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 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71-2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365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1개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3개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능에는 성별,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 정기적 구강검진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만족스럽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측면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문제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하지만, 정책적 제도가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노인전문 구강보건 준비대책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다각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Does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have interaction with chronic facial pain?

  • Kang, Jeong-Hyun;Lee, Jeo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5호
    • /
    • pp.277-283
    • /
    • 2022
  •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chronic orofacial pain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ore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the 8th wav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2019 to 2020 were analyzed. This study included 5,780 Koreans (2,503 males, 3,277 females) over 40 years of age. The presence of subjective chronic facial pain lasting more than 3 months was evaluated based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isk of OSA was determined using the STOP-BANG questionnaire. Data related to anthropometr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diagnostic history of hypertension, depression, and OSA;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tress awareness;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and sleep duration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hronic facial pain. Results: The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tress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leep duration on weekends also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snoring and observed apnea, while participants with chronic facial pa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iredness between the groups. The risk of OSA evaluated by STOP-BANG questionnai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however, the risk of OSA seemed to be higher in participants without chronic facial pa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ith chronic facial pain demonstrated decreased sleep duration,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stress and tiredness. Even though, the role of OSA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facial pain was inconclusive from the study, it is possible that ethnicity play a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OSA and chronic facial pain.

중년층의 구강건강교육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신념,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삶의 질과의 관련성 (Oral Health Beliefs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Oral Efficacy,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 엄숙;최유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56-163
    • /
    • 2020
  • 본 연구는 구강건강교육경험과 구강건강신념,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경상남도 내에 거주하는 40·50대 18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교육에 따른 구강효능감과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구강효능감과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이 높았다. 구강건강신념과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구강건강신념 중 불안의 성향을 가진 민감성과 심각성이 높을 때 구강효능감과 삶의 질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중요성과 장애, 유익성이 높을 때는 구강효능감과 삶의 질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년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대상자별 맞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반복 교육이 필요하며 추후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적용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n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in the Elderly

  • Kim, Sun-Mi;Kim, Young-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7-74
    • /
    • 2022
  • Background: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extension of lifespan in the elderly. In addition, it appears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oral health statu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using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Methods: In this study, 4,535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were targeted using the 7th data of the 2018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GOHAI,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by group. In addition,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elderly's perceived depression scale and cognitive ability on GOHAI. Results: As a result of adding the depression scale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to Model 2, the explanatory power was 22%.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ption, average monthly allow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use of dentures, smoking status, economic activity, depression scale, and cognitive fun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p<0.05). In addition, when controlled and viewed with all factor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re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elderly. As the age increases, the quality of life declines due to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problems, in addition to oral discomfort, eating disorders, and physical discomfort.

대사증후군 환자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 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79-1090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seeking more effective programs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oral health by researching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n oral health and considering the effects each factor has o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55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ho visited the metabolic syndrome center of S district between July $19^{th}$, 2016 and August 27th, 2016. Results: When the subjects had experiences of oral treatment within the past year, which indicated lower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oral health. Oral health knowledg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attitude (0.241) and oral health behaviors (0.362),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impact profile (-0.283). Oral health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behaviors (0.476) (p<0.001). Conclusions: By conducting a oral health promotion business among metabolic syndrome patients including a oral care and treatment program which aim to enhance the oral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and comprehensively manag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ould be further improved.

일부지역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박홍련;구인영;문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00-1009
    • /
    • 2014
  •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과 삶의 질,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2013년 1월 9일부터 2013년 6월 5일까지 대구광역시 7개의 구에 있는 6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58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은 치통과 구강건조증, 연령층별은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최종학력에서는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동거가족 수에서는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구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항목에서 '나의 구강은 건강하지 않다'가 3.11점이었고, '나는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아프다'가 1.99점이었다. 구강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에서 건강은 2.05점, 삶의 질에서 건강은 3.41점이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에서 건강의 경우 기능적 제한은 2.13점, 신체적 동통은 2.53점, 심리적 불편은 2.17점, 신체적 제한은 2.31점, 심리적 능력저하는 2.06점, 사회적 능력저하는 1.81점, 사회적 불리는 1.99점이었다.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기회제공과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구강건강이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안모색이 충분히 고려될 때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융합적 관련성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Adult Men)

  • 유지수;황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5-301
    • /
    • 2020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2016년)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만 19세 이상의 남성 2,6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행위는 삶의 질(EQ-5D)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0.142, p<0.01)가 있었으며, 우울증상(PHQ-9)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0.347, p<0.01). 즉, 구강건강행위 실천률이 높은 사람일수록 삶의 질이 높고, 우울증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강건강행위의 실천 수준이 성인 남성의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있으며, 향후 성인 남성 대상의 구강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향상을 위한 보건정책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요인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 전기하;이주열;이지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89-89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in the male workers in Gunsa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60 male workers in Gunsan from April 13 to 30, 2015. Among 460 workers, smokers were 205 and nonsmokers were 255.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ree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ur questions of subjective oral health, fourteen questions of OHIP, ten questions of sobriety test (AUDIT), and eight questions of smok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FT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20.0 program. Results: In the nonsmo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consumption, dental health condi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The higher OHIP in the smokers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icotine dependence, alcohol consump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In order to improve OHIP, smokers are encouraged to manage gum bleeding, and non-smokers to halitosi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OHIP, cessation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and it can lea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workers.

임플란트 만족도와 삶의 질 간의 관련성에 대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ssociation between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implant surgery)

  • 정선영;조진현;이규복;최연희;송근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91-299
    • /
    • 2011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환자의 치료 만족도와 임플란트 전 후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후 환자가 느낀 치료 만족과 관련하여 어떠한 요인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구광역시 소재 6개 개인치과의원에 임플란트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2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주요 측정 항목에 응답하지 않은 11명을 제외한 246명을 최종분석대상에 포함시켰으며, AMOS 4.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만족과 관련된 기능적 요인, 유지및관리요인, 비용 요인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임플란트 수술 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OHIP-14의 7개 영역 모두에서 수술 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후 환자들은 저작, 발음 그리고 심미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비용 측면에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식립 후 저작 능력과 심미성을 포함하는 기능적 요인과 유지 및 관리 요인에 대한 만족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P<.05), 비용 요인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임플란트 수술에 따른 기능적 요인과 유지 및 관리 요인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강조된 기능적 요인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론적 모델을 통해 제시하였다.

일상활동구강영향지수(OIDP)를 이용한 교정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만족도 평가 (Assessment of d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level in patients with orthodontic treatments using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 (OIDP))

  • 김수경;기은정;김성준;문선호;장민지;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5-54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s in d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fore, during,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in the patients. Methods: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patients who completed orthodontic treatmen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using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 (OIDP) to identify the relevant factor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observations of OIDP before, during,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ree factors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one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an before the treatment; whereas, it was dramatically dropped afterw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level on orthodontic treatment by setting before, during, and after OID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tisfaction on orthodontic trea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OIDP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on orthodontic treatment. Conclusions: The above analysis on the change in patients' d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improved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ly,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level on orthodontic treatment are expected to improve if they strive to maintain healthy dental health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