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index component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2초

시판 전통식 된장의 품질평가 (Quality Assessment of Commercial Doenjang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

  • 박석규;서권일;최성희;문주석;이영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1-217
    • /
    • 2000
  • To standardiz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oenjang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 general component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titratable acidity (expressed as milliliter of 0.1 N NaOH), acid value and salinity were 54.7%, 13.8%, 8.0%, 14.4mL, 45.7mg/g and 11.8%, respectively. The content of amino type nitrogen was 345.3mg% (w/w) in the range of 207.6 to 443.5mg% being 1.1~2.2-fold for all samples. Average value of Hunter color for L(lightness), a(redness) and b(yellowness) were 37.4, +9.7 and +21.3, respectively. Browning index value(expressed as optical density at 425 nm) of water-soluble compound(2.58) was above 7.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insoluble compound(0.38). Total contents of free and total amino acid were 3.81 and 9.72%, respectively, and then the former(1.1~3.7 times) was more different in all samples tested than that of the latter(1.1~2.0 times).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was abundant and its content of free and total amino acids was 0.57 and 1.24%, respectively. Of organic acids,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being 0.34%(average) and ranged from 0.15 to 0.86%. Linoleic acid(52.17%, as area%) was the highest content of the total fatty acids. 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83.89 and 61.189%, respectively.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markedly different among all samples and ranged from 51.52 to 64.91%.

  • PDF

산란 주령 및 중량 규격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 및 내부 품질 비교 (Comparison of Principle Components and Internal Quality of Eggs by Age of Laying Hens and Weight Standard)

  • 이재청;김선효;선창완;김창호;정사무엘;이준헌;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55
    • /
    • 2013
  • 본 연구는 산란 주령과 중량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과 내부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Hy-Line Brown 품종의 18주령에서 63주령으로부터 계란을 주령별로 약 50개씩 총 2,140개를 수거하여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과 난백 높이 그리고 Haugh unit을 측정하였다. 중량 규격이 높아짐에 따라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은 증가하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은 낮아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난황은 증가하고, 난백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란 주령은 난각, 난황, 난백 및 전체 계란 중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계란 중량이나 주요 구성 성분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백 높이 및 Haugh unit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지형, 수문, 수질 및 호안 토양 환경요인의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 조현석;조강현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343-359
    • /
    • 2013
  •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호안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위변동폭과 이용 목적에 따라서 35개 저수지를 선정하여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요인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환경 특성에 따라 저수지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저수지의 지형적, 수문적 특성은 그 조성된 곳의 환경과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저수지의 연수위변동폭은 1~27 m로서 변이가 컸다. 저수지의 수질은 대부분 중영양 혹은 부영양 상태이었다. 호안의 토양 환경은 모래 함량이 많았다. 저수지의 수위변동폭, 빈도 및 기간은 저수지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 독특한 특성을 보였다. 홍수조절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고 빈도는 낮았으며 수력발전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고 빈도가 높았다. 회귀분류 나무(CART)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저수지의 수질은 수심, 수위변동폭 및 고도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주요인분석(PCA)의 결과에 의하면 환경요인에 의하면 저수지의 유형은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폭, 수질 및 토양의 토성과 유기물 함량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저수지의 호안에서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폭, 수질 및 호안 토양의 특성이 중요한 환경요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견운모를 이용한 벽마감용 천연페인트 제조 (Preparation of Natural Wall Paint by Using Sericite Clay)

  • 김무늬;랄문시아마;이승목;진강중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01-505
    • /
    • 2017
  •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건물의 밀폐성 증가로 심각한 실내 공기 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몇몇 실내 공기오염물질 중 페인트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주요 관심사이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페인트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광물인 견운모를 사용하여 벽마감용 천연페인트를 제조하였다. 소규모 챔버를 사용하여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에 존재하는 독성물질 확인 실험을 하였으며, 2개의 상업용 페인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총 VOC 양은 trace로 권장 실내 공기질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에서 톨루엔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포름알데히드가 trace 레벨로 측정되었다. 독성지수 분석결과 2가지 친환경 상업용 페인트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천연페인트가 낮은 유해물질 방출을 나타내었다. 건축자재등급 실험에서 벽마감용 천연페인트가 1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의 주성분으로 견운모를 사용하는 것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Estimation of Relative Economic Weights of Hanwoo Carcass Traits Based on Carcass Market Price

