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egon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HPLC와 GC/MS를 활용한 약용식물 유래 phytochemicals 분석 (Analysis of Phytochemicals in Popular Medicinal Herbs by HPLC and GC-MS)

  • 조현정;유동찬;조현남;판루안;김희준;강공원;정호순;양선아;이인선;지광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7-282
    • /
    • 2008
  • 본 연구는 홍삼, 인진쑥, 형개, 회향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분리 및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홍삼의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maltol과 adenosine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었다. 그 중 maltol은 그 분획을 얻어 UV-visible 흡광도의 측정과 MS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을 통하여 maltol 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진쑥, 형개, 회향을 여러 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인진쑥에는 limonene, menthone, anethole 등의 성분이 미량 검출되었고 회향에는 limonene 외의 성분은 거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실험 중 형개 추출물의 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했는데 목적 성분 중 limonene, menthone, pulegone을 고농도로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천연 약용 식물에서 기능 성분의 분리, 정제 시 각 성분에 대한 화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한방 약초로부터의 기능성 화학성분의 정량분석을 HPLC, GC-MS 등의 분석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향후 목적하는 phytochemicals을 함유한 복합체 기능성 연구에 사용하고자 한다. 약용식물 유래의 유용화합물과 안정성이 확보된 고분자 형성물질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는 새로운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예상된다.

국내 수종별 BVOCs 방출량 (1) (Emission Rate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from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 (I))

  • 장한나;손정아;제선미;오창영;조민석;김주완;김재현;최원실;이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43-553
    • /
    • 2021
  • 피톤치드는 식물체에서 방출되는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BVOCs)에 포함되어있는 isoprene, monoterpene, sesquiterpene과 같은 화합물들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중요한 산림치유 인자인 동시에 질소화합물과 광학반응을 하여 오존 및 이차 유기에어로졸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숲 주요 30 수종을 선정하여 표준환경조건(온도: 30℃, 광도: 1,000 μmol/m2/sec)에서 400 L Tedlar bag의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하여 열탈착-GC/MS로 분석하였고, 해당 수종의 잎을 건조시켜 건중량 당 수종별 isoprene 및 terpene류의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Isoprene 방출량은 전체 수종 중에서 왕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굴거리나무, 회양목이 주요 isoprnen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방출량은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로쇠, 일본잎갈나무, 백목련, 메타세쿼이아,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가 주요 monpterpene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rerpene 주요 물질은 α-pinene, myrcene, limonene, β-pinen, sabinene이였으며, sesquiterpene의 주요 물질은 caryophyllene, farnesene으로 나타났다. Oxygenated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pulegone, borneol, menthol, eucalyptol, nerol이였고 oxygenated sesquiterpene에서는 carypphyllene oxide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지만 30개 수종에서 sesquiterpene과 oxygenated sesquiterpene의 방출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 Lee, Il-Kyun;Kim, Min-Ah;Lee, Seung-Young;Hong, Jong-Ki;Lee, Jei-Hyun;Lee, Kang-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00-106
    • /
    • 2008
  •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aerial par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led to the isolation of twelve terpenes (1 - 11 and 17), four phenolics (13 - 16) and a hexenyl glucoside (12).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ans to be (-)-pulegone (1), piperitenone (2), p-cymene-3,8-diol (3), schizonepetoside A (4), schizonepetoside C (5), (+)-spatulenol (6), ursolic acid (7), $2{\alpha}$,$3{\alpha}$,$24{\alpha}$,-trihydroxyolean-12en-28oic acid (8), $5{\alpha}$,$8{\alpha}$-epidioxyergosta-6,22-diol-$3{\beta}$-ol (9), stigmast-4-en-3-one (10), ${\beta}-sitosterol$ (11), (Z)-3-hexenyl-1-O-${\beta}$-D-glucopyranoside (12), rosmarinic acid (13), apigenin-7-O-${\beta}$-D-glucopyranoside (14), luteolin-7-O-${\beta}$-D-glucuronopyranoside (15), hesperidin (16) and trans-phytol (17). Compounds 2, 3, 8, 9 and 12 were for the first time isolated from S. tenuifolia Briq.

