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harge.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6초

통합수문모형을 이용한 제주 한천유역의 지하수 변동 특성 모의 (Simulation of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 김남원;나한나;정일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5-522
    • /
    • 2013
  • To investigate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in the Hancheon watershed, Jeju Island, an integrated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SWAT-MODFLOW which is an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model was applied to the watershed for continuous watershed hydrologic analysis as well as groundwater modeling. First, ephemeral stream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can be clearly simulated which is unlikely to be shown by a general watershed hydrologic model. Second, the temporally varied groundwater recharge can be properly obtained from SWAT and then spatially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can be made by MODFLOW. Finally, the groundwater level variation was simulated with distributed groundwater pumping data. Since accurate recharge as well as abstraction can be reflected into the groundwater modeling, more realistic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and groundwater modeling could be possible.

지하관리에 의한 지하수함양 연구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by Underground Piping Method)

  • 안상진;이종형
    • 물과 미래
    • /
    • 제23권2호
    • /
    • pp.239-250
    • /
    • 1990
  • 지하수를 인공적으로 함양하는 방법은 크게 정호법과 확수법으로 나눌수 있다. 지하매관법은 확수법의 한방법이며 지하에 매설한 관에 급수하여 침투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지하관리에서의 침투양상과 지하수함양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방법을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행하여 정립하였다. 한편 함양고는 수위차와 매설간격에 영향되는것을 알수 있었다.

  • PDF

지하매관에 의한 지하수함양 연구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by Underground piping method)

  • 안상진;이종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0년도 수공학논총 제32권
    • /
    • pp.61-79
    • /
    • 1990
  • 지하수를 인공적으로 함양하는 방법은 크게 정호법과 확수법으로 나눌수 있다. 지하매관법은 확수법의 한 방법이며 지하에 매설한 관에 급수하여 침투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지하매관에서의 침투양상과 지하수함양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 방법을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행하여 정립하였다. 한편 함양고는 수위차와 매설간격에 영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ensitivity and Effects of Moving Water Table on Recharge Estimates

  • 이광열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2호
    • /
    • pp.65-69
    • /
    • 1993
  • 강우에 의해 발생되는 토양(soil)에서의 Recharge를 구하기 위해 두가지 모델 즉, ((i) Simple Mass Balance Model (ii) Numerical Model : UNSAT 1)을 사용했는데, 이 두 모델들은 불포화상태의 흙(unsaturated zone : above groundwater table)에서 그의 가정과 개념에 약간 차이가 있다. Unsaturated Zone에서의이 두 모델의 적용에 있어서 몇가지 중요한 사항이 지적되고 있는데, 균질의 불포화 영역(unsaturated zone)의 토양에서 Mass Balance Model을 사용함으로써 얻은 Recharge는 UNSAT 1(numerical model)을 통해 얻은 결과와 비교할 때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Recharge의 계산에 있어서 지하수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ensitivity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즉, 고정수위(fixed groundwater table)로 가정했을 때 발생되는 오차를 한개의 수리학적 계수(hydraulic parameter)의 함수로 보고 계산을 했으며 이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Model Simulation에 있어서 수리학적 경계조건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이 연구에서는 Unsaturated-Saturated Flow Model이나 Drainage Model을 함께 병행시켜 Simulation을 수행하는데 촛점을 두고 있다.

  • PDF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의 개발(II): 함양 특성 (Development of Analyzing Model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II): Characteristics of Recharge)

  • 김남원;김윤정;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285-22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Kim et al. (2013)이 개발한 부정류상태에서의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단위시간별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은 지하수의 흐름과 관련된 반응계수와 함양에 관련된 비산출율을 매개변수로 이용한다. 해석모델의 적용을 위해 제주도 한천지역의 관측정 중 강우에 대한 반응이 양호한 JW 공항과 JD 용담1지점에 대한 5년(2006-2010)간의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해석모델은 국지적인 규모에서의 단위시간별(일별) 함양량 산정이 가능하며 지하수위 자료와 비교한 결과, 함양량과 매개변수가 지하수위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함양량 산정결과 JD 용담1 지점은 520.4~904.0mm (32.7~61.8%), JW 공항지점은 447.4~633.4mm (24.0~45.1%)로 나타났다. 개발된 해석모델은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과 단위시간별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지속가능 온실 냉난방을 위한 강변여과수 취수 및 회수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iverbank Filtration Water Supply and Return System for Sustainable Green House Heating and Cooling)

