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cima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다시마 용매추출물과 다시마 분말 첨가에 의한 매작과의 산화안정성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STP)and Maejakgwa Made with STP)

  • 박복희;조희숙;김경희;김선숙;김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2-4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s as well as Maejakgwa made with STP. The STP solvent extracts were added to soybean oil at a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were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ether. Soybean oil without added ST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0.02%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and $\alpha$-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stored at $50^{\circ}C$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s of thes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ir acid values, peroxide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The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the STP extracts had lower oxidation levels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alpha$-tocopherol positive control,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0.05% methanol extracts had the lowest oxidation. According to the Rancimat method, the methanol extract(320 min) and ethanol extract(316 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as, compared to the control(253 min), $\alpha$-tocopherol(255 min), and BHT(309 min) samples. For the Maejakgwa, acid values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samples made with STP had low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he TBA values of the Maejakgwa samples made with 3% and 9% ST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15% STP sample and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containing solvent extracts of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were increased.

야콘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 김아라;이재준;정해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8
    • /
    • 2010
  • 야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야콘 분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콘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량(dry matter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3.53%, 조단백질 1.13%, 조지방 0.40%, 조회분 0.79%, 식이섬유소 1.63% 및 탄수화물 92.52%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fructose가 1320.84 mg/l로 가장 많았고 glucose가 1283.70 mg/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23.12 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proline, arginine, alanine, valine, histidine, lysine순이었다.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lauric acid 2종류의 지방산만 각각 51.72%와 48.28%로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oxalic acid가 2519.29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1895.17 mg/l, formic acid 247.84 mg/l 순이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57 mg%, 0.670 mg% 및 0.001 mg%로 검출되었으며, 무기질은 총 5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Ca, Mg 순이었고 Zn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야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는 pH 1.2 조건에서 분획 중 ethylacetate 분획이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 1.83에 비해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ethylacetate 분획이 49.82%로 분획 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75.29%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야콘은 체내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소들이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야콘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안채경;이영철;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9
    • /
    • 2000
  • 카레분의 단품향신료와 카레분(curry powder)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추출하여 수율, 항산화 효과, 총페놀함량, 총토코페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의 추출 수율은 각각 $6.4{\sim}42.9$, $3.9{\sim}26.2$, $1.6{\sim}29.2\;%$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증가하였다. 미강유의 각 용매별 추출물을 1,500ppm 첨가하여 Rancimat로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rosemary, sage, ginger, turmeric, nutmeg 순으로 우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thyme, ginger의 순이었으며 헥산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ginger, thyme 순이었다. 1,500ppm을 미강유에 첨가하였을 때 BHT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난 향신료는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rosemary, sage, ginger, oregano, thyme이었으며 이들 향신료를 200, 500, 1,000, 1,500, 2,000 ppms 농도로 미강유에 첨가한 후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rosemary와 sage는 헥산 추출물 2,000ppm에서, ginger는 메탄올 추출물 2,000ppm에서 우수한 효과를, oregano와 thyme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1,500ppm과 2,000ppm에서 큰 차이 없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emary의 혼합에 따라 ginger와 thyme의 항산화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상승효과라기 보다는 rosemary로 인한 유도기간의 연장 효과였다.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은 $17,924{\sim}801\;m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3,893{\sim}57\;mg%$, 헥산 추출물은 $6,864{\sim}12\;mg%$이었으며 총페놀함량과 항산화 효과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토코페롤의 경우 oregano가 3194.8mg%로 가장 높았으며, sage 1014.8 mg%, rosemary 571.1 mg%, thyme 187 mg%였고 ginger에서는 토코페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코페롤함량과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과 Diacylglycerol Oi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Oils Produced Using Red Yeast-Rice Ethanol Extracts and Diacylglycerol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홍국쌀을 $35^{\circ}C$, 175 rpm에서 80% ethanol을 이용하여 0.5, 1, 2, 4, 8, 24시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에탄올 추출한 결과, 1시간(yield, 1.203%) 이후의 추출 시간 증가는 추출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시간 추출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600(A), 1200(B), 1800(C), 2280(D) ppm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유지의 색도는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a^*$ 값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유지의 monacolin K 및 총 페놀 함량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Rancimat$(98^{\cir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능성 유지의 induction time이 각각 control(4.3 hr), A(3.2 hr), B(2.6 hr), C(2.4 hr), D(2.2 hr)로 추출물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코에 의해 얻어진 각 시료의 센서의 감응도$({\Delta}R/R_0)$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및 MANOVA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기여율은 99.66%로 분석되었으며 함유된 추출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각각 차별적인 향 패턴(odor difference)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추출물의 몇가지 synergist 첨가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 장영상;최웅;신동화;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3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화인된 붉나무 에탄올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tocopherol, phosphoric acid, lecithin, phytic acid 등을 혼합, 괌유, 돈지, 대두유에 넣어 산화방지 효과를 Rancimat test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 200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delta}-Tocopherol\;200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나무 분획물과 synergist를 팜유와 돈지에 각각 200ppm색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연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팜유의 경우 저장 27일후 무첨가구의 과산화물가는 98.3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인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8.9meq/kg, 9.14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으며, 이에따라 산가와 TBA 가도 무첨가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돈지에서의 과산화물가는 무첨가구가 161.1 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는 각각 20.0meq/kg, 10.7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산가나 TBA 가도 무첨가구보다 훨씬 낮아 팜유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귀비탕(歸脾湯) 및 귀비탕가자하거(歸脾湯加紫河車)가 난소적출(卵巢摘出)로 유발(誘發)된 흰쥐의 골다공증(骨多孔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Guibi Tang(GT) and Guibi Tang Blended Placenta Hominis(GTPH) on Osteoporotic Rats Induced by Ovariectomy)

