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ing sugars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26초

발효 흑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3-248
    • /
    • 2012
  • 본 연구는 하나의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그 재료 자체로써 소비되기 보다는 다른 식품에 부재료로 소량 사용되고 있는 건대추의 식품학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효 흑대추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의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건대추의 수분함량은 22.66%이었으며, 발효 흑대추의 수분함량은 10.36% 이었고, 당도는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가 각각 6.07, 7.23 brix로 측정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L)값은 건대추가 34.78, 발효 흑대추가 31.82 이었으며,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도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낮았다. 수분활성도는 건대추가 0.75, 발효 흑대추는 건대추보다 낮은 0.45의 수분활성도를 보였으며, 발효 흑대추의 환원당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이 건대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에서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의 함량은 발효 흑대추가 건대추에 비해 높았으며,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무기질 성분 중 칼륨의 함량이 90%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건대추가 51.00%, 발효 흑대추가 59.83%의 조성을 보였고,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id 3개의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 50% 정도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우수한 이화학적 특성과 많은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대추에 비해 우수한 식품학적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crophoma sp.에 의(依)한 사과 부패(腐敗)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 (I) -병진전(病進展)과 감염(感染)과일의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pple Rot Caused by Macrophoma sp. (I) -Disease Development, Carbohydrate and Amino Acid Contents in Infected Fruits-)

  • 황병국;이용세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1-185
    • /
    • 1982
  • 사과품종(品種) 후지와 밀러의 미숙과(未熟果)는 7월(月) 10일(日)까지 사과 부패병균(腐敗病菌)(Macrophoma sp.)에 대(對)해 완전히 저항성(抵抗性)이었다. 7월(月) 31일(日)에 접종(接種)하였을 때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감수성(感受性)이 되었고 이곰팡이는 밀러보다 후지에서 더 잘 자라났다. $25^{\circ}C$에서 사과부패(腐敗)가 $20^{\circ}C$에 비(比)하여 뚜렷하였다. 양품종(兩品種)의 사과 과육(果肉)에서 총탄수화물(總炭水化物), 환원당(還元糖)은 사과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했다. 건전(健全)한 과일에서는 후지가 밀러보다 더 높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을 함유(含有)했으며 감염(感染)된 사과가 건전과(健全果)에 비(比)해서 수용성(水溶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더 많이 함유(含有)했다. 건전과(健全果)에서 총수용성(總水溶性)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 후지와 밀러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사과가 성숙(成熟)함에 따라 총(總)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과육(果肉)에서 감소(減少)되었다. 과육(果肉)에서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을 사과부패병(腐敗病)에 대(對)한 미숙과(未熟果)의 저항성(抵抗性)과 연관(聯關)시켜 논(論)하였다.

  • PDF

유과 제조조건 및 팽화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Yukwa Processing Conditions and Popping Characteristics)

  • 신동화;최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17-624
    • /
    • 1990
  • 유과제조에 좋은 특성을 갖는 일반계 찹쌀(품종: 신선)을 이용하여, 유과의 기업적 생산에 필요한 유과의 제조조건 및 팽화기작 추적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과 반데기 제조를 위한 증자시간은 증기가열로 5, 10, 15, 30, 45, 60분 처리에서 15분이 가장 적당하였고. 반죽의 수분함량은 48, 51, 53%를 시험한 결과, 48% 수준에서 조직이 가장 치밀하였다. 꽈리치는 시간은 1, 3, 4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품질이 우수하나. 전혀 꽈리치기를 하지 않은 처리구는 조직의 치밀성이 낮고, 경도가 아주 유약하였다. 습식 및 건식제 분등 제분방법별 고온처리에 의한 공정단순화 시도에서 습식제분이 건식제분보다 팽화율이 높았으나, 고온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팽화율이 낮아졌고, 환원당량도 증가하여 전분의 분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유과의 팽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각종 두류를 첨가한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유과특성이 개선되었다. 반데기는 장기저장시 RM에 따라 흡습정도가 달라졌고, 저장기간에 따라 팽화후 유과 바탕의 품질은 열화 되었다. 유과제조시 주류로서 막걸리, 소주, 청주를 각각 다른 양 첨가하여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첨가량이 중량비로 15%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서 팽화율 및 조직특성이 다소 향상되었다.

  • PDF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전통고추장의 유통중 팽창억제 및 품질개선 (Prevention of Swelling and Quality Improvement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by Natural Additives)

  • 정도연;송미란;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5-610
    • /
    • 2001
  • 순창전통고추장 저장 및 유통 중 품질저하 요인이 되는 가스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겨자와 고추냉이 분말을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전통옹기에서 180일 동안 숙성하면서 성분 변화와 가스발생 유무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겨자 및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 품질에 대한 관능검사를 통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양고추냉이를 0.6% 정도 첨가한 고추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중 산생성이 억제되었고,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색택은 겨자 첨가시에는 변화가 없으나 양고추냉이를 첨가하는 경우 L값과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에 비첨가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양고추냉이를 0.6% 첨가하면 유통 중 문제되는 가스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발효가 종료된 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고추장에 비해 오히려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순창전통고추장에 0.6% 수준의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하면 완제품의 유통 중 가스발생 억제는 물론 품질개선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Bacillus subtilis EK11 유래 Protopectinase를 처리한 단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Persimmon Treated with Protopec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K11)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4
    • /
    • 2003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 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단감에 작용시켜 단감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PPase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95%와 5%로서, 기계적 마쇄물에서 의 85%와 15%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자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중 열 또는 빛 에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의 경우 단감 단세포화물은 1일 경 과 후에도 50%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을 4$^{\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고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다. 또한 단감 단세포화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의 경우 짧은 처리에도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효소적 단세포화물의 높은 열 안정성을 의미한다. PPase를 이용한 단감의 단세포화는 음료제조 및 원료보존에 유용하게 응용가능하며, 나아가 단감 단세포화물의 폭넓은 식품소재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추가루의 살균(殺菌)을 위한 ${\gamma}$-선(線) 조사효과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terilization of Red Pepper Powder)

