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cabbage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1초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 미생물 제재의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 및 상추와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product made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 김순희;배계선;양재균;이유정;오주성;정순재;문병주;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78-787
    • /
    • 2004
  •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분리하여 동정한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와 미강을 사용하여 미생물 제재를 제조하고 미생물 제재의 처리가 상추(적치마 상추)와 배추(가락 신1호 배추)재배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및 상추와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 한 6주 후, 미생물 제재를 처 리 한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의 총 균수는 미생물 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의 총 균수에 비하여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양에 비례하여 많음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 재배한 상추와 배추의 생육이 미생물 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서 재배한 상추와 배추에 비하여 빠름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는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전체적인 토양 미생물 수의 증가와 작물의 생장에 유용한 종류의 미생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상추와 배추의 생장을 촉진시킨다고 판단된다.

김치의 숙성중 색상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in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미경;하귀현;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4-278
    • /
    • 1994
  •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to visually evaluate the fermentation degree of Chinese cabbage Kimchi. Color "a" and 'H" values in the white part, "a", "H" and "C" values in the green part of the Kimchi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pH, respectively. "a" and "H" values of Kimchi juice. "L" and "V" values of red pepper attached to kimchi had a high correlation with pH. The color of the white part was light greenish white in unripended Kimchi, but changed to redish in ripended kimchi. Green part changed from light green to redish green as ripening. Red pepper powder attached to kimchi showed redish color in unripening, but changed to yellowish re din over ripening.

  • PDF

강화약쑥 수용성 추출물의 식물 타감효과 및 HPLC에 의한 타감물질 분석 연구 (Allelopathic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nghwa Mugwort (Artemisia spp.) Vegetables and HPLC Aanalysis of Allelochemicals)

  • 이주화;변지희;김명수;박춘근;박충범;차선우;이정훈;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37-75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lopathic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nghwa domestic mugwort (Artemisia spp.) on vegetables and its related allelo-chemicals. When the receptor vegetables, such as Chinese cabbage, lettuce, and red radish, were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Sajabalssuk (A. $sp^*I$), Ssajuarissuk (A. $sp^*II$) or Ssajarissuk (A. $sp^*III$), their germination rate,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restric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queous extract. Allelopathic effect was the highest in radish, than lettuce and Chinese cabbage in order. The growth of topplant were more inhibited then root growth observing in restriction of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chlorophyll contents.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of red radish were 53.3 and 61.2% and their fresh weights were 19.8 and 26.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respectively. A. $sp^*III$ showed the highest allelopathic effect among the donor plants. In HPLC analysis, 7 phenol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A. $sp^*I$ and A. $sp^*II$, and, in A. $sp^*III$, and hydroxybenzoic acid and phenylacetic acid were further identified as allelochemicals. It is considered that their plant growths were variously inhibited by the amounts and types of allelochemicals in aqueous extract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arm land after cultivation of mugwort, these results can be useful to select the following field crops.

채소기피 아동에 대한 영양교육 효과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 장순옥;이견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2-9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whether nutritional education on children or mothers of the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can improve the preferences for the vegetables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45 children who are fourth to sixth grade of primary school in Bibong.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which are Control, Children Education and Mothers Education groups.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special education, whil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nutritional education for 4 weeks. The effects of education was evaluated in the aspects of preference changes for vegetables,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ferences to cucumber, lettuce, chinese cabbage and raddish were high in three groups while greenonion, onion, lotus roots and red pepper didn't suit for their taste. 2.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for the preference to red pepper, pumpkin, Dorajee(root of chinese bell-flower), braken, mushroom was shown only in the children who had nutritional education while the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Education improved their preference only cabbage and lotus roots. 3. Nutritional knowledge of the children in Children Education group has improved significantly(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Mothers Education group. 4. When scores for food habit of mother and children were estim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owever, score of food habit in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5.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of mother were not well corelated with dietary attitude and behavior of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can improve the food choice of children for vegetable and correct one-sided food habit. The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would serve a kind of model for the dietetic teachers to guide the children who mainly dislikes vegetables.

