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inseng, puff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ff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Tail Root)

  • 홍희도;김영찬;김성수;심건섭;한찬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47-153
    • /
    • 2007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사포닌 성분, 당류, 페놀성분, 미세구조 및 소화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미삼의 추출된 조사포닌 함량은 팽화처리후 약 26.5% 증가하였다. 사포닌 조성에서 팽화홍미삼은 홍미삼에 비해 $Rb_1$, $Rb_2$, Rc, Re, $Rg_1$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Rd와 $Rg_3$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Rg_3$함량은 0.49 mg/g에서 0.72 mg/g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총당은 팽화전후 비슷하였고, 산성다당체 함량은 각각 7.15, 6.44%로 팽화후 다소 감소하였다. 총페놀함량은 7.86%에서 9.94%로 증가하였다. 개별 페놀산의 경우 gentisic acid는 홍미삼에서만, salicylic acid는 팽화후 홍미삼에서만 검출되었고, gal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및 ferulic acid 등은 팽화로 크게 감소한 반면 syringic acid는 약 6배 증가하였다. 팽화후 홍미삼의 절단면 미세구조는 팽화전보다 훨씬 균일화한 입자모양을 나타내었으며, 팽화전후 펩신소화율은 각각 22.4, 4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결과는 팽화처리에 의해 홍미삼의 생리활성성분의 증가와 기호성 및 소화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팽화처리에 의한 홍미삼의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 Contents in a Red Ginseng Tail Root by Puffing)

  • 한찬규;최상윤;김성수;심건섭;신동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11-314
    • /
    • 2008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정된 63 종의 화합물 중 팽화처리 후에는 59 종이 검출되었으며 terpene 계 화합물 및 furan계 화합물은 팽화처리에 의하여 대부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alcohol계, aldehyde계 및 acid계 화합물은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terpine계 화합물이 분석된 전체 휘발성 성분 함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Change of Ginsenoside Profiles in Processed Ginseng by Drying, Steaming, and Puffing

  • Shin, Ji-Hye;Park, Young Joon;Kim, Wooki;Kim, Dae-Ok;Kim, Byung-Yong;Lee, Hyungjae;Baik, Moo-Y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222-229
    • /
    • 2019
  •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was processed by drying, steaming, or puffing, and the effects of these processes on the ginsenoside profile were investigated. The main root of 4-year-old raw Korean ginseng was dried to produce white ginseng. Steaming, followed by drying, was employed to produce red or black ginseng. In addition, these three varieties of processed ginseng were puffed using a rotational puffing gun. Puffed ginse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traction yields of ginsenosides (49.87-58.60 g solid extract/100 g of sample) and crude saponin content (59.40-63.87 mg saponin/g of dried ginseng) than non-puffed ginseng, respectively. Moreover, puffing effectively transformed the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and Rg1) of ginseng into minor ones (F2, Rg3, Rk1, and Rg5), comparable to the steaming process effect on the levels of the transformed ginsenosides. However, steaming takes much longer (4 to 36 days) than puffing (less than 30 min) for ginsenoside transformation. Consequently, puffing may be an effective and economical technique for enhancing the extraction yield and levels of minor ginsenosides responsible for the major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팽화처리가 인삼Extract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 심건섭;이성갑
    • 기술사
    • /
    • 제33권1호
    • /
    • pp.106-115
    • /
    • 2000
  • The effect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were investigated in the good products for rejecting soil flavor as Ginseng foreign bad taste,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actual manufacturing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Puffing treated<15kg / ㎠psi> ginseng has produced a marked increase in soluble solid, crude saponin yield to the extent of 10% and without soil taste as compared with control Ginseng. Optimum Ginseng ethanol extraction condition were 90$\^{C}$ for 8 hours, which was cheap operating cost and color, apperance, total solid yield of Ginseng extracted products. For 70% ethanol extraction in temperature range of 60∼90$\^{C}$ for 8 hours, the higher temperature resulted higher yields in solids and Ginsenoside Especially, GinsenosideRgl as most effective physiological function component yield was increased in 18% by puffed Ginseng than control Cinseng products.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of Ginseng extract were 31.09, 21.9 and 49.5 and increase brown and red color value and total Δ Evalue.

