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uses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Levenberg-Marquardt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내버스 지연요소 추정 (Estimation of City Bus Delay Element using Levenberg-Marquardt)

  • 이진우;이현미;이현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3-498
    • /
    • 2017
  • 최근 국내 외에서 버스운행의 효율화 및 D2D(: Door to Door)서비스, 대중교통의 자율주행을 위해 교통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분석결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 특히 버스 지연시간의 예측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단순분석,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현재까지의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요일, 날씨, 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 가공하여 지연시간 추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변수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율주행 대중교통 및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다.

AGT와 버스의 혼용시스템에 대한 고찰 (Review of Intermodal System of AGT and Bus)

  • 목재균;장세기;윤희택;우윤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58-63
    • /
    • 2003
  • This study shows the functional contribution in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congestion area. And there is a introduction for the rapid bus transit developed in Europe community. It can be classified the public transportation as urban transit, subway and bus. For a few years, it has been introduced the AGT system as a role of the alternative and lengthening system of subway line. Recently, there is going on construction of AGT system in some regional cities. The AGT system has advantage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cost-effective rather than subway. But the bus system is advantageous at the points rather than AGT system. It is obvious that the bus system is most cost-effective for infrastructure and system rather than any other public transports. If the bus system has punctuality and precise docking, that becomes best cho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scheme. There are tries to develop new systems by means of the f1les up the advantages in bus and AGT system, which can be classified as BRT(Bus Rapid Transit}. The idea is simple; 'Thirik rail, use advanced buses.' It is introduced the IRISBUS system at this article, which was developed in Europe community. And it is introduced the project architecture to develop the similar system to IRISBUS in KRRI through National Transportation Key Technology R&D Project

  • PDF

교통약자의 거주 분포와 통행특성을 고려한 저상버스 노선 선정 - 부산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Low-Floor Bus Route Selection Considering a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A Case of Busan -)

  • 박지호;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3
    • /
    • 2015
  • 고령인구와 장애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증가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보장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정부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법제도적 측면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일부개정 하였다. 개정된 법 내용에는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기준과 설치대상 지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운행노선 조정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교통약자의 통행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채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거주분포와 통행목적을 분석하여 현재 운행하고 있는 저상버스 노선을 교통약자의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상버스 노선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약자 거주분포의 분석지표로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뉴딜 자료를 활용하였고, 통행목적의 분석지표로는 교통약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교통약자 셔틀버스 노선현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약자의 이동수요가 높고,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A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동수요는 낮으나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C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통약자의 통행수요와 저상버스 운행노선 현황이 상당 부분 불일치하며, 비효율적인 저상버스 배치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행 중인 저상버스 노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고자한다.

버스운송 수익증대를 위한 버스 외부광고 활성화 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Strategies to Revitalize Bus Exterior Advertisement for Enhancing Bus Transportation Profits: Focused in Seoul)

  • 임광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4권3호
    • /
    • pp.361-373
    • /
    • 2024
  • 국내 버스 외부광고는 1988년 서울올림픽 운영자금 조달 목적으로 1985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버스 외부광고의 방법(시트지 부착), 면적 및 부착위치에 관한 규정은 많은 기술의 발전에도 지금까지 거의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되어 버스 외부광고의 수익성, 효율성 등의 성장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시 기준 2006년 대비 2019년(코로나 영향 이전) 대중교통 통행량 중 철도는 23 % 증가된 반면, 버스는 10 % 감소되었다. 이에 버스 재정 지원금액도 최근 5년(2018~2022) 평균 약 4,500억 원으로 과거 10년(2013~2022) 평균 대비 약 1.27배로 빠르게 증가하였다. 버스운송 기관의 수입은 운임 81.1 %, 서울시 보조금 17.5 %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운임 외 수익 비중 확대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 외부광고에 대한 기능 확대(광고 면적 확대)를 운임 외 수익 증대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버스 외부광고 규제를 개선하고, 광고면적을 현재 보다 17 %, 94 % 각각 증가시키는 대안을 설정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수익이 최소 32억 원에서 최대 539억 원까지 증가될 수 있고, 재정지원금은 최대 11.9 %까지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 외부광고에 대한 적극적인 규제 개선과 기능 강화는 운송수입의 다변화와 공공 보조금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노선버스 영향을 고려한 트램사업 투자평가방법론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Methodology for Appraising Tram Projects Considering the Effect of Buses)

  • 최지호;정성봉;배태희;명묘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85-91
    • /
    • 2021
  • 트램은 타 경전철과는 달리 도로에서 자동차와 혼용운행이 가능하다는 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베를린, 뮌헨, 파리, 리스본 등 국외에서는 노선 버스와 일부 노선 및 정거장을 공유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현재 투자평가제도 상에서는 교통수요예측 및 편익산정 시 트램을 경전철 중 하나의 수단으로 구분하고, 도시철도의 분석방법론을 준용하고 있으나, 노선버스 특성과 유사한 트램사업 중 비수도권 사업의 경우 KTDB 배포자료에 노선버스의 O/D 및 Transit Line을 제공하지 않아 사업노선 주변 노선버스에서의 수단전환 등의 통행행태를 반영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현재 비수도권 사업에서 고려되지 않고 있는 노선버스가 트램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황 검토 및 문제점을 도출한 후, 노선버스 반영 여부에 따른 트램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여, 수요예측 및 편익산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투자평가체계 개선을 통한 트램사업 도입여건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RT 정류장 형태에 따른 버스 우선 신호 효과 분석: 세종시 한누리대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us Signal Priority Effect by BRT Stop Types: Focusing on Hannuri-daero, Sejong)

