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Raphanus sativus 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초

재배한 무순의 향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 송미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27
    • /
    • 2001
  • 십자화과 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어린싹(무순)이 독특한 향과 맛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바 그 향기성분을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법과 P&T(purge and cryogenic trapping)법으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포집시 SDE법에서는 diethyl ether 및 diethyl ether-pentane mixture(2:1, v/v)를 용매로 사용하고 P&T법에서는 di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GC와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SDE법에서는 함황화합물(19종, 76.6%)이 주성분이었고, diethyl ether-pentane mixture로 추출한 경우 함황화합물(15종, 44.0%)과 탄화수소류(23종, 23.8%)가 주성분이었으며, P&T법으로 추출할 경우는 탄화수소류(25종, 84.1%)가 주성분이었다. 또한 신선한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hydrocarbon류인 n-heptane, methyl pentane이었으며, 익은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sulfur compound에 속하며 무의 주성분이기도 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등이었다. SDE법 보다 P&T법에 의해 추출할 경우 향기성분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은 적어 분리능은 떨어지는 편이나 저분자 휘발성 물질은 오히려 더 많이 검출되어 추출방법에 따라 포집되는 향기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 PDF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 육종 계통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Inbred Lines against Turnip mosaic virus)

  • 윤주연;최국선;김수;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60-64
    • /
    • 2017
  • 무(Raphanus sativus L.) 육종 계통들에 대한 순무모자이크 바이러스(Turnip mosaic virus, TuMV)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개 무 육종계통들의 잎에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BR 병원성을 가지는 국내 분리 계통을 즙액 접종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한 무 개체들은 $22^{\circ}C{\pm}3^{\circ}C$에서 재배하였으며 4주 동안 바이러스 병징 발현을 육안으로 조사하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무 육종계통들의 다른 병징 발현에 의해 분석한 결과, 16개 무 계통은 약한 모자이크, 모틀링에서 심한 모자이크 전신 병징을 보였으며 감수성으로 판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외피단백질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하여 확인되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병징을 발현시킨 원인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4개 무 육종계통들에서는 모자이크 등 전신 감염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동일한 무 육종 계통들의 개체들에서 8주 동안 병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한 결과 4개 무 육종 계통들의 상엽들에서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4개 무 육종계통들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예시해준다.

Isolation, Restriction Mapping, and Promoter Sequence Analysis of an Isoperoxidase Gene from Korean-Radish, Raphanus sativus L.

  • Park, Jong-Hoon;Kim, Soung-Soo
    • BMB Reports
    • /
    • 제29권1호
    • /
    • pp.52-57
    • /
    • 1996
  • A specific DNA fragment from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was amplified by performing PCR with oligonucleotide primers which correspond to the highly conserved regions of plant peroxidases. The size of the PCR product was ca. 400 bp, as expected from the known plant peroxidase genes.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CR product to those of other plant peroxidase-encoding genes revealed that the amplified fragment corresponded to the highly conserved region I and III of plant peroxidases. By screening a genomic library of Korean radish using the amplified fragment as a probe, two positive clones, named prxK1 and prxK2, were isolated. Restriction mapping studies indicated that the 5.2 kb Sail fragment of the prxK1 clone and the 4.0 kb EcoRI fragment of the prxK2 clone encode separate isoperoxidase genes. Analyses of the promoter region of the prxK1 clone shows that putative CAAT box, CMT box, and TGA1b binding sequence (5' TGACGT) are present 718 bp upstream from the start codon.

  • PDF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 of radish leav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Chung, Da-Hee;Kim, Sun-Hee;Myung, Na-Hye;Cho, Kang-Jin;Chang, Moon-J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4호
    • /
    • pp.308-314
    • /
    • 2012
  • Radish (Raphanus sativus L.) is a cruciferous vegetable, and its leaves ha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radish leaves on hypertension in 11-week-ol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The SH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6 rats each on the basis of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were treated with oral administration of radish leaf extract (0, 30, or 90 mg/kg body weight [bw], respectively) for 5 weeks. Six Wistar rats were used as normotensive controls. The amount of the radish leaf extract had no effect on body weight. The SBP of the SHRs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the consumption of the radish leaf extract. In the third week, the SBP of the group fed 90 mg extract/kg bw reduced from 214 mmHg to 166 mmHg an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controls. The extrac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in the serum, kidney, and lung. The extrac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NO in serum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in red blood cells (RBC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Na^+$ and $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 groups. However, the fecal concentrations of $Na^+$ and $K^+$ increased; the fecal concentrations of $Na^+$ and$K^+$for the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controls were not different. Urinary excretion of $Na^+$ was higher in the normotensive Wistar rats than in the SHRs, while that of $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nsumption of radish leaves might have had antihypertensive effects in SHRs by increasing the serum concentration of NO and fecal concentration of $Na^+$ and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ies.

