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naire of core competenc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The Competencies of Sellers in e-Commerce and Innovative Sales Activities for Sales Performance

  • KIM, Eunji;JUN, Jongkun;HYUN, Jae H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99-10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y of sellers on their sales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e-commer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sales activitie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200 sellers in e-commer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Cronbach's Alph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nd the regression analyses of 5,000 bootstrap samples were carried out to test hypothese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the elements of competencies of sellers in e-commerce such as self-control, trust-building, social interaction skill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novative sales activities and sales performances. Innovative sales activities also affected sales performances. Indirect effects of competencies of sellers on sales performance via innovative sales activities were partially effective depending on variables that brought practical implication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valid competencies found in this study may be applied for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sellers. Conclusion: This study shed light on theories of e-commerce sales and sales practices by examining the competencies of sellers in e-commerce compared to those of traditional sellers and by revealing innovative sales activities as the effective mediator for sales performance.

단기 집중 이수제 지식연결 능력배양형 공학교육 과정용 교과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ubjects for Engineering Curriculum to Knowledge Connection Ability Cultivation Type in the Short-Term Intensive)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41-349
    • /
    • 2023
  • K대학교 차원에서 집중이수형 전공 지식 연결 과목으로 개설된 교과목에 대해, '콜라주(collage)' 명칭으로 2022학년 1학기에 전자공학전공학생(21명)들과 다른 14개 전공 학생들(26명)과 함께 47명의 수강인원을 구성하여, 융합형 5주 이수형 독립과목으로 진행하였고, 대상자에 대해 리커트(Likert) 5점 척도의 10개 문항들에 대한 응답 결과를 정리하였다. 정리된 결과들을 4개 항목들(신뢰도, 정규성, 상관성, 집단간 평균차 유효성)을 대상으로 검정을 진행하였고, 학습 주제의 난이도와 수강자의 학년에 따라 학습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관성이 높은 5개 설문 항목들에서 수강자 65% 이상의 학생들이 '보통' 이상의 긍정 평가로 응답했음을 확인하였다.

실천공학교육의 전략 탐색을 위한 델파이조사 (Search for Strategies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Using Delphi Method)

  • 김봉환;김정일;하준홍;오창헌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9
    • /
    • 2010
  • 본 연구는 '실천공학기술자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목적은 실천공학기술자 양성을 위한 타당한 교육목표 설정과 실천공학기술자 및 교수의 핵심역량 등을 진단, 평가하고 전문적이고 타당한 판단의 합의를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표적인 실천공학 중심대학인 한기대의 교육발전 전략을 탐색하는데 있다. 주요 조사내용은 타 공과대학과의 차별화를 위한 방향, 실천공학기술자의 핵심역량, 실천공학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 커리큘럼, 실천공학기술자 양성을 위한 교수의 핵심역량, 한기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발전전략등 5개 부문이다. 연구방법은 델파이를 적용했는데 패널은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이사, 한기대 교수 및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32인이 선정되어 조사에 참여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회에 거쳐 실시되었으며, 1차 조사에서는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5개 부문에 대한 제안사항을 연구진이 73개 문항으로 정리하였다. 그 문항들을 2차와 3차 설문지로 개발하여 이메일을 통해 배부, 회수한 후 각 항목에 대한 적합성이나 필요성 등을 5단계 리커트 척도로 평정, 연구결과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동기면담 기반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 (An Evaluation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to Promote Communication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 김희정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268-276
    • /
    • 2018
  • 간호사의 의사소통은 신뢰관계와 간호의 질 보장을 위한 핵심 능력이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 3학년 35명을 대상으로 동기면담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시행하였고 훈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4시간 단일 회기 훈련 후 핵심 기술인 반영하기와 반영의 깊이, 의사소통의 걸림돌과 닫힌질문 등에서 훈련의 성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열린질문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향후 이와 관련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면담에 대한 자신감은 훈련 후 전반적으로 좋은 성과를 얻었는데 반영하기에 대한 자신감은 유의미하지 않아 반영하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 고양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훈련 방법 중에는 개별, 집단 피드백이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훈련가들의 피드백 역량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분석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in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 김경미;김선일;최진선;남궁은정;최용금;박덕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3-13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urses in dental hygiene programs in South Korea. Methods: Survey on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was done, and 51 schools (62.2%) responded among a total of 82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sent via e-mail and additional telephone calls were used to facilitate respons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done through SPSS 23.0 for windows program (copyright(c) SPSS Inc., USA). Results: The current establishment rates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s in 3-year or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ere 96.9% and 84.2%, respectively. Such courses were identified as graduation requirement courses in 38.7% of the 3-year hygiene programs and 62.5% of the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hen practical training sessions are included within such courses, 70% of such courses includ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audio-visual aids' as a part of their contents, while 48.3% of them were utilizing 'role-playing'. Conclusions: As dental commun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it should be included as a required course for graduation, and practical training such as 'role-playing'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의료기관 종사자가 인지한 병원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도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and the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 서은경;한미아;박종;류소연;최성우;김해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1-23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hospital coordinato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mong 435 workers in plastic surgery and dermatology clinics in metropolitan city G. W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ospital coordinators,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T-tests,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workers and the perceived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were $3.55{\pm}0.40$ and $3.74{\pm}0.43$, respectivel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rinking frequency, number of night shifts, number of work days, and hospital coordinator introduction years were associ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The more the overall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increased, the higher was job satisfaction(B=0.458, p<0.001). In detail, the more job roles(B=0.218, p<0.001), core competency(B=0.145, p=0.005), and leadership(B=0.099, p=0.037) increased, the higher was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Conclusion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workers was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job performance of the hospital coordin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a hospital coordinator with specialized job performance will be abl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arrying out efficient work in the medical institution.

