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Examin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 Lee, Ji-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5-7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cedural/conceptual nature of examples. Fifty-four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ngaging in two-phase tasks.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geared toward putting 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procedural understanding; but (b) Generally, procedure-oriented strategies were more frequently incorporated in participants' potential teaching plans. This implied that participants' preconceived ideas regarding math examples were not always reliable indicators of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are discussed.

Understanding Whether and How Prospective Teachers Support Elementary Students to Compare Multiple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s

  • Byungeun Pa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5-61
    • /
    • 2023
  • Number talks as a brief instructional routine benefits students and teachers. In general, the routines consist of four steps- introducing, posing questions, collecting answers, sharing ideas. This paper focuses on the sharing ideas step in which multiple strategies are shared by students because teachers sometimes do not know what to do with these multiple ideas. One way i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given that teachers are expected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strategies in number talk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nd how 15 prospective teachers supported students in their practicum classroom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 In this paper, 15 videos of number talks enacted by the prospective teachers were collected. Analyzing the videos produced multiple episodes in relation to comparing strategies, including 1) where prospective teachers created pre-conditions for comparison, 2) where they invited students for comparison, 3) where they pressed students to compare, and 4) where they offered their own way to compare. There were two patterns that might limit the potential of having multiple strategies as conditions for comparison.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at even though the prospective teachers missed opportunities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there were two ways for teacher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to support prospective teachers.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 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91-511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교사교육에서 한국수학사의 교육적 적용을 탐색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그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과 조선산학 프로그램이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산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88명을 포함한 총 17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수학사 활용의 실태, 효과, 개선방안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한국수학사의 활용을 수학사의 활용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에 한국수학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문화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은 후순위로 조사되었다. 한편 교사교육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전체 54개 문항 중 2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교사교육 참여경험이 인지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교육이 한국 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한국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의 활성화에 주요 변수임을 의미한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현장학습 운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와 개선 방안 (The Effect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Program for Cultivating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to Manage Science Field Trips)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45-3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improvements of the 'Science Field Trips' Program which developed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manage science field trips. The participants were 13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geological field trip as an experiential activity,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tific knowledge'(69.2%), 'science related attitudes'(46.2%), and 'science inquiry'(30.8%). Secon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eological field trip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in the future,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teaching strategies'(92.3%), 'plan implementation'(76.9%), 'teacher's science knowledge'(61.5%), 'self-confidence'(38.5%),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and 'career guidance'(7.7%).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ir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in their future working districts,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ce knowledge'(38.5%), 'science-related attitudes'(38.5%), and 'science inquiry'(23.1%). Fourth, regarding the effectiveness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of the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plan implementation'(92.3%), 'the identification of science field trip sites'(84.6%), 'teaching strategies'(76.9%), 'administrative affairs'(69.2%), 'teacher's science knowledge'(30.8%),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career guidance'(15.4%), and 'self-confidence' (15.4%). The improvements plans of the program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s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한미 초등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수학 교수의 학습 기회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f Curricular of Teacher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Opportunities to Learn Teaching Mathematic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55-572
    • /
    • 2014
  • 본 고는 초등 교사를 위한 한국의 12개 교사교육대학과 미국의 9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전문직 교육으로서 한국의 수학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교육의 목적,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대학이 제공하는 강좌 구성, 그리고 수학 교수의 학습 기회의 네 가지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나라의 교육과정은 교과목 지도를 특히 강조하며,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학력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두 나라의 초등교사 교육과정을 전체 구조는 유사하지만, 수학교수의 학습기회라는 관점에서 교육과정이 제공하는 내용은 매우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두 나라의 교육 및 교사에 관한 매우 다른 사회문화적 관점과 상황 때문에 다른 교사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그러나, 여러 연구 결과에서 증명하듯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은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및 교사들의 교수와 결정적 관련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안정된 체계로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의 교사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교수를 위한 수학 지식을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 PDF

식품 위해에 관한 서울지역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 수준 조사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Food Risk in Seoul)

  • 진대일;김정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3-64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food risk with the goal of providing the ways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ood risk.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offered to 307 freshman and sophomore in an elementary teacher-cultivating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ies,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NA with a deviation level of 5%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ast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purchasing food (54.4%), and 'Manufacture date/expiration date' (67.0%) was checked first before food was purchased. The respondants viewed food additives (66.8%) followed by environmental contaminants (17.6%) as the most dangerous factors for food consumption. Even though they did not know the actual level of risk these factors posed to food, they still perceived them as dangerous. Most of them did not have any educational experiences on food risk, and if any,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were TV (46.6%) and the internet (19.5%). And, they did want to have information on food risk through TV, radio (41.1%) and the internet(16.4%).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bjects who have great potential to influence children appeared not to have sound knowledge or a balanced perception of food risks.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rospectiv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food risk communication.

분수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개선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ing Sequence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 조진석;김성준;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들의 학교수학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를 배치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제시된 순서와 일치한 경우는 없었지만 이러한 활동은 예비교사의 인식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인식과 교육과정의 차이 그리고 서로 간의 인식이 다름을 확인하면서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분수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에 내재된 수학적 관계를 알 수 있었고, 연산 지도에서 학생들의 사전 지식과 생각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생산적 실패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 (Examin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mments on the Mathematics Class -)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79-296
    • /
    • 2008
  • 본 연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이수 기간이 서로 다른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논평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관점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에서 수학교육을 심화로 전공하고 있는 3학년 예비교사들과 4학년 예비교사들에게 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업 논평문을 작성하도록 한 후, 그 수업 논평문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수업 관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4학년 예비교사들은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한다는 점에서 3학년 예비교사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4학년 예비교사들은 3학년 예비교사들에 비해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그리고 더욱 심층적으로 수업을 논평하였다. 한편, 4학년 예비교사들이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할 때, 일부 이론에 대해서는 그 이론이 지향하는 본질의 범위를 과도하게 확장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신념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Learning)

  • 김진호;강은경;김상미;권성룡;박만구;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49-64
    • /
    • 201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의 본질 및 수학 학습에 대한 수학적 신념 및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개 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초등예비교사 399명(여학생 283명, 남학생 116명)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된 문항은 2008년에 실시한 TEDS-M의 신념 관련 연구에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성별, 학년별, 교육대학교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 하였다. 먼저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신념이 각 그룹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후 Duncan의 사후 검증 및 Tukey의 HSD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은 수학이 이미 만들어진 결과인 지식과 절차로 보는 것보다는 탐구의 과정이 수학적 본질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 측면에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사지시'에 대해서는 교수 행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반면,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에서 수학을 '탐구의 과정'으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이 '주도적 학습'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고, 수학을 '규칙과 절차'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은 '교사 지시'여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양성프로그램에서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초등수학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민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교원양성프로그램에 있는 예비교사들이 수학과에서의 전반적인 ICT활용 교육을 이해하고 수업설계 부분을 강화한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경험을 통하여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ICT활용 교육에 관한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충북 H 대학과 서울 E 대학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필수과목인 초등수학교육방법에 관한 강좌에서 수학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의 ICT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과정안에 관한 비평 능력을 키우며 체계적으로 초등수학 5학년과 6학년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ICT활용 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며 연구 개발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서의 ICT활용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