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mmended weight limi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Rat에 sulfamethazine sodium 경구투여 후 혈청 및 실질장기내 sulfamethazine의 잔류량 추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sulfamethnzine residues in serum and practical organs of rats orally administrated with sulfamethnzine sodium)

  • 도재철;이영미;조민희;신상희;박희주;송희종;정종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1-333
    • /
    • 2000
  • In order to know the depletive change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senlm and practical organs of rats orally administered with sulfamethazine sodium(SMS), the concentration of sulfamethazine was measured in serum and tissue(kidney, liver, spleen, testis, and skeletal muscle) of rats with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SMS was orally administrated to sprague-dawley male rats(body weight, 200~300g) with using sonde at the rate of 20mg/100g body weight(recommended therapeutic dose) on once a day for 3 days. There were investigated the depletive changes of the sulfamethazine in serum, kidney, liver, spleen, testis and skeletal muscle of rat at the time 8 hours, 1st, 2nd, 3rd, 4th, 5th and 6th day after administration SMS,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SMS, the mean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serum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were showed 215.53$\pm$42.99ppm at the 8 hours after withdrawal of medicated sulfamethazine. And gradually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the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p<.05) decreased 25.87$\pm$5.18ppm at 1st day, 2.30$\pm$0.61ppm at 3rd day and 0.11$\pm$0.02ppm at 6th day respectively. 2. The mean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kidney, liver, spleen, muscle and testi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after administration SMS were showed 83.82$\pm$12.16, 81.77$\pm$12.88, 36.96$\pm$5.35, 35.96$\pm$TEX>$\pm$1.39 and 27.89$\pm$1.92 ppm at the 8 hours, respectively. And gradually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the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the each of samples were significantly(p<.05) decreased such as 7.15$\pm$0.26, 5.62$\pm$0.72, 2.43$\pm$0.29, 1.99$\pm$0.14 and 3.11$\pm$0.48 ppm at 1st day, 0.52$\pm$0.04, 1.32$\pm$0.22, 0.13$\pm$0.03, 0.15$\pm$0.06 and 0.26$\pm$0.11ppm at 3rd day, and 0.03$\pm$0.01, 0.11$\pm$0.03, 0.02$\pm$0.01, 0.009$\pm$0.001 and 0.02$\pm$0.01 ppm at 6th day, respectively. 3.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SMS to rats,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skeletal muscle were significantly (p<.05) decreased 35.96$\pm$1.39 to 0.009$\pm$$\pm$0.001 ppm between 8 hours and 6th day, respectively From the 4th day,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were showed 0.10$\pm$0.04 ppm below 0.1 ppm at the permitted limit concentration of muscle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ed period, doses of sulfonamides and residual aspects of serum and practical organs, and the importance of observing ceasing period of antibiotic drugs before forwarding livestocks to slaughter.

  • PDF

HPLC-ICP-MS를 이용한 쌀의 비소 위해도 평가 (Risk Analysis of Arsenic in Rice Using by HPLC-ICP-MS)

  • 안재민;박대한;황향란;장순영;권미정;김인숙;김익로;이혜민;임현지;박재옥;이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1-3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제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쌀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무기비소 오염도 파악을 위한 분석법 확립과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현미, 백미)의 섭취량을 고려한 무기비소 위해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지역별 대표성을 고려하여 경상북도 전 지역에 걸쳐 생산된 벼 137점(현미 상태 137, 백미 가공 137)을 생산농가에서 직접 수거한 시료를 활용하였다. 총비소 분석은 일정량의 시료에 질산을 주가한 다음 microwave digestion system을 활용하여 전처리한 후 ICP-MS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무기비소 화학종의 분리 및 정량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HPLC를 이용하여 비소 종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검출기 역할을 하는 ICP-MS를 결합한 형태인 HPLC-ICP-MS를 이용하여 비소 화학종을 분리하고 정량하였다. 추출 용매 선정 및 분석법 확립을 위하여 0.28 M nitric acid, 5 mM malonic acid, 그리고 1% nitric acid를 이용한 3가지 추출 방법 중 추출 효율 및 안전성 등이 가장 양호한 5 mM malonic acid를 이용한 추출법(동일한 조건으로 조제한 이동상)을 최종 시험법으로 선택하였다. 시험법 검증을 위하여 기기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및 회수율 등 모두 AOAC에서 권장하는 기준을 만족하여 총비소 및 무기비소 시험법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비소 분석에 있어서 시료 전처리부터 기기분석까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오차 요인들을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추적한 결과, 각 불확도 요인이 전체 불확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검량곡선의 직선성 유지가 88.67%로 가장 높았고, 표준용액 제조 과정에서 11.09%,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0.24%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현미의 총비소 함량은 평균 $0.142{\pm}0.061mg/kg$, 무기비소 함량은 평균 $0.077{\pm}0.038mg/kg$, 백미의 총비소 함량은 평균 $0.083{\pm}0.037mg/kg$, 무기비소 함량은 평균 $0.047{\pm}0.020mg/kg$으로 조사되었고, 총비소 함량 대비 무기비소 함량 비율은 53-88%(현미 평균 54.2%, 백미 평균 56.6%) 범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일상적인 식이 섭취량에서 무기비소 위해 정도를 평가하였는데, 연령별 현미 섭취로 인한 1일 단위체중당 평균 노출량은 $4.97{\times}10^{-3}$(${\geq}20$세) $-1.36{\times}10^{-2}$(${\leq}2$세) ${\mu}g/kg\;b.w./day$로 위해도는 0.23-0.63% 수준으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연령별 백미 섭취로 인한 1일 단위체중당 평균 노출량은 $1.39{\times}10^{-1}$(${\geq}20$세) $-3.21{\times}10^{-1}$(${\leq}2$세) ${\mu}g/kg\;b.w./day$로 위해도는 6.47-15.00% 수준으로 백미 섭취로 인한 무기비소의 인체 노출수준 및 위해 정도는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