  • PDF

팽화홍삼분말이 벤조피렌을 투여한 마우스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ing Red Ginseng Powder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Benzo(α)Pyrene-Treated Mice)

  • 김현정;이기동;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47-852
    • /
    • 2008
  • 팽화홍삼분말이 B($\alpha$)P의 투여에 의한 간 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의 글루타치온 및 과산화지질 함량,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alpha$)P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 내 ALT와 AST의 활성이 팽화홍삼분말을 투여하면 감소하였다. 간 조직중의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도 B($\alpha$)P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의 투여로 이들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글루타치온 함량과 GST 활성은 B $\alpha$)P 단독군에서는 감소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 투여 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cytochrome P-450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B ($\alpha$)P 투여 시 증가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의 투여 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홍삼분말보다 팽화시킨 홍삼분말에서 더 큰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팽화홍삼분말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의한 B($\alpha$)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압출성형 온도가 백삼과 홍삼의 팽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Temperature on Puffing of White and Red Ginseng)

  • 김봉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09-1113
    • /
    • 2005
  • 압출성형 온도에 따른 백삼과 홍삼분말의 팽화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팽화율, 미세구조 및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압출성 형 공정 변수는 원료(백삼과 홍삼가루)와 사출구 부위온도($100^{\circ}C$$115^{\circ}C$)로 설정하였다. 사출구 부위온도가 $12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잘 팽화되지만, 백삼분말과 홍삼분말은$100^{\circ}C$에서 사출구 직경방향으로 팽화율이 높았으나 $115^{\circ}C$로 증가와 함께 사출구 직경방향 팽화율은 감소하였으나 가로 방향으로 팽화율이 증가하여 비연속적인 팽화가 일어나 압출성형물 표면은 기공의 파열에 거칠었다. 또한 백삼 압출물의 미세구조는 사출구 온도$100^{\circ}C$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지만 $115^{\circ}C$로 증가와 함께 기공의 파열에 의해 기공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크기도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백삼분말과 압출성형 백삼분말은 의가소성유체였으며 고유점도는 사출구 부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사출구 부위온도의 증가와 함께 백삼전분의 구조가 파괴되어 분자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자량의 감소와 함께 용융반죽의 점도가 낮아져 압출성형 온도 $115^{\circ}C$에서 직경 팽화율의 감소와 함께 불연속적인 팽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Oxidative stability of extracts from red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in bulk oil or oil-in-water emulsion matrix

  • Lee, Sang-Jun;Oh, Sumi;Kim, Mi-Ja;Sim, Gun-Sub;Moon, Tae Wha;Lee, JaeH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20-326
    • /
    • 2018
  • Background: Explosive puffing can induce changes in the chemical,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y of red ginse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red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were determined in bulk oil and oil-in-water (O/W) emulsions. Methods: Bulk oils were heated at $60^{\circ}C$ and $100^{\circ}C$ and O/W emulsions were treated under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In vitro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2,2-diphenyl-1-picrylhudrazy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total phenolic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ethanolic extract from red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were 42.33 mg/g and 49.22 mg/g, respectively. All results from above in vitro antioxidant assays revealed that extracts of puffed red ginseng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ies than those of red ginseng (p < 0.05). Generally, extracts of puffed red and red ginseng had high antioxidant properties in riboflavin photosensitized O/W emulsions. However, in bulk oil systems, extracts of puffed red and red ginseng inhibited or accelerated rates of lipid oxidation, depending on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type of assay used. Conclusion: Although ethanolic extracts of puffed red ginseng showed stronger antioxidant capacities than those of red ginseng when in vitro assays were used, more pro-oxidant properties were observed in bulk oils and O/W emulsions.

홍삼의 약리와 독성 기전에 대한 고찰 (Review of Red Ginseng in terms of Mechanisms for Pharmacodynamics and Toxicity)

  • 박영철;임정대;김종봉;이선동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0-230
    • /
    • 2012
  • Objectives: Ginseng, Panax ginseng C. A., white ginseng, has been used for thousands of year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Red ginseng can be made by a steaming process of white ginseng changing a variety of ginsenosides and ingredients such as dencichine. This article reviews red ginseng for mechanisms for pharmacodynamics and toxicity based on the content of ginseng's active ingredients, ginsenoside changed by steaming. Methods: The following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PubMed, Science Direct and Chinese Scientific Journals full text database (CQVIP), and KSI (Korean Studies Information) from their respective inceptions to June 2012. Results: Compared with unsteamed ginseng, the content of ginsenosides Rg2, Rg3, Rg5, Rh1, Rh2 and Rk1 called red ginseng-specific ginsenosides increased after the steaming process. Different ginsenosides have shown a wide variety of effects such as lowering or raising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or stimulating or sedating the nervous system. Especially, the levels of Rg2, Rg3, Rg5, Rh1, Rh2 and Rk1 were increased by the steaming process, showing a variety of pharmacodynamics in biological systems. Also, various processing methods such as puffing and fermentation have been developed in processing crude ginseng or red ginseng, affecting the content of ginseng's ingredients. The safety issue could be the most critical, specifically, on changed ginseng's ingredients such as dencichine. The level of dencichin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red ginseng by the steaming process. In addition, the possible toxicity for red ginseng was affected by cytochrome P450, a herbal-drug interaction. Conclusions: The variety of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should be changed by steaming process of Panax ginseng C. A., white ginseng. Even if it is not sure whether the steaming process of white ginseng would be better pharmacologically, it is sure that steaming reduces the level of dencichine causing a lower toxicity to the nervous system.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