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ne reductase 활성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2초

Mouse hepatoma 세포를 이용한 농산부산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r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 김정상;남영중;김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2-977
    • /
    • 1995
  • Quinone reductase(QR)를 포함한 2상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들은 많은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의 세포내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산부산물로서 미강, 밀기울, 탈지대두박, 두유박, 참깨박, 들깨박등 6종의 시료에 대한 암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존재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mouse hepatoma cell line(Hepalclc7 cells) 을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유도 여부를 측정하였다. 참깨박과 들깨박의 80%메탄올 추출물은 0.5mg/ml 농도에서 강력한 QR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며, 같은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은 거의 QR 효소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한편 QR효소활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TLC를 수행한 결과, 참깨박과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 가운데 사용한 전개용매(n-butanol : n-propanol : 2N ammonium hydroxide(10 : 60 : 30)에서 가장 빨리 이동하는 분획(Rf=0.70)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활성성분의 동정이 진행중에 있다.

  • PDF

괴화약침액이 간세포의 Quinone redutase 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phorae Flos Aqua-acupuncture Solution on the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of Hepa 1c1c7 Cells)

  • 이기택;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1호
    • /
    • pp.39-43
    • /
    • 2003
  • 괴화약침액이 간세포의 quinone reductase, glutathione S-transferase 와 환원형 glutathion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괴화약침액은 암예방 효소인 Phase II enzyme을 유의성 있게 증가 시켰다. 따라서 괴화약침액은 암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Quinone Reductase유도 효파 (Antimutagenic and Quinone Reductase Inducing Activities of Hericium erinaceus Extracts)

  • 박선희;김옥미;이갑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87-1292
    • /
    • 2001
  • 본 연구는 옛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항돌연변이 및 암 예방 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노루궁뎅이 버섯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quinone reductase (QR) 유도활성 효과를 살펴보았다. 노루궁뎅이 버섯의 돌연 변이 억제 효과를 Ames test로 검색한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과 분획물 그 자체의 돌연변이 원성은 없었으며,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은 직접변이원인 N- methyl- N'-nitro-guanidine(MNNG)와 간접변 이원인 B(a)P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분획물들도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헥산, 클로르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는 부탄올과 물 분획 물보다 MNNG 와 13(a)P에 대해서 더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노루궁뎅이 버섯에서 암 예방 효소계인 QR의 유도활성을 hepalclc7 세포주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에서는 노루 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묵과 헥산, 클로르포름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QR 효소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시 분획물은 거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노루궁뎅이 버섯은 발암물질로부터 생계를 보호하는 불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측정에 의한 약용식물의 항암활성 검색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by Extra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 김해홍;김동만;현창기
    • 생약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125호
    • /
    • pp.168-174
    • /
    • 2001
  • Induction of phase II enzymes is a major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The induction levels of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in cultured murine hepatoma (Hepa 1c1c7) cells by 80%-methanol extra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ere measured. Among the tested 81 plants, the extracts of Aralia continentalis, Magnolia obovata, and Viscum album were found to induce QR activities over 250%. The maximum induction levels obtained were 401.9%, 270.5%, and 301.8% by treatments of the extracts of A. continentalis $(318\;{\mu}g/ml)$, M. obovata $(53.8\;{\mu}g/ml)$ and V. album $(80.6\;{\mu}g/ml)$, respectively. These QR induction activities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the known QR inducers, t-butylhydroquinone (170.1%) and ${\beta}-naphthoflavone$ (320.0%).

  • PDF

오징어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Todarodes pacificus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51-12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그리고 대장암 세포주인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T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M층에서도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HepG2, MCF-7 및 HT-29 세포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간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는 달리 TPMM층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H층에서도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오징어내장의 hexane 분획층인 TPMH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QR 유도 활성 효과는 methanol 분획층인 TP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징어 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항암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TPMH 분획층과 TPMM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함초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유도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정복미;박정애;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8-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함초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QR) 활성 유도 효과를 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유방암 세포주인 MCF-7을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간암세포주인 HepG2에서 제일 효과가 컸고 사용한 3종의 암 세포주 모두 SHMM층에서 월등히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활성 유도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역시 SHMM층에서 유의적으로 QR 활성 유도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에서 함초의 methanol 분획층인 SHMM층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함초를 이용한 암예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며, 특히 함초의 methanol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포공영약침액의 발암과정 blocking agent로서의 활성 (Taraxacum mongolieum Hand-Mass Aqua-acupuncture Solution as the Blocking Agent of Carcinogenesis)

  • 손윤희;김소연;임종국;남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49-554
    • /
    • 2002
  • 포공영약침액의 암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quinone reductase (QR) 생성유도를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 Iclc7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포공영약침액을 처리한 Hepa Iclc7에서 QR생성이 유도되었다. 또한 포공영약침액은 phase II detoxification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CST) 활성을 증가시키고 glutathione 생성도 증가시켰다 QR과 CST는 간세포에서 주로 생성되는 phase II효소로 발암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돌연변이와 종양화 효과를 막아주고 발암물질을 무독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포공영약침액은 QR 효소 생성 유도, glutathione 함량 증가 및 CST 효소활성 증대등 phase II detoxification의 기작을 통한 발암과정의 blocking agent로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황시비처리가 열무의 Quinone Reductase 유도물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Quinone Reductase Inducer from Radish Leaf Cultivated in the Soil Containing Sulfur)

  • 김경아;노치웅;최경락;황해준;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46-950
    • /
    • 2004
  • 본 연구는 열무에서 다른 십자화과 식물에서 발견되는 sulforaphane 유사물질의 분획과 quinone reductase inducing activity를 측정하였고 열무생육시 유황을 첨가해 주면 이러한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보았다. Sulforaphane 유사물질의 분획은 유황을 토양에 1,818 g/㎥ 첨가시 가장 높았고, 열무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토양을 석회로 중화시켰을 때 감소되었다. 유황을 처리하여 키운 열무에 생리활성성분을 가진 유황화합물이 증가되므로 이러한 열무는 생체에 섭취시 detoxification enzyme을 유도하여 암발생을 지연시키거나 낮출 수 있는 chemoprevention의 효율이 기대된다.

당근 추출 성분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효과 (The Effects on Quinone ReductaseInduction of Daucus carota L.)

  • 한은주;노승배;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9-85
    • /
    • 2000
  • Chemoprevention is one of the major strategies for cancer control. It is well established that dietary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the development of certain types of human canc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quinone reductase(QR) activity induction of Daucus carota L.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roots of Daucus carota L., the ethyl acetate partition layer(DCMEA) and the n-hexane partition layer(DCMH) tested to be most effective which resulted 2.1 and 1.6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In the case of seeds of Daucus carota L. n-butanol partition layer (DCMB) on HepG2 cells at a dose of 200 $\mu\textrm{g}$/$m\ell$ showed the highest induction activity of QR which was 3.0.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tentially useful cancer chemoprevention chemicals could be isolated from DCMEA and DCMH of the roots and DCMB of the seeds of Daucus carota 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