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arlic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1초

시판 instant curry 및 curry 사용원료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 정명수;정승현;이진선;빅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5-131
    • /
    • 2003
  • Instant curry 제품 및 원료로 사용되는 향신료의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Linoleic acid에 향신료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동산화를 측정한 결과 ginger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clove 및 fennel의 경우 ${\alpha}-tocophero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mild pure curry(MPC, p<0.001)와 spicy pure curry(SPC, p<0.01)도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instant curry 제품에서도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nstant curry의 열수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억제작용은 없었으나, 원료로 사용되는 red pepper$(52.8{\pm}2.13%)$와 clove$(13.48{\pm}1.00%)$, coriander$(10.32{\pm}1.45%)$의 경우 ACE활성을 저해하였다(p<0.001). 향신료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유방암세포 MCF-7의 증식억제에 black pepper$(29.31{\pm}2.12%)$와 cardamon$(19.41{\pm}3.92%)$이 유의차(p<0.01)있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며, celery seed$(28.20{\pm}5.98%)$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SPC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궁암세포 HeLa의 경우 clover$(42.92{\pm}5.57%)$는 p<0.01 수준에서, cassia$(26.14{\pm}7.41%)$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게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MPC 및 coriander, turmeric, SPC, nutmeg, cardamon, red pepper, celery seed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종양세포 A172의 경우 ginger$(34.21{\pm}1.11%)$ 및 cardamon$(31.89{\pm}3.13%)$, black pepper$(31.35{\pm}3.93%)$가 p<0.001 수준에서, 그리고 cumin 및 MPC, SPC, turmeric, celery seed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p<0.05). 그러나 clove 및 fenugreek, cassia에서는 A172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p<0.001), clove 및 nutmeg, fennel, celery seed, fenugreek, black pepp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신장암 세포 SN12C의 경우 MPC 열수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cytotoxicity가 증가하였으며, 폐암 세포주 A549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cytotoxicity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tudy on Optimum Sizes of Experimental Units

  • Chang, Suk-Hw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201-208
    • /
    • 2003
  • Since no information about the optimum plot sizes on field experiments on the major food crops in Korea is available, present status of plot sizes being used by the research institutes was examined for rice, barley & wheet, soybean, potatoes, red pepper, garlic and onion. The optimum plot sizes in field experiments on these crops were estimated on the basis of soil fertility indices (Smith's regression coefficients) that Chang (1983) reported.

  • PDF

방사선 조사 시 혈구 및 장점막에 대한 흑마늘 추출물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Black Garlic Extract for Blood and Intestinal Mucosa to Irradiation)

  • 정도영;최준혁;김중선;최형석;배민지;박원석;민병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9-26
    • /
    • 2016
  • 교육, 의료,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은 전신 피폭시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이에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하여 방사선 피폭으로 발생되는 부작용을 저감화 시키는 방사선방호효과를 확인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을 Sprague Dawley Rat에 일정기간 투여한 후 7, 13 Gy의 X-ray를 조사하여 혈구성분 및 소장조직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흑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초기 백혈구(p<0.05) 및 적혈구(p<0.05), 혈소판(p<0.05)의 손상이 감소되었으며 소장움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생존을 확인하였고 소장 융모의 길이는 정상군에 가깝게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흑마늘 추출물이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세포 손상을 줄여주어 방사선방호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조선시대(朝鮮時代) 궁중음식중(宮中飮食中)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 이효지;윤수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1-115
    • /
    • 198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Korean food culture by analizing 17 sets of Jinyounuigue(진연의궤) Jinchanuigue(진찬의궤), and Jinjarkuigue(진작의궤) which were the records of royal party procedures in Yi dynasty. Side dishes were classified into 20 groups in this study ; Tang (場) 19, Jungol (전골) 3, J'im 18, Jun (전) 20, Jock 14, Pyunuk (片肉) 14, Cho 12, Hyae 17, Po 8, Chae 3, Bung 1, Nanri 1, Sooran 1, Sookran 1, Jaban 1, Kimchi 2, etc. all of 140 different kinds of side dishes. There was no tendency in omission or addition of food materials. Food materials were beef, pork, lamb, chicken, duck, peasant meat, dock's egg, fish, shellfishes, mollusca, curstacea, seaweeds, vegetables, fruits, beancurds, muk (a starch jelly), d'ock, muchrooms, etc. Seasonings were soysauce, pepper, sesame oil, ginger, green-onion, garlic, bean paste, ginger powder, red pepper powder, red pepper paste, salts, vinegar, honey, sesame power, etc.