한국산 무 (Raphanus sativus L.) anionic peroxidase를 이용한 당 정량법 연구 (Glucose Determination by Using Korean Radish Anionic Peroxidase)

  • 김재홍;김성호;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0-105
    • /
    • 2000
  • 한국산 무(Raphanus sativus L.)로부터 황산암모늄 분별침전과 CM-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anionic peroxidase(POD)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한국산 무 anionic POD를 비색효소로, o-tolidine 혹은 4-aminoantipyrine/diethylaniline(4AA/DEA)을 비색기질로 사용하여 63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당 정량반응을 실시하였다. 한국산 무 anionic POD는 비색기질로 4AA/DEA을 사용한 경우 o-tolidine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높은 비색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Glutosr의 농도증가에 따른 검정곡선을 작성하였을 때 o-tolidine과 4AA/DEA을 사용한 경우 상관계수가 각각 r=0.9983과 r=0.9963로서 두 가지 방법의 검정곡선이 모두 좋은 직선성을 보여 주었다. 한국산 무 anionic POD와 horseradish POD의 기질산화에 대한 반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o-dianisidine과 guaiacol Km값을 조사한 결과, 한국산 무 anionic POD가 horseradish POD보다 o-dianisidine에 대해 약 40배, guaiacol 대하여 약 2배의 높은 기질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산 무 anionic POD를 비색효소로 사용하여 검출감도가 높은 당 정량용 진단시약을 개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 PDF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우리밀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of Domestics Wheat Cookies by Addition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Powder)

  • 천춘진;김영호;오종철;김진곤;유현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1-450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과자류 개발을 위해 회전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우리밀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L값(명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a값(적색도), b값(황색도), 퍼짐성, 경도는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인 색, 외관, 조직감,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외관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조직감은 버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설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점(40 g) 부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 외 다른 관능검사 항목에서는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 첨가량에 의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관능적 기호도 중 맛은 버터 첨가량이 어린잎 적양무가루나 설탕 첨가량 보다 영향이 컸으며, 그 외, 색, 외관, 조직감, 향과 전체적 기호도는 어린잎 적양무가루의 영향이 버터나, 설탕에 대한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을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량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5.15 g, 버터 64.84 g, 설탕 47.18 g으로 산출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the Gene Encoding Radish (Raphanus sativus L.) PG-inhibiting Protein

  • Hwang, Byung-Ho;Kim, Hun;Lim, Sooyeon;Han, NaRae;Kim, Jongk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99-307
    • /
    • 2013
  • A radish (Raphanus sativus L.)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gene was cloned and compared to the PGIP gene (BrPGIP2) from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sp. pekinensis) in order to gain more information on controlling a disease and improving produce quality. To clone the radish PGIP gene, primers were designed based on conserved sequences of two PGIP genes (BnPGIP1 and BnPGIP2) from rape (B. napus L. ssp. oleifera), Chinese cabbage and Arabidopsis thaliana. PCR cloning was performed with cDNA from the stigma of radish 'Daejinyeoreum' as a template to confirm DNA fragments which were about 600 base pair in size. Sequence analysis revealed 84.1% homology with BrPGIP2 and 70.1% with BnPGIP1. DNA walking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open reading frame of 972 bp, and the gene was named RsPGIP1. RsPGIP1 consisting with 323 amino acids (aa) has a high leucine content (54/323) and contains 10 leucine-rich repeat domains, as do most BrPGIPs of Chinese cabbage. The gene expression of RsPGIP1 was induced by abiotic stresses and methyl jasmonate. It showed enrichment in the stigma and the primary root than a leaf. Cloning RsPGIP1 will aid to further apply practices on postharvest quality maintenance and disease control of the root.

캘러스 유기와 식물체 재분화를 이용한 무의 기내 대량증식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using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 김유경;모숙연;최수빈;박한용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55-162
    • /
    • 2023
  • 무(Raphanus sativus L.)는 전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뿌리 채소 중 하나로,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되고 있다. 무의 F1종자 생산을 위한 원종 계통의 교배 과정에서는 화분 혼입으로 인해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의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캘러스 재분화를 통한 대량증식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기내배양 식물체를 증식시키고 원종 증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무의 하배축을 이용한 캘러스 유기에서 다양한 농도의 2,4-D와 TDZ, kinetin 조합 중 가장 효과적인 조합을 선정하고, 유기된 캘러스를 두 종류의 배지(5H+1B, 1 mg/L NAA + 0.1 mg/L 2,4-D + 1 mg/L IPA + 0.02 mg/L GA3 + 2 mg/L zeatin + 1 mg/L BA; 5H+0.1T, 1 mg/L NAA + 0.1 mg/L 2,4-D + 1 mg/L IPA + 0.02 mg/L GA3 + 2 mg/L zeatin + 0.1 mg/L TDZ)에 치상함으로써shoot 재분화에 적합한 호르몬 조건을 탐색하였다. 무의 캘러스 배양 결과, RA2 계통과 RA10 계통은 1 mg/L 2,4-D + 0.05 mg/L kin 조합에서, RA4 계통은 1 mg/L 2,4-D + 0.1 mg/L kin + 0.025 mg/L TDZ 조합에서, RA30 계통은 1 mg/L 2,4-D + 0.2 mg/L kin 조합에서 캘러스의 형성이 효과적이었다. RA4 계통에서 유기된 캘러스의 shoot 재분화는 두 종류의 shoot 재분화 배지에서 모두 일어났지만, 그 빈도는 5H+1B 배지에서 훨씬 더 높았으며 재분화된 shoot를 발근배지에 계대배양하여 뿌리를 유도하고 기내 순화 과정을 거쳐 재분화된 소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확립한 조건들을 무의 기내 대량번식에 활용한다면, F1 종자 생산을 위한 원종 증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