  • PDF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단지(主産團地) 선충 발생상황(發生狀況) 조사(調査) (Survey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on Economic Crops)

  • 조현제;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5-182
    • /
    • 1986
  •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지(主産團地)의 식물기생선충 종류(種類), 분포상태(分布狀態) 및 기생선충 밀도(密度)에 따른 피해정도(被害程度)를 파악(把握)코자 채 및 깔데기법(法)으로 마늘, 감자 등 18개(個) 작물(作物) 3,226포장(圃場)을 조사(調査)하여 1. 16속(屬)(genus)의 기생선충을 분류(分類)하였음. 2. 마늘의 구근선충은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81% 이며 이중 마늘 1구당(球當) 30마리 이상의 선충이 검출(檢出)된 포장(圃場)은 96%로 이러한 포장에서는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3. 고추, 오이, 토마토, 땅콩에는 뿌리혹선충이 주요(主要) 기생선충이며,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높을 뿐더러 선충밀도가 토양(土壤) 100gr당(當) 100마리 이상되는 포장(圃場)이 각각 35%, 17%, 28%, 31%로 이러한 지역(地域)은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4. 고추에 있어서는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가, 참깨에서는 Helicotylenchus dihystera, 사과에는 Pratylenchus vulnus, P. penetrans, 포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 뽕나무에서는 Paratytylenchus projectus, P. aciculus, P. morius, Meloidogyne arenaria, Helicotylenchus dihystera 가 각각 주요(主要) 선충이었다. 5. 고추의 경작년수(耕作年數)가 많을수록 뿌리혹선충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5년(年) 연작시(連作時) 토양(土壤) 200gr당(當) 3,500마리나 되었다.

  • PDF

색소원에 따른 Anthocyanin색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hocyanins from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 이향희;이장욱;임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85-290
    • /
    • 2000
  • Anthocyanin 색소원(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포도, 흑미, 가지, 무화과)의 색가를 조사하고 이들 중 색가가 높은 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및 포도과피를 선정하여 이들 색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금속이온, ascorbic acid, 자외선 및 가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와 포도과피의 색소는 $Mn^{2+}$에 의해 색소의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으며, 적양배추와 꽃양배추 색소는 모두 $Cu^{2+}$이온에 의해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다. Ascorbic acid와 자외선 및 가열은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을 저하시켰는데, 그 정도는 색소원에 따라 달랐다. 이들 요인들에 대한 안정성은 자색고구마 색소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꽃양배추, 적양배추 및 포도과피의 색소 순이었다. 색소원에 따라 색소의 안정성이 달라지는 것은 이들 anthocyanin색소를 구성하는 색소성분의 차이에 기인한다.

  • PDF

송이 첨가 김치의 저장 중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Organoleptic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Adding Pinemushroom during Storage)

  • 이기동;이명희;손광진;윤성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1-167
    • /
    • 2002
  • 송이를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여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숙성 중 관능적 특성 변화를 반응표면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김치의 관능점수는 저장 4일과 8일경에 가장 높았고 12일에는 낮아졌다. 담금 직후에는 송이함량이 높을수록 모든 관능점수가 낮았으나, 향과 맛만은 송이함량과 고춧가루함량이 동시에 높을 경우 높았다. 저장 4일째는 색상,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는데 특히 송이함량 5.0-6.0% 및 고춧 가루함량 3.0-3.5%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저장 8일째에는 씹힘성이 우수하였다. 송이를 첨가한 김치는 1$0^{\circ}C$에서 4-8일 저장한 경우 관능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녹황색 채소류의 돌연변이유발 억제 및 AZ-521 위암세포의 성장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 박건영;이경임;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3
    • /
    • 1992
  • N-methyl-N'-nitro-N-nitrosoguanid me (MNNG)와 N-nitrosodimethylamine (NDMA)의 돌연변이 유발성 및 AZ-52l 사람의 위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녹황색 채소류의 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26종의 시험 채소중 24종(92%)이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성이 있었으며 (p<0.01, 0.05) 80%이상 저해 효과를 보인 시료는 들깻잎, 배추, 꽃양배추, 상치, 갓, 미나리, 들미나리, 당근, 우엉이었다. 한편 NDMA에 대해서도 실험채소중 85%가 항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는데 (p<0.01, 0.05) 들깻잎, 배추, 케일, 콩나물, 양파는 80%이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암세포의 성장 저해 효과에서는 들미나리와 들깻잎이 가장 저해 효과가 컸으며(97~100%) 콩나물과 미나리가 다음으로 효과가 컸었다(p< 0.001). 또한 브로콜리, 쑥갓, 풋고추, 고추잎, 시금치, 양배추, 고구마도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며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p< 0.01, 0.05).

