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Raphanus sativus 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상추, 배추, 무순, 미나리를 이용한 뿌리여과법(rhizofiltration)의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 정화 효율 규명 (Application of Rhizofiltration using Lettuce, Chinese Cabbage, Radish Sprouts and Buttercup for the Remediation of Uranium Contaminated Groundwater)

  • 한이경;김세윤;허효진;이민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6호
    • /
    • pp.37-48
    • /
    • 2014
  • Lab scale rhizofiltration by using four plan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ranium removal efficiency from groundwater. Lettuce (Lactuca sativa L.),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and buttercup (Oenanthe javanica) were cultivated during 3 weeks in the phytotron. Glass jar ($12cm{\times}12cm{\times}8cm$ for each), containing 350 ml of the artificially uranium contaminated solution was used for 72 hours of the rhizofiltration. In experiments with different initial uranium concentration ($18.00{\mu}g/L$, $31.00{\mu}g/L$, $84.00{\mu}g/L$ and $116.00{\mu}g/L$) in solution, more than 70% of the initial uranium were removed by using lettuce, Chinese cabbage and radish sprouts and the residual uranium concentration in solution maintained lower than USEPA water tolerance limit ($30{\mu}g/L$). From the rhizofiltration experiments at various pH conditions, the highest uranium removal for all four plants was acquired at pH 3 in solution. Rhizofiltration experiments testing two field samples of groundwaters having high uranium concentrations ($86.00{\mu}g/L$ and $173.00{\mu}g/L$) were duplicated and more than 83% of the initial uranium were removed from the groundwater within 72 hours of rhizofiltration by using radish sprouts, which, suggests that the rhizofiltration can be a useful process to remediate uranium contaminated groundwater in the field. After the rhizofiltration experiment, the SEM and EDS analyses for the root surface of the radish sprouts were conducted, suggesting that the main mechanism of the rhizofiltration for the removal of uranium from groundwater would be surface precipitation on the root surface of the plant.

전처리 방법이 무청의 표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Method on the Surface Microbe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림;이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49-654
    • /
    • 2006
  • 품종별 무청의 표면 미생물 분포와 중심합성계획과 반응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물세척, 마이크로웨이브처리 및 스팀처리를 독립변수로 두고, 이들 전처리 조건에 따른 표면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청 품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미생물인 Salmomella spp., Camphylobacter spp., Vibrio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spp., Enterococcus spp. 및 Pediococcus spp.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총균수의 경우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는데, $3.90{\times}10^5{\sim}1.20{\times}10^7CFU/g$의 범위를 보였고, 대장균군은 $1.10{\times}10^2{\sim}2.00{\times}10^5CFU/g$, 효모/곰팡이는 $2.40{\times}10^3{\sim}3.55{\times}10^6CFU/g$을 보인 반면 젖산균은 검출되지 않은 시료도 있었다. 또 전처리 방법에 따른 무청의 잔존 미생물의 감균 효과가 가장 좋은 전처리 방법은 스팀처리 방법이었다. 원료 무청의 각각의 전처리 방법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 하고, 총균수, 젖산균수 및 효모/곰팡이균수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R^2$값이 각각 0.89, 0.87, 0.85로 상관성이 높았으며, 물세척 횟수에 의한 감균 효과는 제한적이므고 마이크로웨이브처리나 스팀처리를 병행하여야 효과적이었다.

토양수분(土壤水分), 재배시기(栽培時期), 수확기(收穫期) 및 시비(施肥)가 무우의 질산염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Seasons, Harvesting Period an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Nitrate Content of Radish(Raphanus sativus L. var. niger(Mill.) S. Kerner))

