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부동산 개발사업 평가기준 및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김성일;배유진;장철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6-96
    • /
    • 2015
  • 2000년대 PF(Project Financing)의 적극 활용을 통해 부동산개발 및 PF 시장이 급성장하였지만, 이후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상당수의 개발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철저한 사업성 분석 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개발사업의 무분별한 추진을 억제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기존 부동산개발사업 평가체계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부동산개발사업의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등을 평가수요 및 사업유형 등 사업의 성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전반적인 평가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부동산 평가체계 및 운영방안을 통해 부동산 평가체계를 제도화하여 표준화함으로써, 보다 일관성 있는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평가자료의 통일적 축적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위험요인 중요도 평가 및 위험관리 방안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Risk Factors in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and Their Risk Management)

  • 박재용;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81-696
    • /
    • 2010
  • 본 연구는 부동산 개발사업 각 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동산 개발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단계별 위험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사전적으로 도출한 다음, 부동산 개발사업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단계별 위험요인들의 중요도를 AHP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 개발사업의 대분류별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발 전 단계에서는 기획 위험, 개발준비 단계에서는 개발사업 인허가 위험, 개발 단계에서는 현금흐름 위험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부동산 개발사업의 소분류별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발 전 단계에서는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개발준비 단계에서는 계약 및 인허가 관련업무, 개발 단계에서는 시행사 및 건설사의 부도, 관리 및 운영 단계에서는 사고 및 재해의 발생에 의한 시설보상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이러한 위험요인의 중요도 평가결과에 따라 단계별 위험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 PDF

부동산 투자가치와 사업타당성 분석기법 연구 -개발사업 사업타당성 분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al estate investment value and analytic technique -mainly by case study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이택수;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28-6134
    • /
    • 2012
  • 부동산투자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정교하고 투명하게 투자가치와 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게 됐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이고 타당한 투자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신뢰도 높은 투자가치분석의 핵심이 되는 재무적 타당성 분석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동산 개발사업 사례와 자산관리사업 사례를 선정했다. 각 사례를 통해 손익이나 투자가치를 어떻게 분석했으며 변수에 따라 수익률과 현재가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과정을 추적했다. 분석 결과, 기존에 발달해 온 여러 기법들을 실제 개발프로젝트에 직접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프로젝트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여러 투자분석 기법들 가운데 가장 적절한 기법들을 복수로 선정한 뒤 각 투자분석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대체적 및 보완적 기법들을 동원해 실제 투자가치분석에서 활용한다면 투자가치분석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것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How to develop corporate real estate? A decision support tool for CREM

  • Dorr, Anne;Pfnur, Andreas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7권2호
    • /
    • pp.19-33
    • /
    • 2017
  • Various forms of procurement are open to companies when constructing new owner-occupied properties. The selection of a form of procurement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problem for companies and their Corporate Real Estate Management (CREM) departments. With this in mind, a decision support tool has been developed to optimise the outcome and success of company's proposed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and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model can also be used for current real estate portfolios to optimise returns in the long term.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and in order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this study, decision-relevant goals and parameters were initially identified from the referenced literature used in our research. These were subsequently evaluated in a case study of a corporate development project and identified as specific decision criter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M. The investigation identified 15 criteria that are relevant to the corporate decision-making process in procuring and/or developing property. A model for supporting and resolving decision-making problems of this type was derived from decision theory. In this paper, a decision-making tool is presented that takes into account all the decision criteria from the CREM point of view for the first time. This model should therefore serve as an aid in implement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projects in a more structured and transparent manner.

A STUDY ON RISK WEIGHT USING FUZZY IN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Sung Cho;Kyung-ha Lee ;Yong Cho ;Joon-Hong Pae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76-1182
    • /
    • 2009
  • Due to recession in real estate market, interest of risk analysis is increasing. Feasibility study in the first stage takes a great role in a project. There are not objectified tools which are able to cope with uncertainty of project, and feasibility study based on selected method of determinism does not include liquidity of weight risk. Also, shortage of consideration for subjective and atypical external factors causes inappropriate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feasibility study model focused on risk factor influences in construction cost and sales cost. Considering effective level of cost based on objective risk factors and probable weight of risk by this model, real workers are able to bring correct and scientific decisions better than former method based on selective analysis of real estate development.

