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ing acidity

검색결과 580건 처리시간 0.024초

환원제 첨가가 쌀당화액의 Bifidobacterium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ucing Agents on Bifidobacterium Ferment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 이주연;목철균;박종현;장학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0-235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new rice product by the ferment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using Bifidobacterium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reducing agent to provide the anaerobic condition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during fermentation. The enhancement of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in saccharified rice solution was achieved by the treatment of reducing agents such as ascorbic acid and cyste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product were evaluated, and the effect of the reducing agents were compared between ascorbic acid and cysteine. The fermented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ascorbic acid shows the lower pH and the higher titratable acidity comparing the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cysteine. This indicated that ascorbic acid was more appropriate reducing agent than cysteine for the fermentation of the saccharified rice solution. The number of viable Bifidobacterium in the fermented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ascorbic acid(2.2$\times$108~3.4$\times$108CFU/ml) was greater than that with the addition of cysteine (8$\times$107~2.8$\times$108CFU/ml). Ascorbic acid supplement also contributed better sensory properties, such as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ibility than cysteine supplement did.

  • PDF

문어와 오징어의 첨가량에 따른 배추김치의 숙성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quid and Octop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미애;서혜영;양지희;장미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04-2011
    • /
    • 2013
  • 오징어와 문어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4^{\circ}C$에서 56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환원당,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 및 젖산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H와 산도는 담근 초기에는 오징어와 문어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증가하고 산도는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발효 42일째부터는 오징어와 문어의 첨가량이 높은 처리구의 산도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에서는 오징어와 문어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처리군의 환원당 함량은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태질소는 김치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염기질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오징어와 문어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등의 젖산균수는 오징어를 첨가한 김치에서는 오징어의 첨가에 따라서 젖산균의 초기 생성시기를 늦추는 작용을 하였으나 문어를 첨가한 김치에서는 문어의 첨가량이 높은 처리구에서 초기 젖산균수가 급속하게 증가하여 발효후반 김치의 산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오징어와 문어를 첨가한 배추김치를 상품화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수산물김치가 대중화가 되기 위해서 김치에 첨가되는 수산물의 전처리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미자 건조와 저장에 관한 연구 (Studios on Drying and Preserv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

  • 정기태;주인옥;최정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7-223
    • /
    • 1998
  • 천일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한 건오미자의 품질과 저장온도별 성분변화 및 생오미자의 저장수명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건오미자의 pH와 산도는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환원당은 열풍건조(11.02%)와 동결건조(10.12%)에 비해 천일건조(3.77%)에서 월등히 낮았고 조단백질함량은 동결건조ㆍ열풍건조ㆍ천일건조 순으로 나타났으며 흡광도(520nm)와 a값은 천일건조와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시(3.889) 2.4-2.7배와 3배가 각각 높았다. 건오미자 저장중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 수록 증가하였으며 산도는 $25^{\circ}C$$^{\circ}C$ 저장에서 감소되었으나 저온 및 냉동저장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환원당은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계속 증가하다 8개월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흡광도와 색택(L, a, b값)은 $25^{\circ}C$$^{\circ}C$저장시 감소되었으나 저온 및 냉동저장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생오미자의 4$^{\circ}C$ 저장시 9일부터 부패가 일어나 저장가능기간은 9일로 판단되며 냉동저장시 산도와 환원당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흡광도는 저장 8개월 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후 감소하였는데 -6$0^{\circ}C$ 저장구에는 초기 흡광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까나리 액젓 첨가 깍두기의 이화학적ㆍ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akdugi Prepared with 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Sauce during Fermentation)

  • 김미리;오윤미;오수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02-608
    • /
    • 2000
  • 깍두기에 까나리액젓, 멸치액젓,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pH, 총산도, 당도, 염도, 환원당, 색도, Texture, 유산균 수).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젓갈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깍두기의 염도는 1.9-2.3%로 모든 처리군이 유사하였으며, 숙성 전기간동안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pH와 환원당 함량이 낮았고, 총 산도는 높았다. 특히, 새우젓 첨가군이 숙성 전기간동안 pH 및 환원당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총산도는 가장 높았다. 까나리액젓 첨가군은 멸치액젓 첨가군과 깍두기 숙성 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유산균 수는 숙성 8일에 최고치에 달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으며 새우젓 첨가군이 가장 많았고 대조군이 가장적었으며, 까나리액젓 첨가군은 멸치액젓 첨가군과 유사하였다 색도는 Hunter color의 a 및 b값이 까나리액젓 첨가군과 멸치액젓 첨가군이 유사하였다. Texture analyse체 의한 깍두기 무의 경도는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큰 폭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 적기인 숙성 11일에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는 새우젓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멸치액젓 첨가군 및 까나리액젓 첨가군이었으며 대조군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 PDF