Using Motivation of Short Video Advertising Marketing in China: An Exploratory Study of Douyin

  • Zeng, Na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229-237
    • /
    • 2021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이론과 실증 분석을 통해 중국 사용자의 라이브방송 구매 참여동기와 영향 요소를 연구하고, 사용자의 수요 변화를 파악하여 트랜드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라이브방송 구매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했다.실증 분석은 SPSS와 AMOS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통계 분석, 신뢰성 및 유효성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여 가설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단편 동영상 업계의 핵심 경쟁력과 브랜드 개성이 사용자의 가치 인식에 반영되어 사용 동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의 라이브 쇼핑 참여는 맹목적인 순종이 아니며 능동적인 선택권이 있는 전자 상거래 속성을 더욱 강화하고 "허위 만족"을 없애야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 브랜드측은 사용자의 구매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의 개성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군 직무특성 및 개인 학습민첩성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Learning Ag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 최순원;전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97-210
    • /
    • 2020
  • 학습민첩성은 새로운 환경과 경험 속에서 빨리 학습하여 생각과 행동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의지와 능력이고, 위기를 극복하고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역량이며, 언제든지 개발 가능하기 때문에, 군(軍)과 같은 조직 집단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육군 간부의 직무특성과 개인학습민첩성이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SPSS 24.0을 이용하여 측정변인에 대한 신뢰도과 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설에 대해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 하위항목 일부(업무과부하)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 학습민첩성 하위항목 일부(자기인식, 적극적 변화추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야전에서 업무가 과부하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군 조직에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인식 및 피드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개인 학습민첩성을 개발해야 함을 의미한다.

융합인재교육에서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 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Weights of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e Based Learning Outcomes in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 박기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39-25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의 학습성과에 대한 합리적인 교육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융합인재교육에서 학습자가 함양해야 할 핵심 역량 준거의 상대적 가중치를 포함하는 학습성과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융합인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이원비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핵심역량 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층적 분석기법(AHP)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1계층에서 융합수행능력과 융합인지능력의 중요도는 각각 39.4%, 36.8% 순으로 분석되었다. 융합인재교육의 교육평가에서 융합수행능력과 융합인지능력은 유사한 중요도 수준을 보였으며, 융합태도능력(23.8%)보다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핵심역량 2계층에서 문제해결(20.0%)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창의적 사고력(18.3%), 책임감(15.3%), 융합지식 이해(11.0%)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핵심역량의 상대적 가중치 분석 결과는 융합인재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표 달성 여부를 상대적 가중치에 따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역량평가 체제의 토대가 될 것이다. 더불어 융합인재교육의 교육평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과정 개선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ubject Competencies of Integrated Science)

  • 안유민;변태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11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해 '통합과학'을 신설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도록 공통 과목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역량'을 도입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학문적 지식과 기능에 기반한 교과 역량으로 구분된다. 과학과 교과 역량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5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 문서의 교과 역량에 대한 설명은 불충분하며, 역량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역시 통일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 교사들이 역량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된다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선 통합과학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가 워킹 그룹 운영을 통해 통합과학의 성취기준과 교과 역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과학 교사 31명에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을 통해 5가지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사의 응답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3개 교과 역량은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와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한 정의와 유사성이 높았으나,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경우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문서상의 정의와 어느 정도 간극이 존재하였다. 또한 5개 역량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5개 교과 역량이 상호배타적이나 독립적이기 보다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