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NA

검색결과 3,66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인 급진성 치주염 환자의 위험요소로서 $Fc{\gamma}$ III 수용기의 유전형 (The $Fc{\gamma}$ receptor III genotype as a risk factor for aggressive periodontitis in Korean patients)

  • 김명현;신승윤;김태일;설양조;이용무;류인철;정종평;한수부;구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13-123
    • /
    • 2006
  • 연구배경 IgG에 대한 $Fc{\gamma}$ 수용기는 치주병인균에 대한 숙주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중 $Fc{\gamma}RIIIa$는 NK 세포, 대식세포, 단핵구, ${\gamma}{\delta}T$세포에서 발현되며, EC2 도메인에서 158 아미노산 부위의 valine (V)-phenylalanine (F)의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Fc{\gamma}RIIIb$는 특이적으로 중성구에 발현되는데, extracellular (ECl) Ig-like 도메인 내 4개의 아미노산 치환(substitutions)에 의한 NA1-NA2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급진성 치주염 환자와 $Fc{\gamma}III$ 수용기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재료 치주적으로 건강한 90명 (대조군, 남자 64명, 여자 26명)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지주과에 내원하여 급진성 치주염으로 진단된 환자 43명 (aggressive periodontitis patients: AgP, 남자 30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실험 대상자는 임상 실험에 대해 동의 하였고, 초진 시 전자 탐침(Florida Probe(R) Co. Gainesville, FL)을 이용하여 탐침 시 치주낭 깊이 (PPD), 임상부착수준 (CAL), 치태지수(PI), 탐침 후 출혈지수 (BOP)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대립 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Fc{\gamma}RIII$ 복합 유전형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1. $Fc{\gamma}RIII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 결과 대조군과 급진성 치주염 환자 군(AgP)사이에서는 대립 유전자 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P<0.05), $Fc{\gamma}RIII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Fc{\gamma}RIIIa$ 158F 대립형질이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유의성 있게 많이 발견되어졌다. (P<0.05)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Fc{\gamma}RIIIa$ 유전자의 분석이 한국인의 급진성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의 위험요소의 표지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김치젖산균에 의한 당근 발효음료의 물리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 조순자;오수명;장은경;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0-21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당근을 이용하여 점질물 생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당근주스로부터 분리한 후 당근 발효음료 제조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당근음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당근 생즙으로부터 분리된 점질물 생성 젖산균은 16S rDNA sequencing에 의해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으로 동정되었다. Dextran의 최적생산을 위하여 $0{\sim}20%$(w/v)의 sucrose를 첨가한 당근 주스를 $25^{\circ}C$에서 24시간 발효한 결과, sucrose 농도 15%(w/v)일 때 발효 당근음료의 점조도가 $3.5\;Pa{\cdot}s^n$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pH 3.8, 산도 0.88%를 나타내었다. 최적 조건에서 발효한 당근발효음료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한 결과 pH 및 산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점조도 값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발효 및 저장 기간 중의 ${\beta}-carotene$ 함량의 변화는 발효 전에는 $142\;{\mu}g/mL$에서 24시간 발효 후에는 $72\;{\mu}g/mL$으로 49%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냉장 저장 1주에는 $54\;{\mu}g/mL$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젖산균을 이용하여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탄소원 sucrose를 첨가함으로써 dextran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당근 발효음료의 침전물 억제 및 물성 개선을 할 수 있었다. 특히, 당근발효음료는 냉장 저장 4주 동안에도 색, 맛, 풍미, 물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은화 추출물을 이용한 미생물 발효 생성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in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 신정희;유선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5-102
    • /
    • 2012
  • 최근에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천연물에서 새로운 항산화 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 중에 Lonicera japonica Thumb은 항균, 항염증, 항바이러스, 해독작용, 혈중 지질 감소, 해열작용 등 약리적인 효능뿐 아니라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금은화 열수, 알코올 추출물을 기질로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NHP1 균주로 발효과정을 진행한 후 항산화 물질 및 래디컬 소거능이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통 발효식품으로부터 발효를 위한 균주를 분리한 후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NHP1로 명명하였다. 발효를 위한 기질인 Lonicera japonica Thumb는 열수 및 7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발효는 2 L 발효기에 1.2 L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를 공급하고, $30^{\circ}C$ 및 100 rpm의 조건으로 48 시간 수행하였다. 발효 전 후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소거능 및 ABTS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전 총 페놀양은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56.5{\pm}4.9$ GAE mg/g, $72.7{\pm}5.3$ GAE mg/g이었고, 발효 후 각각 30.2%, 12.9% 증가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용매에서 발효 후에 유의적으로 약 75% 이상 증가되었다. 발효 후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것에 비해 DPPH 소거능은 비례적으로 증가되지 않았으나, ABTS 항산화능은 발효에 의해 50% 증가되었다. 그동안 선행 연구에서 금은화의용매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연구를 진행한 것이 대부분인 것에 비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금은화 추출물에 발효기술을 접목한다면 항산화 기능 및 다른 기능성이 대폭 증가되어 기능성 건강식품 및 미용식품의 소재로의 사용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ITS 영역염기서열 및 RAPD에 의한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Lyophyllum decastes on the based of ITS region sequences and RAPD)