  • 박권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9-64
    • /
    • 1982
  • 재배환경(栽培環境)(토양수분(土壤水分), 재배시기(栽培時期), 수확시기(收穫時期), 시비량(施肥量))이 무우의 $NO_3$-함량(含量)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調査)코저 pot 및 온실내포장(溫室內圃場)을 이용(利用)한 실험(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조상태(乾燥狀態)에서 자란 무우는 $NO_3$-함량(含量)이 높았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充分)한 곳에서 자란 무우는 그 함량(含量)이 낮았다. 2) 여름철에 재배한 무우는 $NO_3$-함량(含量)이 낮았고, 가을, 봄재배(栽培)로 갈수록 그 함량(含量)은 높았다. 3) $NO_3$-함량(含量)은 수확기(收穫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엽(葉)${\cdot}$엽병(葉柄) 그리고 근부(根部)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질소질 비료의 증시(增施)는 $NO_3$-함량(含量)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그 증가폭(增加幅)은 시비량(施肥量) 증가(增加)에 비(比)해 아주 작았다. 5) $NO_3$-함량(含量)은 엽병(葉柄)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뿌리에 비(比)해 2배에 해당했고 잎의 3배에 달했다. 6) Multiple regression 분석(分析)에 의하면 Mg, K, T/R ratio 그리고 일조량(日照量)과 온도(溫度)가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으로 $NO_3$-함량(含量)을 설명(說明)해 주었다. 7) 영양학적인 면에서, 무우 중의 $NO_3$-는 큰 의미가 없음을 검토하였다.

  • PDF

천연보존제로서 한국산 무 및 종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 항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Its Seed Protein as a Natural Preservative : The Influences on Anti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 최윤혁;황철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1-565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산 무 및 그 종자단백질을 추출 및 분리하여 3T3 세포주에 대해 항유전독성과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3T3 세포주에 직접발암원인 $100{\mu}g/ml$ MNNG를 $10{\mu}l$씩 투여한 후 10mg/ml의 무추출물(RJ)과 1mg/ml의 종자단백질(RSP)을 $10{\mu}l$씩 투여하였을 때, 각각 $43\%$$30\%$의 항유전독성을 보였다. 또한 lactose dehydrogenase (LDH) 정량 분석을 이용하여, 3T3 세포주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RJ 및 RSP를 투여한 후 세포독성을 관찰 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이미 오염된 화장품에 대해 10 mg/ml 의 RJ와 1mg/ml의 RSP를 투여하였을 때, 세균성오염화장품 시료(C1)에 대해서 RSP가 $85\%$의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진균성오염화장품 시료(C4)에 대해서 RSP는 $79\%$, RJ는 $76\%$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and Radish (Raphanus sativus L.) as Related with a Low Dose Gamma Irradiation

  • Hwangbo, Jun-Kwon;Kim, Jae-Sung;Lim, Ji-Hyeok;Baek, Myung-Hwa;Chung, Byung-Yeoup;Kim, Jin-Hong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400-404
    • /
    • 200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germination, nutrient concentrations and growth of spinach and radish. Both the spinach and radish seeds exhibited relatively higher germination rates in response to the low doses of gamma irradiation compared to the non -irradiated control. Leaf DW of the radish did not respond to gamma irradiation but that of the spinach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a gamma radiation of 4 Gy (P< 0.05). Leaf growth parameters of the spinach including the leaf area and SLA (leaf area/leaf dry weight) also demonstrated increased responses to gamma irradiation. R/S (root dry weight/shoot dry weight), root DW and root length of the spinach exhibited a positive response to gamma irradiation while those of the radish did not. In contrast, SRL (root length/root dr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gamma irradiation at 8 Gy for the spinach, but not for the radish. The tissue nitrogen concentrations of the spinach showed an increased response to gamma irradiation while that of the radish did not. Furthermore, higher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found in the irradiated spinach, but not in the irradiated radish. It seems that the non-specific physiological and/or biochemical activities of spinach might be accelerated by gamma irradiation, possibly accounting for the stimulation of nutrient uptake from the root media and early biomass accumulation in the current study.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o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and o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Radish Sprouts

  • Choi, Mi-Ran;Kang, Dong-Hyun;Heu, Sung-Gi;Lee, Sun-Yo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1호
    • /
    • pp.34-39
    • /
    • 2009
  •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in terms of its ability to eliminat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Radish sprouts were inoculated with a cocktail containing one each of three strains of three different foodborne pathogens, then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control) or chemical sanitizers (100 ppm commercial chlorine, and 50, 100, 200 ppm $C1O_2$) for 1, 5, and 10 min at room temperature ($22{\pm}2^{\circ}C$). Population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counted at 4.64, 6.05, and 4.29 log CFU/g, respectively, after inoculation. Treatment with water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any of the three foodborne pathogens. The levels of all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chemical sanitizers; however, the observed levels of reduction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significa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levels of the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most profoundly when treated for 10 min with 200 ppm of $C1O_2$, and the reduction level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1.17, 1.63, and 0.96 log CFU/g, respectively. When chemically injured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SPRAB for E. coli O157 :H7 and by selective overlay methods for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it was noted that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generated more numbers of injured pathogens than did $C1O_2$. These data indicate that $C1O_2$ treatment may prove useful in reducing the numbers of pathogenic bacteria in radish sprouts.