  • PDF

홍마늘 복합물이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분변 지질 함량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arlic-Composites on the Fecal Lipid Level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s Fed a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수정;권민혜;권효진;신정혜;강민정;김성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25
    • /
    • 2013
  • 홍마늘 추출물(RG)과 홍마늘 추출물에 녹차 및 식이섬유를 혼합한 복합물(RGT, RGF 및 RGTF)이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에 급이 시 체내 지질 배설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in vitro에서 이들 복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in vitro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홍마늘 추출물(RG)에 비해 RGT 및 RGTF에서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RGT와 RGTF의 활성이 유사하였고 이는 R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이었다. 환원력은 라디칼 소거활성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심장 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HRG군에 비해 홍마늘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실험 식이를 급이한 4주 후에 분변 중의 총 지질 함량은 HRGF 및 HRGTF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홍마늘 복합물 급이군에서 6.2~12.1% 감소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복합물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간 조직의 SOD 활성은 복합물 급이군이 HRG군보다 높았다. Catalase 활성은 HRGT군, GSH-px 활성은 HRGT 및 HRGTF군의 활성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UDPG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HRGT 및 HRGT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홍마늘 복합물은 시료 중의 페놀 화합물, 식이섬유에 의해 분변 중으로 지질 배설작용이 촉진됨으로써 간 조직의 지질 수준 감소와 항산화 효소활성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의 위생학적 우수성 (Hygienic Superiority of Kimchi)

  • 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97
    • /
    • 2008
  • Kimchi i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food in Korea and a type of vegetable product that is the unique complex lactic acid fermentation in the world. It can be considered as a unique fermented food generated by various flavors, which are not included in raw materials, that can be generated by mixing and fermenting various spices and seasonings, such as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and salted fish, added to Chinese cabbages. Functionalities in Kimchi have been approved through several studies and the probiotic function that is mainly based on lactic acid bacteria including their physical functions in its contents has also verified. Studies on the verification of the safety of Kimchi including its physiological functions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is a caused of the fermentation of Kimchi. Although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ributed to the fermentation of Kimchi is generated from raw and sub-materials, the lactic acid bacteria attached on Chinese cabbages has a major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dominant bacteria are also related to the process. The salt used in a salt pickling process inhibits the growth of the putrefactive and food poisoning bacteria includ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Kimchi and of other bacteria except for such lactic acid bacteria due to the lactic acid and several antimicrobia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such as bacteriocin and hydrogen peroxide.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gas caused by heterolactic acid bacteria contributes to the inhibition of aerobic bacteria. Furthermore, special ingredients included in sub-materials, such as garlic, ginger, and red pepper powder, contribute to the inhibition of putrefactive and food poisoning bacteria. The induction of the change in the intestinal bacteria as taking Kimchi have already verified. In conclusion, Kimchi has been approved as a safety food due to the fact that the inhibi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occur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Kimchi and the extinction of such bacteria.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 최신양;조경현;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9-784
    • /
    • 2006
  • 기능성 강화를 목적으로 키토산 0.2%, 송이버섯 1.0%, 석류분말 1.2%, 산사추출분말 1.0%, 실크분말 1.2%, 은행잎추출분말 0.01%, 동아분말 1.2%, 마늘유 0.2%, 홍국분말 1.2%를 각각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소재가 고추장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5일간의 숙성 기간별 pH, 산도, 포르몰태 질소함량, 색도의 변화는 소재 첨가구와 control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활성은 0.2%의 마늘유 첨가구가 control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고 ACE저해활성은 1.2%의 실크분말 또는 0.01%의 은행추출분말 첨가 시 control에 비해 약 2배의 효과가 있었다.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재배한 주요 작물별 가식부 중금속 축적 농도 및 생물농축계수 (Heavy Metal Accumulation in Edible Part of Eleven Crops Cultivated in Metal Contaminated Soils and Their Bio-concentration Factor)