  • 우성미;박용환;유영복;신평균;장갑열;진용주;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98-104
    • /
    • 2009
  • 인공재배된 만가닥버섯(Hypsizygus mamoreus)과 잿빛 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을 ITS $I{\cdot}IV$ 부위의 염기서열에 의해 종속간 유연관계 및 RAPD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ITS $I{\cdot}IV$영역부위 종속간 유연관계에서 Group1 (SPA 100, 101, 102)은 만가닥버섯에 속하였으며, Group2 (11균주) 잿빛만가닥버섯의 대조 분리군 11균주는 동일한 종으로 동정되었다. ITS결과 14개 균주 시 4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Cluster I과 Cluster II는 58%의 유사도를 Cluster III과 Cluster IV는 41%의 유사성을 보였다. 또한 인공 재배한 잿빛만가닥버섯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기위해 RAPD를 수행한 결과 가장 수량이 양호하며 우량계통인 SPA 202는 잿빛만가닥버섯인 Lyophyllum decastes SPA 203과 그룹화 되었으며 75%의 유사성을 보여주었고, Lyophyllum decastes 공시균주인 SPA 103과 SPA 104의 유사성은 65%로 나타났다.

  • PDF

Antitumor Activity of 7-[2-(N-Isopropylamino)ethyl]-(20s)-camptothecin, CKD602, as a Potent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

  • Lee, Jun-Hee;Lee, Ju-Mong;Kim, Joon-Kyum;Ahn, Soon-Kil;Lee, Sang-Joon;Kim, Mie-Young;Jew, Sang-Sup;Park, Jae-Gab;Hong, Chun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581-590
    • /
    • 1998
  • We developed a novel water-soluble camptothecin analobue, CKD602, and evaluated the inhibition of topoisomerase I and the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mammalian tumor cells and human tumor xenografts. CKD602 was a nanomolar inhibitor of the topoisomerase I enzyme in the cleavable complex assay. CKD602 was found to be 3 times and slightly more potent than topotecan and camptothecin as inhibitors of topoisomerase, respecitively. In tumor cell cytotoxicity, CKD602 was more potent than topotecan in 14 out of 26 human cancer cell lines tested, while it was comparable to camptothecin. CKD602 was tested for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against the human tumor xenograft models. CKD602 was able to imduce regression of established HT-29, WIDR and CX-1 colon tumors, LX-1 lung tumor, MX-1 breast tumor and SKOV-3 ovarian tumor as much as 80, 94, 76, 67, 87% and 88%, respectively, with comparable body weight changes to those of topotecan. Also the therapeutic margin (R/Emax: maximum tolerance dose/$ED-{58}$) of CKD60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opotecan by 4 times. Efficacy was determined at the maximal tolerated dose levels using schedule dependent i.p. administration in mice bearing L1210 leukemia. On a Q4dx4 (every 4 day for 4 doses) schedule,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was 25 mg/kg per administration, which caused great weight loss and lethality in <5% tumor bearing mouse. this schedule brought significant increase in life span (ILS), 212%, with 33% of long-term survivals. The ex vivo antitumor activity of CKD602 was compared with that of topotecan and the mean antitumor index (ATI) values recorded for CKD60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noted for topotecan. From these results, CKD602 warrants further clinical investigations as a potent inhibitor of topoisomerase I.