  • PDF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 농축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during Concentration)

  • 안준석;조우진;정은정;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37-440
    • /
    • 2006
  • To develop natural crab-like flavorants from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RSCCE), the flavor was analyzed during the concentration of RSCCE up to $40^{\circ}Brix$.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as chromatography (GC)/mass selective detection (MSD), 30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in four RSCCE samples (10, 20, 30, and $40^{\circ}Brix$). These comprised 12 aromatic compounds, 5 N-containing compounds, 2 5-containing compounds, 2 alcohols, 2 aldehydes, and 7 miscellaneous compounds. The amounts of all volatiles except alcohols and aldehyd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concentration (p<0.05). Of the volatiles detected, the most abundant was a dimethyl trisulfide with an odor like onion/cooked cabbage. Of the N-containing compounds (nutty, roasted peanut-like odor), 2-ethyl-5-methylpyrazine 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2,5-dimethylpyrazine and 2-methyl-5-isopropylpyrazine in that order (p<0.05). The N- and S-containing compounds with characteristic odors detected in this experiment are thought to play a positive role in RSCCE during concentration.

가축분 시용량에 따른 작물의 수량반응과 시비량 절감효과 (Effects of Animal Manure Application on Crops Yield and Reducing the Application Rate of Fertilizer)

  • 유인수;임선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2-238
    • /
    • 1999
  • 가축분 시용량에 따른 토양의 변화와 작물치 수량반응을 보기 위하여 건조 계분, 우분, 돈분 각 $1.6mg\;ha^{-1}$, $3.2mg\;ha^{-1}$을 2년간 연용하면서 1년차(1995)에는 고추, 2년차(1996)에는 배추를 포트 재배하였으며, 가축분 연용토양에서 시비량 절감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추천시비량, 추천시비량의 75%, 50%, 무비추 처리를 하여 청예옥수수를 포트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요소 표준시비토양의 pH 5.8, 유기물 $16.9g\;kg^{-1}$, 유효인산 $249mg\;kg^{-1}$에 비하여 가축분 2년 연용후의 토양은 pH 6.1~7.1, 유기물 $17.1{\sim}23.7g\;kg^{-1}$, 유효인산 $370{\sim}1.058mg\;kg^{-1}$으로 증가되었으며, 치환성양이온(Ca, K, Mg )과 유효인산의 함량이 계분시용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1년차 고추의 과실수량은 대조인 3요소표준시비구에 비하여 가축분 시용에서 121~192%의 수량증가를 보여 가축분 시용효과는 고추에서 컸고, 시용효과는 돈분>계분>우분 퇴비의 순이었다. 2년차 배추의 수량은 3요소표준시비구에 비해 가축분 시용이 55~111%로 배추의 가축분 시용반응은 고추보다 둔하였다. 옥수수 생체중은 ha당 우분 16 Mg 시용토양을 제외한 모든 가축분 연용토양에서 3요소표준시비량구와 75% 시비수준구간에 유의한 수량차이가 없어 가축분 연용토양에서는 25%의 화학비료 절감효과가 인정되었다. 가축분 연용토양에서 무비구의 유기물 함량과 옥수수의 생체 수량간에는 유의한 정의상관($r=0.75^{**}$)이 있었고, 전질소 함량과 수량간에도 유의한 정의상관($r=0.85^{**}$)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