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tide predic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RS and GIS

  • Yoon, Hong-J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32-335
    • /
    • 2006
  • Red tide(harmful algae)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has a given a great damage to the fishery every year. However, the aim of our study understands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air and water temperature, precipitation, sunshine, solar radiation, winds) relating to the mechanism of red tide occurrence and monitors red tide by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analyzes the potential area for red tide occurrence by GIS. The meteorological factors have directly influenced on red tide formation. Thus, We want to predict and apply to red tide formation from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d tide form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future, it should be realized the near real time monitoring for red tide by the development of remote sensing technique and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model by the red tid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data base of red tide - meteorological informations). Finally our purpose is support to the prediction information for the possible red tide occurrence by coastal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reduce the red tide disaster by the prediction technique for red tide.

  • PDF

나이브베이스 분류자와 퍼지 추론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의 성능향상 (Enhancing Red Tides Prediction using Fuzzy Reasoning and Naive Bayes Classifier)

  • 박선;이성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881-1888
    • /
    • 2011
  • 적조란 유해조류의 일시적인 대 번식인 자연현상으로 어패류를 집단 폐사 시킨다. 적조에 의한 양식어업의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조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적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적조발생 예측시 나이브베이스 분류자를 이용하면 좋은 예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나이브베이스를 이용한 결과는 단순한 발생 여부 만을 판별 할뿐 발생하는 적조가 어느 정도 증가 할지는 알 수 없다. 본 논문은 퍼지 추론과 나이브베이스 분류자를 이용한 새로운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적조 발생 예측의 정확률을 향상시키면서 적조생물 밀도의 증가율을 예측할 수 있다.

퍼지 추론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 (Red Tide Blooms Prediction using Fuzzy Reasoning)

  • 박선;이성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5호
    • /
    • pp.291-294
    • /
    • 2011
  • 적조란 유해조류의 대 번식으로 바다물의 색깔이 변하는 일시적인 자연현상으로 어패류를 집단 폐사 시킨다. 유해 적조류에 의한 국내 수산업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적조 발생 예측은 적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적조 현상 예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단순히 적조 분류에 집중되어 있어서 적조발생 예측에는 미흡하다. 본 논문은 퍼지 추론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M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06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 PDF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44-853
    • /
    • 2005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앙상블 학습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의 성능향상 (Enhancing of Red Tide Blooms Prediction using Ensemble Train)

  • 박선;정민아;이성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1호
    • /
    • pp.41-48
    • /
    • 2012
  • 적조란 유해조류의 일시적인 대 번식으로 바다를 적색으로 변화시키며 양식장의 어패류를 집단 폐사 시킬 뿐 아니라 연안환경 및 바다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자연 현상이다. 적조에 의한 양식어업의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적조방제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조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적조에 대한 피해 및 방재 비용을 최소화 시킬수 있다. 본 논문은 앙상블 학습은 이용한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앙상블 학습의 bagging과 boosting 방법을 이용하여서 적조를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은 단일 분류기에 비하여서 더 좋은 적조 발생 예측 성능을 보였다.

신경망과 SVM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 (Red Tide Prediction using Neural Network and SVM)

  • 박선;김경준;이진석;이성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39-45
    • /
    • 2011
  • 적조에 의한 양식어업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적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화학적 특성이나 생물학적 원인 규명에 초점이 맞춰 연구되고 있다. 적조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적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적조 현상 예측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적조발생 판별에 그치는 등 미흡한 실정에 있다. 본 논문은 신경망과 SVM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Satellite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Red Tid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 Yoon, Hong-Joo;Kim, Young-Se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30
    • /
    • 2003
  • It wa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factors, the choice of potential area for red tide occurrence, and the satellite monitoring for red tide. From 1990 through 2001, the red tide continuously appeared and the number of red tide occurrence increased every year. Then, the red tide bloomed during the periods of July and August. An important meteorological factor governing the mechanisms of the increasing in number of red tide occurrence was heavy precipitation. Oceanographic factors of favorabl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red tide formation included warm water temperature, low salinity, high suspended solid, low phosphorus, low nitrogen. A common condition for the red tide occurrence was heavy precipitation 2∼4 days earlier, and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ed tide formation were high air temperature, proper sunshine and light winds for the day in red tide occurrence. From satellite images, it was possible to monitor the spatial distributions and concentrations of red tide. It was founded the potential areas for red tide occurrence in August 2000 by CIS conception: Yeosu∼Dolsan coast, Gamak bay, Namhae coast, Marado coast, Goheung coast, Deukryang bay, respectively.

인공위성을 통한 해양·기상자료를 이용한 적조발생예보 (Prediction of Red Tide Occurrence by using Oceanic and Atmospheric Data by Satellite)

  • 오승열;박재문;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11-318
    • /
    • 2015
  • 우리나라 연안에서 매년 발생하는 적조는 환경적, 경제적인 피해의 발생으로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년간의 해양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적조발생에 우호적인 조건을 분석하고 각 해양 기상 요소를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해양 기상상황에 적용하여 적조발생예측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12년과 2013년은 실제 적조발생 6~11일 전에 적조의 발생가능경보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4년은 평년에 비해 많은 강수(장마), 낮은 일조시수, 저수온 해역 발생 등의 이유로 적조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적조발생에 일조량이 미치는 영향을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적인 기상 및 해양요소들의 복합적인 분석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atellite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red tide in the coast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 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 Yoon, Hong-Joo;Kim, Young-Seup;Kim, Sang-W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56-656
    • /
    • 2002
  • It is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Chlorophyll-a concentration by the in-situ and satellite data)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sunshine and winds) in the coast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summer and early-fall which frequently occurred the red tide, the precipitation above 213mm had directly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because it carried the nutritive substance which originated from the land into the coastal areas. Then air temperature kept up generally high values as 23~26$^{\circ}C$, and sunshine with 187~198hours and wind velocity with 3.1~7.9m/s showed not directly the relationship 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