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 ritual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환경개선사업 관계 - 조선왕조실록의 가뭄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Chosun Era - Focusing on Drought-related records of Chosunwangjoshillok -)

  • 유재심;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7-153
    • /
    • 2011
  • "가뭄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인지되고 기후 재난을 겪게 되었을 때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환경적으로 어떻게 적응하는 행동을 했을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환경개선사업은 기우제 설행 빈도보다는 기후재난 빈도가 높을 때 더 많이 시행된다.'는 가설을 세웠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뭄을 대표하는 변수로 기우제 빈도를 선택하였다.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을 표현하는 단어들의 샘플을 추출하고 빈도를 측정하여 가뭄, 기후재난, 환경개선사업의 관계를 회귀분석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정하여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 관계를 기후변화 속에서 설명하였다. 가뭄을 대표하는 기우제의 빈도 측면에서 세종대왕, 숙종, 영조의 순서로 나타냈다. 기후 재난은 중종,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빈도를 보였고, 환경개선 사업은 영조,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나타났다. 조선 전기보다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가뭄 발생으로 인한 환경개선사업보다 기후재난에 대한 환경개선사업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개선사업과 기후재난의 관계는 환경개선사업= 0.632기후재난의 선형 회귀모형으로 설명되었다. 기후재난을 경험한 비율이 높을 때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환경개선 사업이 더 많이 시행한다는 연구가설은 유의했다. 따라서 기후 재난을 인식하고,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한 비율이 높았던 조선 후기에 연구가설이 통계적으로 더 잘 설명되었다.

조선후기 지방의 날씨, 농사.주민의 삶, 정책의 상호관계 : 오횡묵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을 사례로 (Interrelation among Weather, Agriculture and People's Life, and Policy in a Local in the Late Choson : In Case of "Goseong Chongswaerok" by O Hoeng-muk)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4-248
    • /
    • 2010
  • 본 연구는 정치생태학(political ecology)의 개념적 틀을 이용하여 고성부사로 재직한 오횡묵이 기록한 "고성총쇄록"의 국역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오횡묵이 날씨, 농사, 주민의 삶, 지방행정의 상호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기록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날씨는 크게 세 가지의 표현 방식, 단순 변동 농사 관련 방식으로 기록되었다. 날씨의 변동은 그 자체보다 백성의 삶과 사회 경제 정치와 연관시킬 때 보다 큰 의미와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둘째, 날씨와 중앙 지방의 정책은 특정한 조건, 즉 가뭄이 심할 경우에 충돌하여 사회 정치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민요(民擾)를 일으킨 백성들의 행동은 일정한 제약 조건하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제한적 행위자의 모습은 오횡묵 부사의 공무집행, 즉 진휼, 기우제, 세금 징수 등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넷째, 고성 지방의 날씨, 농사와 주민의 삶, 행정 간의 상호 관계는 개별 가구, 고을, 지방, 도, 국가의 중층적 규모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PDF

한국의 육식문화 (Meat Eating Practice in Korea)

  • 임장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274-289
    • /
    • 2000
  • Koryo Dynasty has greatly effected the meat eating practice in Korea. And by focusing on this period, this paper has in vestigated how this practice influenced and effected our meat eating culture. The 'Orders to Prohibit Butchery' written on Koryo's history books were to encourage stockbreeding rather than to follow the Buddhist policy they followed. By encouraging stockbreeding, they wanted to promote the usage of cattle in farming and thus increasing agriculture industry as a whole. Nonetheless, records show that hunting was permitted to a certain degree. And this allowed the civilians to depend their meat supply from hunting and for the fire field farmers to capture wild animals that harmed their crops. Moreover, through 'Kiwujae' (Kiwujae - a shamans service to pray for rain / ritual (praying) for rain.), we could see that earlier part of Karyo's rituals and ceremonies followed the Buddhist tradition while the latter followed the Shamanism tradition. Perhaps this was the result of allowing 'meat' for the service offerings. As Shamanism could be considered as a religion that allowed 'meat', prevalence of Shamanism was promoting meat-eating at mess(after these rituals and ceremonies that offered food (meat inclusive) to their guardian or god, the civilians would dine together.). In relation, this public eating practice slowed down the progress for storage technique. Therefore, meat-eating was developed through public and mass dining rather than through the form of family or private. On this account, we can safely regard meat-eating practice as a 'public event'.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of castration is not so long in Korea. And the purpose of such practice was to use the stock for farming rather than to yield high quality meat. It is known that Mongol in Koryo period has greatly influenced meat cooking in Korea. And the exemplary dish is the 'tang' (tang - kind of soup. However less creamy, clearer broth and with more ingredients than soup.). However, the tang we ate in everyday life had the same cooking method as the tang we offered for services. Moreover, since we did not use castrated animals for our offering as the Mongolians, we must not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m. But if so, perhaps the influences would have been limited to the nobility.