  • 임가희;김계훈;서병환;김권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0-267
    • /
    • 2015
  •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ecies specific accumulation of Cd and Pb in 11 crop species (Soybean, Sesame, Corn, Polished rice, Carrot, Potato, Garlic, Spring onion, Chinese leek, Red pepper, Eggplant), through cultivating them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metal contaminated soils.METHODS AND RESULTS: Eleven crop species were cultivated in three different soils contaminated with Cd and Pb and harvested. Edible parts of each crop was pretrea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Cd and Pb concentrations, and subsequently bioconcentration factors (BCFs) were calculated. In general, the crops of which seeds are used as food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both Cd and Pb. For instance, Cd concentrations in crops cultivated in Soil A was in the order of soybean (0.432 mg kg-1) > sesame (0.385) > polished rice (0.176) > carrot (0.116) > corn (0.060) > red pepper > (0.047) > potato (0.044) > egg plant (0.025) > garlic (0.023) > spring onion (0.016) > Chinese leek (0.011). BCFs showed the same order.CONCLUSION: From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 that seeds plants should not be cultivated in Cd and Pb contaminated soils to secure food safety from metal contaminated soils.

김치 발효중 대장균군의 소장과 억제에 관한 연구 (Presence and Control of Coliform Bacteria in Kimchi)

  • 정장호;김연순;유양자;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99-1005
    • /
    • 1997
  • 김치 발효중 대장균군의 잔존 현상을 확인하였고 대장균군을 가식 기간에서도 조기에 사멸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동시에 nisin의 김치 발효에서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대장균(E. coli B34)을 김치 제조시 $10^6\;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을 때 pH, 산도의 변화, 총균수, 총젖산균수, Leuconostoc속 젖산균의 수 등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AITC 그 자체나 AITC를 생성하게 하는 고추냉이, 그리고 김치제조시 정상적으로 첨가하는 마늘이 대장균군에 대한 조기사멸효과가 있었는데, 마늘은 2.0% 이상, AITC는 50ppm이상, 고추냉이가루 0.4%이상에서 대장균군의 사멸효과가 좋게 나타났으나, nisin의 경우는 $100{\sim}2000\;I.U./g$에서 대장균군이 대조구보다 더 오랫동안 잔존하였으며 김치의 저장성 연장효과는 미미하였다. MMTSOO나 겨자가루는 대장균군 조기사멸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 재료로 쓰이는 원료중에서 절인 배추에는 $10^4$, 깐마늘에는 $10^2{\sim}10^5$, 고춧가루에는 $10^4{\sim}10^5$, 생강에는 $10^7$, 그리고 파에는 $10^3{\sim}10^5\;CFU/g$의 대장균군이 존재하였다. 통마늘과 공장생산 고춧가루에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구소련(독립국가연합) 거주 한인들의 김치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III) -김치재료-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Koreans in CIS(III) -Materials of Kimchi-)

  • 김영숙;이경임;신애숙;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4
    • /
    • 1998
  •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in the preparation of kimchi for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a survey was completed by 199 Koreans living in Moscow, Sahalin, Uzbekistan and Jazahstan, In the way to purvey the materials of Kimchi, the frequency to get all the materials of Kimchi in the markets is 74.7% on the whole and by regional groups th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in Mos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x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scow and Kazahstan. 쫴 are younger, or belong to higher emigrant generation, prefer cabbage kimchi. For the additional vegetables many respondents use carrots. For the seasonings,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 are added to Kimchi, but the use of ginger, whole seasame seed, and waxy rice paste is relatively low. The coriander, which is not added to kimchi in Korea, is used in Kimchi By above 80% of the respondents living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the western dining cultural area. For the animal materials, 74.4% of the respondents add lightly salted fish to Kimchi and all toe respondents in Sahalin add salt-fermented sea food, the kind of which is mainly salt-fermented croaker. The reasons given for not adding salt-fermented seafood to Kimchi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59.9%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purvey, 21.1% because of the fishy taste, and 16.8% because of not considering the addition of self-fermented sea food in Kimchi. The higher the emigrant generation of respondents, the less seasonings of strong flavor like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fermented sea food are used, and the more coriander is used. In the salting of Kimchi preparation, 97.8% of the respondents salt the main vegetables by soaking in brine and its concentration is controlled by exper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