Effe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Extracts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ion of DNA Damage

  • Ahn, Joungjwa;Park, Jae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5-361
    • /
    • 2013
  •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Jangyyeon-myeon, Goesan-gun, Korea and extracted with either hot-water or ethyl acetate (EtOAC). In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2+}$ chelating activity of EtOAC extracts were 93.41%, 98.43%, and 7.38%, while those of hot-water extracts were 86.93%, 41.33% and 47.68% at 200 ${\mu}g/ml$, respectively. In ${\varphi}X$-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the protective effects of EtOAC and hot-water extract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were 82% and 17% at 200 ${\mu}g/ml$, respectively. Both extracts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of DNA migration by oxidative stress in intracellular DNA migration assay. Both extracts had no cytotoxity in NIH3T3 cells. Several poly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2-meth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phytol and pulegone by GC/M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and showed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s.

Acaricidal effects of herb essential oils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Acari: Pyroglyphida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 herb Mentha pulegium (pennyroyal)

  • Rim, In-Sook;Jee, Cha-H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133-138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screen the acaricidal effects of herb essential oils (pennyroyal, ylang ylang, citronella, lemon grass, tea tree, and rosemary) at different doses (0.1, 0.05, 0.025, 0.0125, and $0.00625{\mu}l/cm2$) and exposure times (5, 10, 20, 20, 30 and 60 min) on house dust mites Dermatoph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The most effective acaricidal components of pennyroyal (Mentha pulegium) were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Of these essential oils, the most effective was pennyroyal, which is composed essentially of pulegone (> 99%), at a dose of $0.025{\mu}l/cm^2$, which at an exposure time of 5 min killed more than 98% of house dust mites. In the pennyroyal fumigation test, the close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pen method and maximum acaricidal effect was 100% at $0.025{\mu}l/cm^2$, 60 min. The results show that herb essential oils, in particular, pennyroyal was proved to have potent acaricidal activity.

기포 생물반응기에서 페퍼민트 세포의 생육 및 정유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Oil Production of Peppermint Cells in an Air-bubble Bioreactor)

  • 송은범;이형주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95-503
    • /
    • 1993
  • 페퍼민트 세포의 회분배양에 의한 monoterpenoid 풍미성분의 생산 가능성과 세포의 생육 및 정유생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캘러스로부터 얻은 모배양액 을 기포반응기 형태의 생물반응기에 접종하여 배양 하였다. 회분배양 중 접종량, abiotic stress, yeast elicitor, 그리고 2단 배양 등의 배양조건이 세포생육 과 박하정유 생성 빛 조성에 마치는 영향을 조사하 였으며 배지의 sucrose 농도와 세포생육의 kinetics 를 분석하였다. 접종량을 탈리하여 배양한 결과 2.0 %(PCV)를 접종한 경우가 반응기에서 배양이 가장 적당하였는데 배양 10일 만에 5.8g/P 의 세포생육을 얻었으며 0.109g/P 의 박하정유가 생성되였다. Abi-otic stress의 영향을 보기 위해 16시간은 $27^{\circ}C$ 에서 명상태로,8시간은 암상태로 하고 10'C로 온도를 낮추어 배양한 결과 세포의 생육은 떨어졌으나 박하정유 생성량은 0.546g/P 로 높은 수율을 보여 주었다. 사용한 Lin-Staba 배 지 에 100mg/P 의 yeast extract를 elicitor로 첨가했을 때 세포의 생육과 정유 의 생성량이 높았으며 유일하게 menthol이 정유 중 22.5%의 높은 농도로 생성되었다. 배지의 당농도를 1/2로 줄이고 $27^{\circ}C$ , 명조건으로 6일간 배양한 후 1OOmg/P 의 yeast elicitor를 첨가하여 8시간을 암 상태와 lOoe로 저온처리를 실시하여 6일간 배양한 결과 8일 이후에는 세포의 생육이 감소하였고 정유 생성량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menthol도 생생되지 않았다. Dry cell yield는 O.38g dry cell/g sugar이 였으며 specific growth rate은 O.25day-1 이었다. 회분배양에 의해 박하정유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으 냐 menthol이 생성되지 않고 전구체인 pulegone과 p piperitone이 축적되였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yeast elicitor를 첨가한 경우 menthol이 22.5%로 생성되 었는데 이제까지 박하세포 배양에 의해 생성된 men­t thol 함량으로는 최대치를 보여주는 결과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