  • PDF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 재배시 질소이용률 및 수량에 미치는 토중시비 효과 (Effect of Banded Subsoil Fertilization on the Yields and N Utiliz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in Plastic Film Mulching Cultivation)

  • 양창휴;류철현;신복우;강승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8-403
    • /
    • 2005
  • 비닐피복작물 재배시 시비효율 증대 및 생력시비기술 확립을 위하여 토중시비기를 개발하였고 1997년부터 1998년까지 2년 동안 이를 이용하여 무를 재배한 후 토양개량, 양분이용률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전에 비하여 총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 및 칼슘 함량이 많아졌으며 토중시비에서 증가율이 컸으며 토양 중 $NO_3-N$ 함량은 관행시비에 비해 토중시비에서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많았다. 식물체 중 시비질소 흡수량은 토중시비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많았고 질소이용률은 관행시비 32.0% 에 비하여 토중시비에서 $21.9{\sim}30.4%$ 높았으며 토중시비로 작물근접에 시비가 가능하여 강우에 의한 시비질소의 손실률이 크게 감소되었다. 무 뿌리 개당 500 g 이상의 상품성 비율이 관행시비 53.2%에 비하여 토중시비 70%, 100%에서 $58.4{\sim}61.2%$ 높았으며 총수량은 관행시비 61.46 Mg $ha^{-1}$ 대비 $13{\sim}37%$ 증수되었다.

묵은 채소 종자의 발아와 생육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gamma$선의 영향 (Effects of Gamma Radiation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Enzym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of Old Vegetable Seed)

  • 김재성;백명화;김동희;이영근;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19권3호
    • /
    • pp.205-210
    • /
    • 2001
  • 묵은 배추와 무 종자에 저선량 ${\gamma}$선을 조사하여 종자발아율과 발아유식물의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저선량 조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발아초기단계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배추는 2 Gy와 8 Gy조사구에서 4-ll % 정도, 무는 2 Gy, 6 Gy, 10 Gy 조사구에서 25-41% 정도 증가하였다. 저선량 ${\gamma}$선이 조사된 배추와 무의 유묘초장도 저선량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배추의 경우는 4 Gy와 l0 Gy 조사구에서, 무는 6 Gy 조사구에서 뚜렷한 증가효과를 보였다. 저선량 조사구의 단백질 함량은 발아초기단계에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POD와 CAT 활성은 4 Gy와 l0 Gy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에 저선량 $\gamma$선에 의해 묵은 종자의 발아와 효소활성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건조조건이 다른 무채말랭이 및 무채말랭이 볶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hredded Radish and Stir-fry Dried Shredded Radish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지나;박영희;노윤영;김영;강민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96-60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shredd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hredded radishes with a thickness of either 3.5 mm or 7.0 mm were dried using hot air at $45^{\circ}C$ or were sun dried. The degree of browning for the 3.5 mm sun dried radish, the 7.0 mm sun dried radish, the 3.5 mm hot air dried radish and the 7.0 mm hot air dried radish was 0.12, 0.14, 0.04 and 0.04,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DA%) of the hot air dried radish had a higher value than the sun dried radish. In contrast, the ABTS values of the sun dried radishes were higher than the hot air dried radish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7.0 mm and 3.5 mm hot air dried radishes reached high values of 15.99 and 11.62 mg/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7.0 mm and 3.5 mm sun dried radishes were 9.63 and 6.77 mg/g,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of the stir-fry dried shredded radishes, the 7.0 mm hot air dried sample scored the highest in terms of smell, color, gloss and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hot air drying ($45^{\circ}C$) and a thickness of 7.0 mm were found to be the optimal conditions for dried shredded radish and stir-fried dried shredded radish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