조선시대 궁중의례행사의 차일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19세기 이후 궁중연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a-il(遮日)' through the Analysis of Ritual Events(宮中儀禮行事)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ongratulatory Events since 19C-)

  • 최지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143-157
    • /
    • 200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a-il(遮日)' which was used at ritual events(宮中儀禮行事) in the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had many ritual events related with O-Rae(五禮). Cha-il was almost used at important ritual events, especially at the congratulatory events. The congratulatory events(宮中宴享) are the representative events were held with many temporary install facilities(假設施設) in a palace. Cha-il wa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membrane structures. Cha-il was set up for cutting off interior space from sunlight and rain. In general, Cha-il was Consisted of Cha-il-jang(遮日帳:woven fabric), Cha-il-jook(遮日竹:bamboo column), some ropes, and fixing wares. In the congratulatory events, three types of Cha-il. were set up. Baek-mok-Dae-Cha-il(白木大遮日)was made of cotton cloth. Yu-Dun-Cha-Il(油芚遮日) was made of oiled paper or oiled cotton cloth. Man-Joen-Cha-Il(滿箭遮日) consisted of wooden structure. Baek-mok-Dae-Cha-il(白木大遮日)was set up on the most important area of stage for protecting from sunlight. Yu-Dun-Cha-Il was set up on less important area of stage for protecting from sunlight and rain. Man-Joen-Cha-Il was set up below Baek-mok-Dae-Cha-il for supporting and draining raindrops of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unctions of Cha-il were to protect ritually space from sunlight and rain, and to extend ritually space, and to reconstruct ritually space. Cha-il was the peculiar temporary install facility which differed from other countries.

  • PDF

인도 불교석굴사원의 사원과 전개 - 힌두교, 자이나교, 아지빅파의 관련과 함께 -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Rock Cave Temples of India - in Relation with Hinduism, Jainism, Ajivika -)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4호
    • /
    • pp.129-152
    • /
    • 2008
  • Early Buddhist rock cave temples of India, in spite of being an origin of Buddhist temples, has little been studied in Korea. After field studies and an interpretation of their forms in conjunction with religious life, precedent theories are supplemented and refuted as follows. Starting from the 2nd century B,C., Buddhist ascetic disciples digged residential rock caves, called vihara, for protection from monsoon rain and hot weather, A typical arrangement was settled -a courtyard type, with 3 side rows of tiny one-person bedroom and a front veranda with columns. Also digged were Chaitya caves, in line with viharas, to worship, which is the tumulus of Buddha's relics. I suggest that the original type of chaitya a simple circle cave with a stupa, suitable for circumambulating ceremonies. I refute the existing theory presenting Barabar caves of Ajivika as a chaitya origin, featuring empty circular room without a stupa. I also interpret a typical apsidal plan as being a simple result of adding a place of worshipping rites in front of the stupa. Enclosing columns around a cylindrical stupa is a result of reinforcing both the divine space and circumambulating ceremonies, with elongation toward hall. Finally the chaitya came to have a grandeur apsidal plan with high vault ceiling nave and a side aisle as in Western cathedrals with large frontal horseshoe arch windows. The Buddha image, which had become a new worshipping object, was integrated into the stupa and interior surface. First the stupa and then the statue was introduced to residential Vihara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vihara should be renamed as 'chaitya' as a worshipping place, by establishing statue rooms without bedrooms at all. The functionally changed vihara is similar in form to a 'rectangular type of chaitya', little known and developed in different routes. A columned inner courtyard gradually becama an offering place, like Hindu mandapa, Buddhist caves ware changed to a kind of Tantric and Hindu temple by means of statue worshipping offering rituals.

  • PDF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 유입(流入)과 독자성(獨自性) (Inflow at Ssangyongmun Gat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ts Identity)

  • 최주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142-171
    • /
    • 2019
  • 용(龍)은 동서양 전설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 속 동물이다. 서양의 용은 대부분 공격적이고 부정적 의미로 표현되지만, 동양에서는 황제를 상징하거나 상서로운 의미를 갖고 있어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용은 물을 다스리는 신물(神物)로 여겨져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를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고려시대 용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사"에서 다양한 주제로 등장하며, 크게 건국설화 기우제 신이(神異) 등과 관련되어 있다. 건국설화는 용을 통해 고려 왕권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왕(王)=용손(龍孫)'이라는 '용손의식(龍孫意識)'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용의 특징인 물을 다스리는 능력은 가뭄에 비를 바라는 기우제와 관련한 토용(土龍)으로 상징화된다. 이와 같은 용의 다양한 성격 중 용이 왕실의 상징이기에 용문(龍紋)의 사용은 민간에서 엄격히 제한되었으며, 용을 소재로 한 용문경(龍紋鏡) 역시 그 제작 사용에 있어 왕실과의 연관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은 종류 수량이 많은 편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동경(銅鏡)과 함께 국내에서 제작한 쌍룡문경이 혼재하면서 고려시대 쌍룡문경의 제작과 유통은 다른 동경에 비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10~14세기 중국에 존재한 다양한 쌍룡문경의 특징을 정리했다. 고려의 장인들은 쌍룡문경을 제작할 때 중국 쌍룡문경의 문양 구성에서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 쌍룡문경과 국적을 판별하기 어려운 예가 많으며, 그 차이 또한 면밀한 분석을 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려는 유입된 쌍룡문경을 그대로 답습했던 것은 아니며, 자체적으로 제작하고자 했음을 국내 현존하는 쌍룡문경의 유형 분류를 통해 살펴보았다.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쌍룡문경은 요대(遼代) 동경 계열인 I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외 II III 유형에서는 수량은 적으나 문양 구성이 독특한 쌍룡문경이 있어 고려에서 제작한 쌍룡문경으로 분석했다. 고려시대 쌍룡문경은 중국의 영향 하에서 제작된 만큼 고려에서 제작한 동경과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앞서 언급했다. 이중 평창 월정사 구층석탑에서 발견된 쌍룡문경은 그 제작지에 대한 의문점이 있으며, 동경의 문양 구성도 중국 쌍룡문경에서 찾아볼 수 없는 예이기에 이 동경에 대한 제작지를 검토했다. 이 쌍룡문경은 I 유형에 속하는 동경의 문양 구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세부 문양의 조합이 중국에서 찾기 힘든 예라는 점에서 요대 동경의 문양 구성을 차용하여 고려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