  • 조성희;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4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uibi Tang(GT) and Placenta Hominis blended Guibi Tang(GTPH) on th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ethods: In order to observe the potential effects of GT and GTPH on the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antioxidative effects of GT and GTPH were measured. Antioxidative activity for the samples was investigated by Rancimat method. Animals were observed for 8 weeks, and vehicle and extracts of prescriptions were administered ad libitum. And we measured the variance of body weight, femoral bone weight, serum level of osteocalcin, calcium, alkaline phosphatase(ALP), estradiol, cholesterol, triglyceride,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creatinine. Results: As a result, GTPH showed antioxidative effect, but did not in GT. Body weight increased significantly in 6 weeks after ovariectomy, and the weight of GTPH administered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GT and GTPH decreased the serum level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dministration of GTPH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ALP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variectomy and GT, GTPH administration had no influence on serum level of ALT and creatinine. Conclusion: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GT and GTPH may be used prevention and curing th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PDF

차전자약침(車前子藥鍼)이 Cisplatin에 의해 유발된 급성 신부전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o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in Rabbits)

  • 박춘하;채우석;윤여충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55-166
    • /
    • 2004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f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exerts beneficial effect against the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in rabbits. Method : Semen Plantaginis was selected in the basis of invigorating kidney-QI which can eliminate pathogens. The oxidative stability determined by the Rancimat technique showed higher antioxidative index when compared with control. Rabbits were treated with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on Shin-shu point for 3 days, followed by cisplatin injection(5mg/kg body weight). Results : Cisplatin injection caused an increase in serum creatinine level, which was accompanied by a reduction in GFR. The fractional excretion of $Na^{+}$, $K^{+}$, glucose and phosphate increased in cisplatin-induced animals, which was partially prevented by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treatment. Cisplatin injection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which was not prevented by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 peroxid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cisplatin, and its effect may be attribued to an antioxidant action.

  • PDF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 박복희;최희경;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2-5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AGT) on soybean oil. AGT was freeze-dried and 20% of the freeze-dried aqueous green tea powder (AGTP) was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ies of 0.5%, 1% and 5%.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AGTP was used as a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toluen(BHT) was used as another experimental sample. Each sample was stored at 6$0^{\circ}C$ for 15 days. The oxidation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id values were lowest in 0.02% BHT, followed by the 0.5% AGTP, 1% AGTP, 5% AGTP and finally the control. When AGTP was added, the peroxide value was lower than both the control and 0.02% BHT. The lowest TBA values were in the 0.5% AGTP followed by 0.02% BHT, 1% AGTP, 5% AGTP and the control, respectively. The 5% AGTP (285 min), 1% AGTP (249 min) and 0.5% AGTP (238)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04 min) and the BHT (229 min) by Rancimat method.

  • PDF

식용유지 산화에 대한 프로폴리스(Propolis)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Propolis on the Oxidation of Edible Oils)

  • 한승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8-171
    • /
    • 2003
  • 국산 프로폴리스(GBWEP)를 중탕과 실온에서 추출한 후, 식용유지에 대한 유지 산화안정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국산과 외국산 Sigma사 프로폴리스 (SWEP)와의 항산화 효과도 비교 실험하였다. 중탕에서 추출한 WEP는 일반적인 방법인 실온에서 추출한 WEP보다 유의적으로 양호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국내산 GBWEP의 항산화 효과는 SWEP와 ascorbic acid보다도 우수하였다. 특히 GBWEP를 중탕 처리한 WEP가 실온에서 추출한 WEP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났다. 프로폴리스는 retention time 3~10분과 18~23분 사이에서 저비점과 고비점 물질로 크게 분류되었다. 특히 10$0^{\circ}C$ 이하와 15$0^{\circ}C$ 이상에서 많은 구성성분 피크들이 분포되었다. 이것은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들이 10$0^{\circ}C$ 이하에서와 15$0^{\circ}C$ 이상에서 주로 추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프로폴리스를 70~95$^{\circ}C$에서 중탕 처리함으로써 저비점의 수용성 성분들이 다량 추출되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쌀 도정시 분리되는 쌀눈의 일반성분과 저장 중 유지 안정성 (Chemical Composition of the Rice Germ from Rice Milling and its Oil Stability during Storage)

  • 신동화;정종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41-243
    • /
    • 1998
  • 쌀 도정시 분리되는 쌀눈은 영양학적 가치로보아 식품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이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쌀눈의 일반성분과 함께 저장 중 문제가 될 수 있는 유지의 변화를 처리방법별, 저장온도별로 관찰 하였다. 쌀눈의 주성분은 당질 36.5%, 조지방 21.6%, 조단백질 18.7%였고 열풍$(80^{\circ}C)$으로 6 시간 건조한 쌀눈과 처리하지 않은 (비처리) 쌀눈을 $60^{\circ}C$에 저장하면서 산가를 비교한 결과, 비처리 쌀눈 중 유지의 산가가 2배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약 2일 이었으나, 건조쌀눈의 겨우 31 일 경과 후에도 1.15배에 그쳐 안정화 되었고, 이때 추출된 유지의 산패유도기간은 처리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