  • 권중호;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8-192
    • /
    • 1984
  • 유통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위생적인 측면에 감안하여 건조 고추를 직접 구입하여 마쇄한 시료와 분말 제품화된 시료의 미생물 오염도와 ${\gamma}$-선 살균 선량 및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통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일반 세균은 g당 $3.83{\sim}6.68{\times}10^6$정도였으며, 대장균 군이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도 있었다. 2. ${\gamma}$-선의 살균효과에서 일반 세균은 6kGy조사로서 1/2로 감균되었고, 9 kGy 조사에서는 완전 살균 되어 3개월 저장 후에도 미생물은 전혀 생육되지 않았으며, 세균의 $D_{10}$ 값은 1.52${\sim}$1.58 kGy로 나타났고 대장균 군은 3 kGy 조사로서 불활성화 되었다. 3. 고추가루의 수분, 전당 및 환원당은 저장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며, capsanthin 함량은 조사 직후 다소 감소되었으나 저장 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capsaicin은 살균 선량에서 조금 낮은 함량을 보였다.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장상문;박난영;이주백;안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8-10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호박을 이용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성분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호박의 조단백질의 함량은 껍질부위가 19.82%, 내부 섬유상부위가 16.43%로서 과육부위에 비하여 많았으며 , 조지방함량은 껍질부위가 2.84%로서 과육 및 내부 섬유상부위에 비하여 많은 편이었다. 조섬유 함량은 내부 섬유상부위에서 6.98%로서 껍질 및 과육에 비하여 3배정도 많았다. 호박의 부위별 전당의 함량은 과육부위가 비교적 많았으며,환원당의 함량은 과육부위에 비하여 씨를 감싸고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에 많이 함유되었다. 또한, 유리당 함량은 전반적으로 과육, 내부 섬유상부위와 껍질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된 늙은 호박의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가 총 phenol함량은 379.8$\pm$9.76 mg으로 총 phenol성분의 47%이상 함유되어 있었으며 , 총 carotenoid의 함량에서는 43.71$\pm$1.46 mg으로 총 carotenoid 성분의 62% 이상 함유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의 함량은 껍질에 81.5$\pm$3.56 mg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뜰보리수 잎의 유용성분 분석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ves)

  • 윤경영;홍주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39-644
    • /
    • 2007
  • 본 연구는 뜰보리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을 조사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잎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뜰보리수 잎의 수분, 탄수화물,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71.6, 24.1, 1.4, 0.4 그리고 2.5%이었다. 뜰보리수 잎의 환원당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460.0, 503.3 mg/100 g이었으며, 항산화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의 함량은 805.6mg/100 g이었다. 뜰보리수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arabinose, maltose, glucose 순이었으며, trehalose는 미량 검출되었다. 뜰보리수 잎은 mal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으며, 이외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succinic acid순으로 높았다. 뜰보리수 잎의 무기질 성분중 K의 함량이 840.5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Ca과 Ma도 많은 양 함유되어 있었다. 뜰보리수 잎의 구성아미노산 중 alanine의 함량이 112.0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threonine, leucine, valine, phenylalanine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57.3 m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arginine, leucine, glycine, phenylalanine 순이었다. 아미노산의 유도체는 11종이 검출되었으며, ornithine의 함량이 48.5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저온저장 후 제조한 홍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Red Ginseng Processed from the Fresh Ginseng Stored at Low Temperature)

  • 장진규;박채규;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8-161
    • /
    • 2003
  •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circ}C$$\pm$1$^{\circ}C$,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홍삼을 제조하여 당과 색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경과에 따라 저장전의 62.71%에서 저장 10주째는 54.58%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저장전 11.69%에서 약간 감소하여 7주째는 9.92%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는 저장전 0.47%에서 점차 증가하여 10주째는 4.70%로, glucose와 sucrose 는 5주째와 3주째 가장 높은 2.31%와 20.55%를 보인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maltose는 저장전 6.62%에서 점차 감소하여 10주째는 1.37%로 조사되었다. 색상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total color value(ΔE)는 저장전에 비해 9주째가 가장 높은 8.89를 보였다. 색도는 420nm와 440nm의 흡광도가 6주부터 증가하였으며, 갈변전구물질을 조사한 285nm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건조인삼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판 사과식초의 산도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by Their Acidity Levels)

  • 조덕조;박은주;김귀란;여수환;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99-703
    • /
    • 2012
  • 시판 사과식초의 총산 함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사과식초 산도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하였고, 총 산도는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 및 갈색도는 산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제조과정의 차이가 최종 제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리당은 산도에 관계없이 fructose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glucose의 함량이 그 뒤를 이었다. 총 유리당 함량은 저산도, 2배 산도, 일반산도, 3배 산도식초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유기산의 경우 acetic acid와 malic acid가 주로 확인되었다. 원료 중 과즙의 함량이 가장 높은 저산도 식초에서는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이 확인되었고, 구연산이 사용된 3배 산도 식초의 경우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산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사과과즙 함량의 차이가 최종 제품의 함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되었다. 시료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높은 저산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