  • 김민지;한여희;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0-33
    • /
    • 2021
  • 현대 사회는 한정된 도로로 증가하는 교통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대중교통 장려 정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버스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치가 확대함에 따라 버스의 신속성 보장을 위한 우선 신호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버스 운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BRT 정류장 형태는 버스의 정지횟수를 증가시켜 버스 우선 신호 적용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시 한누리대로를 분석 대상지로 하여 BRT 정류장 형태에 따른 버스 우선 신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버스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류장 형태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버스 우선 신호는 일반 차량과 버스의 양방향 연동폭을 최대화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버스의 이중 정차를 야기하는 정류장에서 버스 우선 신호의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를 개선 후 우선 신호의 효율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도시에 BRT 정류장 설계 시 교통운영 측면을 고려한 올바른 정류장 형태의 근거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수소버스 연료장치 안전성 평가 및 검사기술에 대한 투자 편익 분석 (Investment Benefit Analysis of Safety Assessment and Inspection Technologies of Hydrogen Bus Fuel System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 임서현;장정아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52
    • /
    • 2022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expanding the supply of hydrogen vehicles according to the roadmap for vitalizing the hydrogen economy, but is developing safety assessment and inspection technology for the relevant vehicles. This study analyzed the prevention of hydrogen bus accidents' economic effect that arises from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large-capacity CHSS oil pressure repetition-test assessment technology, hydrogen bus internal chamber pressure transmission and emission volume inspection technology, among various technologies capable of assessing the safety of a hydrogen bus fuel system. To this en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one of the value evaluation methods of non-market goods, was applied to investigate users' willingness to pay for each inspection technology. The survey for users' willingness to pay was conducted by attaching posters to promote surveys on the internet and within buses to the entire publ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WTP of the hydrogen bus internal chamber pressure transmission volume inspection technology was 25.3 KRW, the average WTP of the hydrogen bus internal chamber pressure emission volume inspection technology was 18.6 KRW, and the average WTP of the large-capacity CHSS oil pressure repetition-test assessment technology was measured at 16.7 KRW. In addition,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relevant inspection technology were defined through the interviewing of experts at 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and businesse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conomic analysis (4.5%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ach inspection technology, economic feasibility was seen in all assessment and inspection technologies. As much as the technology is indispensable for the safe use of hydrogen buses, it shows that investment in related technology is very necessary in the future. However, because it was decided that the relevant analysis will differ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e of hydrogen buses, further analysis following this future distribution rate of hydrogen buses is needed, and future users should be made clearly aware of the safety and environmental nature of the technology.

서울 일부 지역 교통수단의 실내 공기질 평가 (Assesment of Indoor Air Quality within Public Transport Vehicles operating in specified locations throughout Seoul)

  • 손종렬;최달웅;최정숙;우완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1호
    • /
    • pp.12-20
    • /
    • 2006
  • This paper was conducted concerning the degree of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transport vehicles such as taxicabs, buses and subway trains, as sampl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rivers and passengers in Seoul between 13th August 2005 and 2nd November 2005.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measured substances especially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s ($PM_{10}$), total bacteria counts (TBC) and carbon dioxide ($CO_2$) exceeded the standard level of $150{\mu}g/m^3,\;800CFU/m^3$ and 1000ppm. 2.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_2$) in taxi recorded 2491ppm, which is more than the standard amount of 1000ppm. This level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all other public transportation methods. Total bacteria counts (TBC) in bus and subway recorded $1082CFU/m^3\;and\;1856CFU/m^3$, respectively. 3. The drivers who regularly work long hours showed the higher concern about contamination of the air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and they considered it to be worse than the air outside. In contrast, the general public showed less concer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However, they too acknowledged that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was poor. In regards to the degree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a counterplan must be implemented urgently to effectively combat the excessive levels of $PM_{10}$, microorganism and $CO_2$. We need to gather more conclusive evidence pertaining to other possible contaminants and influencing factors.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of a Semi-Public Management System of Intra-City Bus Service on the Decrease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Attitude Change of Intra-City Bus Drivers)

  • 최재원;정헌영;장석용;김광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3-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여 좋은 성과를 이루고 있는 부산시를 통해 부산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와 시행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시간적, 공간적, 시내버스 교통사고 요인별 추이 및 특성을 파악한 결과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 시내버스 운전자의 교통법규위반감소 요인별 분석과 교통사고 감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 각각 안전운전의무불이행 위반 감소와 고용 안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정도와 변화 요인 분석을 파악하였다. 금번 연구를 통하여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의 사고저감 효과분석과 함께 시간경과에 따른 문제점 분석 및 대책을 마련할 수 있었다.

운행 중 대중교통차량 내 부유진균 농도 분석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in Public Transportation during Operation)

  • 김홍기;조은민;전보일;이정훈;김호현;권혁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7-763
    • /
    • 202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in public transportation from autumnl 2016 to summer 2017.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on six subway lines and intercity buses in Seoul.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fungi in the air in public transportation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standard (500 CFU/㎥) for vulnerable group facilities among public use facities. In summer,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autumn.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in subway (252.0 CFU/㎥) and train (45.1 CFU/㎥) were high tendency during non-rush hours in summer, while intercity bus was hightendency during rush hours in summer (111.9 CFU/㎥). The major types of airborne fungi in public transportation were Cladosporium, Penicillium, and Aspergillus. Conclusions: The harmful airborne fungus were detected though they did not exceed the standard in all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further studies on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airborne fungi by ventil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ndoor environments are needed to propose effective management of airborne fungi in public trans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