  • PDF

The interaction of serum albumin with ginsenoside Rh2 resulted in the downregulation of ginsenoside Rh2 cytotoxicity

  • Lin, Yingjia;Li, Yang;Song, Zhi-Guang;Zhu, Hongyan;Jin, Ying-Hu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330-338
    • /
    • 2017
  • Background: Ginsenoside Rh2 (G-Rh2) is a ginseng saponin that is widely investigated because of its remarkable antitumor activity.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20S) G-Rh2 triggers its functions and how target animals avoid its cytotoxic action remains largely unknown. Methods: Phage display was used to screen the human targets of (20S) G-Rh2. Fluorescence spectroscopy and UV-visible absorption spectroscopy were used to confirm the interaction of candidate target proteins and (20S) G-Rh2. Molecular docking was utilized to calculate the estimated free energy of binding and to structurally visualize their interactions. MTT assay and immunoblotting were used to assess whether human serum albumin (HSA),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bovine serum can reduce the cytotoxic activity of (20S) G-Rh2 in HepG2 cells. Results: In phage display, (20S) G-Rh2-beads and (20R) G-Rh2-beads were combined with numerous kinds of phages, and a total of 111 different human complementary DNAs (cDNA) were identified, including HSA which had the highest rate. The binding constant and number of binding site in the interaction between (20S)-Rh2 and HSA were $3.5{\times}10^5M^{-1}$ and 1, and those in the interaction between (20S) G-Rh2 and BSA were $1.4{\times}10^5M^{-1}$ and 1. The quenching mechanism is static quenching. HSA, BSA and bovine serum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apoptotic effect of (20S) G-Rh2. Conclusion: HSA and BSA interact with (20S) G-Rh2. Serum inhibited the activity of (20S) G-Rh2 mainl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20S) G-Rh2 and serum albumin (SA). This study proposes that HSA may enhance (20S) G-Rh2 water solubility, and thus might be used as nanoparticles in the (20S) G-Rh2 delivery process.

전통간장으로부터 분리한 Cladosporium sp.과 Sterigmatomyces sp. 미생물의 동정 및 NaCl 농도에 따른 미생물 효소활성 분석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Cladosporium sp. and Sterigmatomyces sp., Proliferated on the Surface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the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Their Enzymatic Activity)

  • 이남근;류영준;여인철;박성준;권기옥;차창준;함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88-492
    • /
    • 2012
  • 전통방식으로 숙성되고 있는 한식간장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바위꽃과 메밀꽃이라 불리는 미생물을 18S rDNA ITS1과 ITS4 지역의 염기서열를 분석한 결과, 각각 Cladosporium 종들과 S. halophilus의 염기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바위꽃 미생물은 Cladosporium sp. NK1로, 메밀꽃 미생물은 S. halophilus NK2로 명명하였다. YPD 액체 배지를 이용한 최적 생장 pH와 온도에 있어서 Cladosporium sp. NK1은 각각 pH 6과 22-$27^{\circ}C$였고, S. halophilus NK2는 각각 pH 5-7과 $22^{\circ}C$였다. Cladosporium sp. NK1는 NaCl를 첨가하지 않은 YPD 액체배지에서 가장 잘 생장하였으나, protease 및 amylase 효소활성에 있어서는 각각 10%와 15% NaCl이 첨가된 YPD 배양액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S. halophilus NK2는 10% NaCl이 첨가된 YPD 액체배지까지 매우 잘 생장하였으며, protease 활성은 10% NaCl이 첨가된 YPD 배양액 시료에서, amylase 활성은 5% NaCl이 첨가된 배양액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Cladosporium sp. NK1과 S. halophilus NK2의 lipase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간장의 관능평가 결과 Cladosporium sp. NK1 균주는 간장의 맛에서, S. halophilus NK2는 향미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Bisphenol A 분해균주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의 분리 및 bisphenol A 분해 특성 (Isolation of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 Capable of Degradation of Bisphenol A)