  • Choy, Yun-Ho;Park, Byoung-Ho;Choi, Tae-Jung;Choi, Jae-Gwan;Cho, Kwang-Hyun;Lee, Seung-Soo;Choi, You-Lim;Koh, Kyung-Chul;Kim, Hyo-S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667-167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economic weights of Hanwoo carcass traits that can be used to build economic selection indexes for selection of seedstocks. Data from carcass measures for determining beef yield and quality grades were collected and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KAPE). Out of 1,556,971 records, 476,430 records collected from 13 abattoirs from 2008 to 2010 after deletion of outlying observations were used to estimate relative economic weights of bid price per kg carcass weight on cold carcass weight (CW),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and marbling score (MS) and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 traits. Price of carcass tended to increase linearly as yield grades or quality grades, in marginal or in combination, increase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for MS, EMA, BF, and for CW in original scales were +948.5 won/score, +27.3 $won/cm^2$, -95.2 won/mm and +7.3 won/kg when all three sex categories were taken into account. Among four grade determining traits, relative economic weight of MS was the greatest. Variations in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by sex categories were great but the trends in relative weights for each carcass measures were similar. Relative economic weights of four traits in integer values when standardized measures were fit into covariance model were +4:+1:-1:+1 for MS:EMA:BF:CW.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ccount for the cost of production per unit carcass weight or per unit production under different economic situations.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Hydration Properties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with CO2 Reduction)

  • 최연왕;오성록;조준희;강현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03-4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탄소저감을 위한 산업부산물 사용 증대 및 시공성능 향상을 위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80% 이상 감소시킨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QC-HFC)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수화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QC-HFC의 품질은 목표 성능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동 및 역학특성의 경우 기존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QC-HFC의 건조수축은 기존 배합과 비교하여 약 2배 이상, 수화열의 경우 약 36%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 수화열 저감 효과에 따른 온도응력 감소, 상대적으로 작은 내외부 온도차로 인한 변형 감소로 균열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매스 구조물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온도균열지수 1.1 이상으로 균열발생 확률이 약 35%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온도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취발생에 관여하는 구강내부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aoral factor related to oral malodor)

  • 정미애;이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131
    • /
    • 2008
  • This study was pe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ing factors and the production of each gas 01 oral malodor, to contribute the oral malodor control at dental clinic as well as to establish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malodor control project for public oral health program 127 patients from 20 to 40 years old who had been visited for preventive dental care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Such items as caries status, periodontal status, salivary flow, viscosity, pH. Snyder test, plaque deposit and tongue plaque were checked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ontributing factors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Ammonia gas components were checked with Oral-Chroma and Attain, the oral malodor check units. Not only the corelation coefficiencies but also the multi-way variance analysis were calculated between each causing factor and each component of oral malodor gases to estimate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e oral malodor. 1.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ries status and each component pf the oral malodor such as sulfur compound or Ammonia, both in laboratory test and VAS test (pF0.05). It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ydrogen sulfide and FT(rM-0.1904. pE0.05) as well as the VAS and FT (rM-0.210. pE0.05). S0, it was estimated that the less oral malador was recognized when caries state changed to filled state in Hydrogen sulfide laboratory test or VAS test 2. High relationship was showed between salivary flow and Hydrogen sulfide (rM-0.183, pM0.039), Methyl mercaptan(rM-0.234, p-0.008). Dimethyl sulfide(rM-0.234, pM0.008) and Ammonia(-0.361. pM0.001) gas(pE0.05). 3.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M-PHP(Modified-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and tong plaque all kinds of sulfide(rM0.249. pM0.005). Ammonia gas component(rM0.232, pM0.009). 4. It was found that considerable relationship was appeared between the periodontal status and Ammonia gas (rM0.274, pM0.002), so, it should be needed to control Ammonia. Such dental Cares as the prevention or early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nd the accelerating the salivary flow as well as reducing the amounts and activities of filament or spiral typed oral micro-organism were recommended for adults, not only for dental care program at the dental clinics but also for public health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file for individual and community peoples.