  • PDF

부동산 개발사업의 리스크 저감 및 사업 주체간 역할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주택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Risk Reduction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and Improvement Schemes of Main Participant's Role - A Case Study Focused on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

  • 노재현;황욱선;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35-143
    • /
    • 2005
  • 본 연구는 부동산 주택개발사업의 리스크를 저감시키고 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사업 주체간의 업무분담 및 역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리스크 관리와 사업주체별 역할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례분석과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사업의 추진 단계별 리스크 저감방안과 사업주체간 역할 및 업무분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 1)리스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설계, 시공과정의 검토와 시공사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디벨로퍼의 엔지니어링 능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리스크 인자의 조기식별을 통하여 사업타당성 분석시 리슬크 대응비용을 사업비에 반영하여 사업추진파정에서 사업비 부족에 따른 재정적 리스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9)사업주체간 역할 및 업무분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디벨로퍼의 개발사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여 우량 디벨로퍼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시공사와 디벨로퍼의 협력업체 등록제 도입을 제안하고 금융기관은 프로젝트 파이낸싱 실행시 투자형 파이낸싱 구조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부동산 유형별 마케팅 전략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f Satisfaction by Marketing Strategic Based on the Type of Real Estate)

  • 김구회;이길재;원유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95-212
    • /
    • 2014
  • 본 연구는 부동산 분양 및 개발 사업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마케팅 전략의 영향요인을 구축하고, 유형별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PLS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자료 구축은 부동산 분양 및 개발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동산 유형 분류는 사업적 분류방식에 의해 주거용(residential)과 비주거용(nonresidential)으로 구분한다. 분석결과 주거유형의 경우 브랜드 신뢰, 제휴 및 협력관계 강화, 교통환경, 분양 조건 완화, 사업설명회, 미분양 특전, 납부 조건 완화 요인이 중요하게 도출되었으며, 비주거유형의 경우 납부 조건 완화, 고객지향성, 생활환경, 제휴 및 협력관계 강화,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제주 부동산업의 성장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dustry in Jeju)

  • 양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85-594
    • /
    • 2020
  •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여러 개발사업이 진행된 제주는 유입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여타 지역에 비해 부동산업이 성장하였다. 이러한 성장 이후에 2017년부터는 미분양주택 증가, 순유입인구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6년의 기간을 회복기(2006~2010년)와 확장기(2011~2016년)로 구분하여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통해 제주 부동산업의 성장이 국가의 성장에 따른 영향인지, 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쟁력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부동산업의 매출액과 종사자수는 회복기에는 국가 성장의 영향에 의해 성장하였으나, 확장기에는 산업구조와 지역의 경쟁력에 의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의 성장에 기여한 세부산업으로는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을 들 수 있으며, 경쟁력이 약화된 세부산업으로는 부동산관리업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별 투자결정요인 분석 (Influence Factors of Typical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이택수;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6-466
    • /
    • 2013
  •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포인트는 사업성이다.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어진 분양가 아래에서 토지비와 공사비 등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호텔, 상업시설 등 분양형 부동산을 중심으로 204개 프로젝트의 사업수지분석표를 수집해 문헌 고찰 및 통계학적, 실증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구성요소 가운데 수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지상연면적당 토지비로 확인됐다.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상연면적당 토지비는 용적률과 관련된 단위면적당 요소비용으로서 부동산 개발사업의 경상이익률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음(-)의 영향력을 보여줬다. 지상연면적당 토지매입비는 주거용에 비해 상업용 부동산 개발사업에서는 이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비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시 정부 고시 표준건축비를 적용하는 등 건물층수에 따라 일부 차등화 되지만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좌우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동산 개발사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수지분석표상 제반 요인들의 비중을 분석하고 이들을 적합하게 산정하는 일은 개발사업의 수익성 향상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특성에 따른 철도부동산 개발유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tion Areas and Ex-railway Real Estate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 박흥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9-2344
    • /
    • 2010
  • Accumulated deficits resulting from managing the Korean Railroad and debt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KTX (Korea Train Express which is a high-speed rail system) have left the Korean Railroad faced with great troubles. Since it changed into a public corporation Korail on January 1st, 2005, the Korea Railroad has been making unceasing efforts to overcome the troubles and improve its management. However, even these efforts haven't worked in the face of the improved conditions of other transportation methods such as better networks of land roads and air ways. The Korea Railroad had its revenue from its railway transportation limited, and has tried to expand its business to non-transportational areas. In some metropolitan cities, the Korea Railroad made investments in real estate by constructing station buildings based on private money. Yet, in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the Korea Railroad has little particular strategic projects for business development. Recently certain small and medium size regional cities began to plan on business developments for the ex-railway land, and some small towns have developed real estate on the ex-railway land.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o systematic case studies to classify these real estate develop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