칼슘 분말제재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박우포;박규동;정용진;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8-432
    • /
    • 2002
  • 김치 제조시에 칼슘 분말제재를 절인 배추에 대하여 0.5%, 1.0% 및 1.5%씩 첨가하여 김치를 만들고, 숙성하면서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총균수, 젖산균수 및 관능검사와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숙성 10일 이후에 pH 4.0 이하인데 반하여 칼슘 분말제재를 첨가한 시험구는 pH 4.0 이상을 유지하였으며, 1.5% 첨가구의 값이 가장 높았다. 적정산도는 숙성 25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일까지 증가가 다른 기간에 비하여 현저하였다. 또한 칼슘 분말제재 첨가구는 김치 담금시부터 대조구보다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중 그 차이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숙성 5일까지는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9 log(CFU/mL)에 도달하였으며, 대조구의 총균수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칼슘 분말제재를 첨가한 시험구의 총균수가 대조구보다 대체적으로 많았다. 관능적인 평가에서는 칼슘분말 제재를 0.5%, 1.0% 첨가한 시험구가 냄새 및 맛에 있어서 대조구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호박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 Pumpkin Wine)

  • 안용근;이석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0-166
    • /
    • 1996
  • In order to develop a pumpkin wine, the brewing conditions and sensory evalution of the wine were studied. The pumpkin can be made into wine by ethanol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ae. When the mash was adjusted 15aA pumpkin and 25% sugar and fermented for 15 days, the product was highly evaluted in color, flavor and taste. Contents of the refined pumpkin wine were 80mg/ml of total sugar, 70mg/ml of reducing sugar, 2.1 of acidity and 12% of ethanol, and it's pH was 3.6.

  • PDF

원료백미의 분쇄정도가 무증자 당화 탁주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und Rice Particle Size on the Brewing of Uncooked Rice Tsckju)

  • 이순애;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69-276
    • /
    • 1995
  • Uncooked rice Tackju was prepared from the groud rice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such as 12, 20, 35 and 50 mesh,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during the brewing. Reducing sugar and ethanol contents as well as yeast cell counts were the highest in main mash and Tackju prepared from 20 mesh fraction. Especially, reducing sugar content was about. 1.5-2.5 times as much as that obtained from 35 or 50 mesh fraction. The final concentration of ethanol in main mash prepared from 20 mesh fraction was 14.8%(v/v). It was about 1.5%(v/v) higher than the lowest one [13.35%(v/v)] which was prepared from 12 mesh fr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cidity was observed. Sensory evaluation revealed 20 or 35 mesh Tackju to be the best in overall preference, especially in sweet and refreshing tastes.

  • PDF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품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Product Durins Fermentation)

  • 박영선;서정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0-304
    • /
    • 1996
  • 증편반죽의 증자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양상을 규명하고자 발효시간을 0에서 10시간까지 달리한 증편제품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 품의 화학적 성질들의 변화양상은 반죽시료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증자과정 중 pH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적정산도, lactic acid, 총 당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특히 환원당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유리아미노산의 종류별로는 다소 증가 혹은 감소하여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벌꿀발효주의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Honey Wine)

  • 임종환;김동한;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7-342
    • /
    • 1997
  • 벌꿀발효주인 mead 와 melomel의 제조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천연벌꿀을 희석하여 제조한 mead와 벌꿀로 삼투압추출법에 의해 얻은 매실쥬스를 희석하여 제조한 매실 melomel의 발효 중 알코올함량, 환원당, 가용성고형분, pH 및 총산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발효 속도는 mead보다 melomel이 훨씬 빨랐다. 환원당과 가용성 고형분(Brix)은 발효시작 후 16일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알코올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mead의 경우는 초기 5일까지는 환원 당량의 감소속도와 알코올 생성속도가 다소 지연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발효 21일 후에는 mead의 알코올함량은 7.6%에 이르렀으며, 매실 melomel은 12.4%에 도달하였다. pH와 총산도는 발효 초기의 변화 외에는 전 발효기간 중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가 끝난 mead와 매실 melomel은 미세여과를 통하여 광투과도가 99.4%인 밝고 투명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벌꿀을 사용하여 삼투압법으로 추출한 과실을 사용하여 벌꿀발효주를 만드는 melomel의 제조법이 단순히 벌꿀만을 사용하는 mead의 제조법에 비해 장점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소분해가 감쥬스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Enzymatic Hydrolysi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rsimmon Juice)

  • 전윤기;최희숙;차보숙;오훈일;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8-203
    • /
    • 1997
  • 마쇄한 감 puree에 2종류의 상업적 다른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Viscozyme과 Celluclast를 처리하여 얻은 감쥬스의 추출수율, 점도, 색, 적정산도, 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rabinase, cellulase, xylanase, hemicellulase와 ${\beta}-glucanase$의 효소활성을 가진 Viscozyme으로 $50^{\circ}C$에서 10분간 가수분해할 때 추출수율, L값, 환원당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감쥬스의 추출수율은 Viscozyme으로 처리시 42.8%에서 80%로 증가하는 반면 Celluclast는 73.3%로 증가하였다. 한편 관능적 특성중 감맛과 감내, 주홍색과 주황색은 Viscozyme으로 60분간 가수분해한 쥬스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