  • PDF

영주댐 유사조절지 상류의 용존유기물 (Dissolved Organic Matter) 특성과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환경 요인과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Associated with Ambient Biophysicochemical Factors in the Sediment Control Dam (Lake Youngju))

  • 오혜지;김도균;최지수;채연지;오종민;신경훈;최광순;김동균;장광현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346-362
    • /
    • 2021
  • 유사조절지는 하천 하류로 이동하는 모래 등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인공 횡단구조물로, 하천의 유황을 변화시켜 수체 내 용존유기물질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내성천 상류의 영주댐 유사조절지를 대상으로 3차원 형광 EEM (Excitation-Emission Matrix) 및 PARAFAC 분석(Parallel Factor Analysis) 기법을 통해 수중 용존유기물의 주요 성분을 분석한 결과, 4개의 휴믹 유사계열 성분(C1-C3, C5)과 3개의 단백질-트립토판 유사계열 성분(C2, C6-C7)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내·외부로부터 기원된 휴믹계물질(C1-C3)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성분의 총량과 성분별 조성비는 유광층 내 광량에 따른 수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주댐 유사조절지에서는 유입된 외부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분해되어 내부 유기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유기물 지수는 조사기간 중 내부 기원 유기물의 우점을 나타냈다. 수체 내 내부 기원 유기물의 증가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특히 남조류의 상대풍부도 및 박테리아와 윤충류 현존량의 증가와 연동되는 경향을 보여 수체 내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발생은 미생물 먹이망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유기물 특성에 대한 연구는 물리·화학적 측면에서의 수질 관리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환경 요인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동·식물플랑크톤을 포함한 미생물 먹이망을 통한 물질 순환 이해에도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동특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 박승윤;허승;유준;황운기;박종수;이승민;김창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9-4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격월별로 년 6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 엽록소 a 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아질산질소, 질산질소 및 용존무기질소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전조사 항목에서 정점 간 차이가 적었으나, 주성분 분석결과 표층에서는 부남호 영향을 받는 정점 1 과 중간역인 정점 2~11 및 입구쪽인 정점 12~16로 구분되어지고, 저층에서는 표층과 마찬가지로 정점1과 죽도 북측연안의 정점 2~7 및 정점 8~1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격월별로는 저층의 부유물질을 제외한 전조사 항목에서 유의성이 입증되었으며,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격월별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입구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수질의 시간적 변동은 표층과 저층에서 세 그룹으로 구분되어지나 경향은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조사월에서 영양염류가 낮은 상태이었다.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은 II등급(좋음) 수준이며, 격월별로는 6월과 8월은 III등급(보통), 10월과 12월은 II등급(좋음), 2월과 4월은 I등급(매우좋음)으로 구분되어 경인연안, 아산연안, 목포연안 및 군산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공원에 식재된 왕벚나무 수종을 중심으로 한 수목활력도의 정량평가지표 개발 및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Indicator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ee Vigor Condition an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 A Case Study of Japanese Flowering-cherry Trees in Urban Park)

  • 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67
    • /
    • 2014
  • The vigor condition of tree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orested area. But difficulties in how to assess the tree vigor condition still remain. Previous efforts were limited in the 1) measurement of single indicator rather than using multiple indices, 2) purpose-oriented measurement such as for air-pollution effect or specific pathological symptom, and 3) ordinal-scale evaluations by field crews 4) despite human errors based on his/her experiences or prior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methodology for assessing tree vigor condition, by measuring multiple modules and building the profile inventory. Furthermor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ematic frames describing tree vigor condition. The vigor condition of 56 flowering cherry plants in urban park were assessed by in-situ measurements of following eight items; growth of crown(Gc), growth of shoots, individual tree volume(Vol), plant area index, woody area index, leaf area index, leaf chlorophyll content(Lc) and leaf water content(Lw). For validatio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ranks of holistic tree vigor condition, which were visually assessed using a 4-point grading scale based on the expert's knowledge. As a result, the measures of each evaluation item successfully highlighted a variety of aspects in tree vigor condition, including the states of both photosynthetic and non-photosynthetic parts.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depending on evaluated parts was shown within an individual tree, even though the broad agreement among the results was fou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ested measurements and 4-point visual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the state of water-stressed foliage of the season (Lw) or the development of plant materials since sapling phase (Vol) could be better viewed from the outer appearance of trees than other symptoms. But only based on the visual assess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the quality of photosynthesis (Lc) or the recent trend in growth of trees (Gc). To make this methodology simplified for the broad-scale application, the tested eight measurements could be integrated into two component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was labelled with 'the amount of plant materials' and 'vigor tren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se of these quantitative and multi-scale indicators underli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various aspects of tree vigor con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sponse(s) on different time and spatial scale of pressure(s) shown in each evaluated module. Future study should be advanced for various species at diverse developing stages and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to wide areas at a periodic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