and center of the back piece for necessary sweat emission without any problems and ventilation for trail running.

웹 기반 PBL에서 블로그 활용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Using Blog in Web based PBL)

  • 최봉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85-39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PBL에서 블로그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블로그는 웹 기반 PBL에서의 개인별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질문지와 면담, 성찰 노트 분석을 통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39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커뮤니티를 이용한 웹 기반 PBL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8주간의 기간은 블로그를 추가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웹 기반 PBL에서 학습자들은 심리적, 기능적 측면에서 블로그 활용에 대하여 유용성을 인식하였으며, 블로그가 성찰적 학습 활동을 촉진하고, 학습자들을 동기화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분유(粉乳)의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ater Activity on the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of Dry Milk)

  • 장규섭;장영일;천기철;이성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61-270
    • /
    • 1985
  •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분유(粉乳)의 비효소적(比酵素的) 갈변반응(褐變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전지분유(全脂粉乳)와 탈지분유(脫脂粉乳)를 각각(各各) $55^{\circ}C$에서 저장(貯藏)하면서 이때 발생(發生) 또는 소멸(消滅)되는 $O_2,\;CO_2$$H_2O$를 Gas Chromatograph에 의해 측정(測定)하였고. Maillard 반응(反應)에 의해서 생성(生成)된 갈색화(褐色化) 정도(程度)는 Reflective Spectrophotometer로 측정(測定)하였으며,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O_2,\;CO_2$, 갈변화(褐變化)의 관계(關係)를 회귀(回歸) 방정식(方程式)으로 얻었다. 즉,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0.4 이상(以上) 갈변물질(褐變物質)과 이취생성(異臭生成)도 증가(增加)하였으며, 전지(全脂) 및 탈지분유(脫脂粉乳) 모두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0.33과 0.44사이에서는 큰 변화(變化)를 나타내지 않았다. Carbonyl-amine 반응(反應)에 의해 일어나는 갈색화(褐色化)는 탈지분유(脫脂粉乳)보다 전지분유(全脂粉乳)가 높았으며, 효소(酵素)는 갈색(褐色)과 이취(異臭)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에서의 갈등경험 의미 탐색 (A Research on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마지순;안라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5-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대학에 재학 중인 85명의 예비유아교사로 저널쓰기, 비형식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에서 구성원 모임, 공정성,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과정에서 모임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반성적 사고,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 타인 이해 하기,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경험의 의미는 지각된 책임감의 형성, 타인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성장, 호혜적 이타성 경험, 협동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Teaching Science (OTS) and Factors affecting OTS)

  • 방은정;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19-73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김교사, 류교사, 박교사 등 교육 경력이 다양한 3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반구조화된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얻은 자료로부터 연구 대상 교사들의 교수지향의 특성을 분석한 후에 교수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지향, 학생활동지향, 내용전달지향 등 세 종류의 교수지향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지향의 특성은 외적 요인보다는, 내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고 그 요인으로는 학습자로서의 경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호기심, 반성적 사고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