  • 조용;김대근;김형수;문종필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0-29
    • /
    • 2012
  • The green house on the waterfront is air-conditioned by a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with riverbank filtration water. In order to supply riverbank filtration water in alluvium aquifer, the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for water intake and recharge, two pumping wells and one recharge well, has been constructed. The research site in Jinju, Korea was chosen as a good site for riverbank filtration water supply by the surface geological survey, electrical resistivity soundings, and borehole surveys. In the results of two boreholes drilling at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groundwater table is about 3 m under the ground, and that the sandy gravel aquifer layer in the thickness of 6.5 m and 3.5 m occurs at 5 m and 7 m in depth below the ground level respectively. To prevent the recharge water from affecting the pumped water which might be used as heat source or sink, the distance between pumping and recharge wells is designed at least 70 m with a quarter of recharged flow rate. It is predicted that the transfer term, the recharge water affects the pumping well, is over 6 months of heating season. Hydrogeological simulation and underground water temperature measurement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pumping and recharge well positions in order to confirm the capability of sustainable green house heating and cooling.

지하수자원 확보를 위한 인공함양 기술 특허동향 및 장벽 분석 (Trend and Barrier in the Patents of Artificial Recharge for Securing Goundwater)

  • 김용철;서정아;고경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3호
    • /
    • pp.59-75
    • /
    • 2012
  • It is getting difficult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because more than half of annual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and its intensity is getting severe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rtificial recharge schemes can be a useful method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Korea adapting to climate change. Patent analysis enables us to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 and to find out unoccupied technology. In this study, international patent trends and barriers of artificial recharge technology are analysed for patents of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four artificial recharge methods such as well recharge, surface infiltration, bank filtration and underground structures are classified as main class and the nine sub-technologies such as water intake, water treatment, injection wells, monitoring of groundwater flow, groundwater pumping, surface infiltration/soil aquifer treatment, radial collection well, iron/manganese treatment, and underground subsurface dam are classified as intermediate class. Water intake techniques are subdivided into five classifications. Total 1,281 of patents, searched by WIPS DB tool and selected after removing noisy patents, are analyzed quantitatively to evaluate application trends by year, applicant, country for each classified technologies and analyzed qualitatively to find out occupied and unoccupied technologies. It is expected that upcom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could be performed efficiently in that an avoidance plan for the similar patents and differentiation plan for the advancing patents are set up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rom this research.

월 유출량 예측 변수로서 지하수 함양량의 이용 (Use of Groundwater recharge as a Variable for Monthly Streamflow Prediction)

  • 이동률;윤용남;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75-285
    • /
    • 2001
  • 우리 나라 갈수기의 하천유출은 대부분 지하수에서 공급되는 유출이므로 홍수기 강우량에 의해 침투한 유역의 수분상태에 지배된다. 따라서, 홍수기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을 통한 유역 상태 정보를 이용한다면 갈수기 월유출 예측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수문학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수 함양량에 의한 월유출량의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다중회귀모형의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장기 월유출량 예측을 시도하는 것이다. 해당 월의 유출량, 강수량, 선행 유출량과 강수량 및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모형의 최적독립변수들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을 독립변수로 포함한 모형에서 향상된 예측결과를 얻었다. 또한, 사전에 파악된 강수량과 지하수함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출 이월효과를 고려하면서 강수량만으로 유출 예측모형을 개발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보수적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방안 (A Method of Estimating Conservativ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 정일문;김남원;이정우;이정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797-1806
    • /
    • 2014
  •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지하수 관리는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기반으로 한 안전채수량 정책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하수 함양량은 시공간적으로 변동하므로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적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이용하여 경주지역의 지하수 함양량 공간분포를 산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0년 빈도 갈수시 강수량에 함양계수를 곱하여 지역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가능량을 평가하기 위해 빈도해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소유역별 10년 빈도 갈수시의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보수적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존 개발가능량과 비교하였다. 이같은 계산 절차를 통해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하는 기존 절차의 한계를 합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AHP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활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후보지 선정 방안 (Site Selection Method by AHP-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 김규범;최명락;서민호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741-753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국지적 가뭄은 지하수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잉여의 물을 지층 내에 저장하는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내 퇴적 분지의 지하수 인공함양 대상지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차 인자 3개, 2차 인자 7개로 구성된 AHP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10개 후보지에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축하였다. AHP 모델은 후보지가 추가될 경우 수학적인 연산 과정에 의하여 최종 평가점수가 변하게 되나, 인공신경망 모델은 후보지별 고정적인 최종평가 점수를 제시하게 되어 인공함양 적지 선정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충청남도 지역의 연구 결과, 인공신경망 모델의 최종 평가점수가 약 1.5점 이하인 경우에는 인공함양 후보지로서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타 지역에 대한 추가 연구 및 현장 조사를 통해 다양한 자료 군을 확보한다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모델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