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difference polynomia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ON ENTIRE SOLUTIONS OF NONLINEAR DIFFERENCE-DIFFERENTIAL EQUATIONS

  • Wang, Songmin;Li, She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5호
    • /
    • pp.1471-1479
    • /
    • 201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non-existence of finite order entire solutions of nonlinear differential-difference of the form $$f^n+Q(z,f)=h$$, where $n{\geq}2$ is an integer, $Q(z,f)$ is a differential-difference polynomial in $f$ with polynomial coefficients, and $h$ is a meromorphic function of order ${\leq}1$.

UNIQUENESS OF q-SHIFT DIFFERENCE-DIFFERENTIAL POLYNOMIAL OF MEROMORPHIC AND ENTIRE FUNCTION WITH ZERO-ORDER

  • V. NAGARJUN;V. HUSNA;VEEN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1권2호
    • /
    • pp.247-263
    • /
    • 2023
  •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uniqueness problem of q-shift difference polynomial of meromorphic (entire) function with zero-order. Consequently, we prove three results with significantly generalize the results of Goutam Haldar.

ON THE EXISTENCE OF SOLUTIONS OF FERMAT-TYPE DIFFERENTIAL-DIFFERENCE EQUATIONS

  • Chen, Jun-Fan;Lin, Shu-Qi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8권4호
    • /
    • pp.983-1002
    • /
    • 2021
  • We investigate the non-existence of finite order transcendental entire solutions of Fermat-type differential-difference equations [f(z)f'(z)]n + P2(z)fm(z + 𝜂) = Q(z) and [f(z)f'(z)]n + P(z)[∆𝜂f(z)]m = Q(z), where P(z) and Q(z) are non-zero polynomials, m and n are positive integers, and 𝜂 ∈ ℂ \ {0}. In addition, we discuss transcendental entire solutions of finite order of the following Fermat-type differential-difference equation P2(z) [f(k)(z)]2 + [αf(z + 𝜂) - 𝛽f(z)]2 = er(z), where $P(z){\not\equiv}0$ is a polynomial, r(z) is a non-constant polynomial, α ≠ 0 and 𝛽 are constants, k is a positive integer, and 𝜂 ∈ ℂ \ {0}. Our results generalize some previous results.

The Second Reidemeister Moves and Colorings of Virtual Knot Diagrams

  • Jeong, Myeong–Ju;Kim, Yunjae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2권2호
    • /
    • pp.347-361
    • /
    • 2022
  • Two virtual knot diagrams are said to be equivalent, if there is a sequence S of Reidemeister moves and virtual moves relating them. The difference of writhes of the two virtual knot diagrams gives a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the first Reidemeister moves in S. In previous work, we introduced a polynomial qK(t) for a virtual knot diagram K which gave a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the third Reidemeister moves in the sequence S. In this paper we define a new polynomial from a coloring of a virtual knot diagram. Using this polynomial, we give a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the second Reidemeister moves in S. The polynomial also suggests the design of the sequence S.

개인-조직가치 부합수준과 성과관계 검증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and Performance)

  • 박양규;여성칠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2호
    • /
    • pp.411-424
    • /
    • 2011
  • 조직연구에서 개인 직무, 개인-조직, 개인-환경 사이의 부합수준은 성과에 대한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개인-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부합수준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동기유발의 주요한 요인으로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부합수준 성과관련 연구에서 부합수준별 성과, 혹은 성과의 극대화률 설명하는 만족적 부합수준을 경정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방법론의 개발관련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런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활용되는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요인별 차이값, 차이제곱값, 차이 절대값, 측정 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Q 값, 두 프로파일 사이의 순위상관을 나타내는 $Q_r$이다 그러나 이런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부합수준 성과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Edwards의 단일 설명변수에 대한 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한 방법론은 두 프로파일의 개별 설명변수 차이 값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만을 개별적으로 보여주고 설명변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차이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개별요소별 성과를 극대화하는 값이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변량 이차다항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다중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개인-조직,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