  • 권기석;김동걸;이중복;신기선;금은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58-1163
    • /
    • 2006
  • BPA는 에폭시 수지 및 플라스틱 생산의 단량체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접착제, 페인트, 광학렌즈, 건축자재, 전자제품 소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PA의 급성세포독성 및 내분비교란활성이 보고되면서 BPA의 분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PA의 광분해 및 화학적 분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제적 BPA의 생물학적 분해를 목표로 BPA분해균을 플라스틱 공장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BP-2는 5mM의 BPA처리에서 성장할 수 있었으며, pH 7, $30^{\circ}C$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53.3{\mu}g\;ml^{-1}\;day^{-1}$의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균주 동정결과 BP-2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로 확인되었으며, 3.5g-건조중량$1^{-1}$의 고농도 휴식 세포 반응 결과 $89.7{\mu}g\;ml^{-1}\;h^{-1}$의 BPA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 세포농도를 유지하는 경우, BP-2균주가 실제적 BPA분해를 위한 생물촉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lcaligenes faecalis NS13에 의한 호기성 종속영양 질산화 및 탈질화 (Characterization of heterotrophic nitrification and aerobic denitrification by Alcaligenes faecalis NS13)

  • 정택경;라창식;조기성;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6-174
    • /
    • 2016
  • 호기적 조건에서 질산화와 탈질화를 동시에 진행하는 Alcaligenes faecalis NS13 균주를 분리하여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균주는 $15-37^{\circ}C$ 온도에서 생장할 수 있으며 암모니움 산화율이 높고 고농도의 암모니움 환경에서도 생장이 저해되지 않고 초기 암모니움 농도 증가에 따라 제거량이 증가하였다. pH와 염분농도에 대해서도 내성 범위가 넓어 암모니움 산화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질산화에 이어진 탈질화로 인해 질산염의 축적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탈질화의 중간산물인 아산화질소는 미량 검출되었지만 배양 후 모든 질소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약 42.8%가 $N_2$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탈질화는 PCR 증폭을 통해서 탈질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nitrate reductase gene, napA과 nitrous oxide reductase gene, nosZ의 존재로 뒷받침되었다. 또한 배지 내 질소의 46.4%가 NS13 균주로 동화되었기 때문에 폐수처리 시 질산화 및 탈질화 후에 슬러지로 처분한다면 실질적으로 89% 이상의 우수한 암모니움의 제거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JS-17 Collagenase.)

  • 임경숙;손승희;강호영;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57-663
    • /
    • 2005
  • Collagnase는 천연 collagen의 triple-stranded helix를 분해할 수 있는 protease로서 조직의 수복과 재생 과정에서 collagen의 재형성과 세포의 이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숙주 감염시에는 collagen 기질을 빠르게 분해함으로써 감염을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에서 식용하는 김치로부터 collagen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였으며 이를 Bacillus subtilis JS-17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최적 생산 조건은 $1.5\%$ fructose, $1\%$ yeast extract, $0.5\%\;K_2HPO_4,\;0.4\%\;KH_2PO_4,\;0.01\%\;MgSO_4{\cdot}4H_2O,\;0.1\%\;citrate,\;0.1\%\;CaCl_2(pH\;7.0)$의 배지에서 $30^{\circ}C$, 200 rpm으로 72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최적 조건에서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를 Amberlite IRA-900 column chromatography, Sephacryl S-300 HR column chromatography, DEAE-Sephadex A-30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분리 정제하고, 얻어진 정제 효소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의 비활성은 growth medium에서 192.1 units/mg였고, $1.1\%$의 수율로 얻어졌으며 분자량은 28 kDa이었다. 정제된 collagenase는 $55^{\circ}C$까지는 $100\%$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65^{\circ}C$에서도 $60\%$ 정도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pH $6.0\~9.8$에서 $6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는 metalloprotease inhibitor인 EDTA와 O-phenanthroline에 의해 효소 활성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Ammoninum persulfate, L-cysteine, N-ethylmaleimide, SDS, $NaN_3$, NaF, $KMnO_4$, PMSF에 대해서도 활성이 감소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를 여러 가지 기질에 대해 효소 활성을 비교한 결과 collagen (type I)에 대해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