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longation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9초

Efficacy of Low Dose Barbiturate Coma 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Intractable Intracranial Hypertension Using the $Bispectral^{TM}$ Index Monitoring

  • An, Hung-Shik;Cho, Byung-Moon;Kang, Jeong-Han;Kim, Moon-Kyu;Oh, Sae-Moon;Park, Se-Hyuc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4호
    • /
    • pp.252-257
    • /
    • 2010
  • Objective : Barbiturate coma therapy (BCT) is a useful method to control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patients. However, the complications such as hypotension and hypokalemia have caused conditions that stopped BCT early. The complications of low dose BCT with $Bispectral^{TM}$ index (BIS) monitoring and those of high dose BCT without BIS monitoring have been compar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ow dose BCT with BIS monitoring. Methods : We analyzed 39 patients with high dose BCT group (21 patients) and low dose BCT group (18 patients). Because BIS value of 40-60 is general anesthesia score, we have adjusted the target dose of thiopental to maintain the BIS score of 40-60. Therefore, dose of thiopental was kept 1.3 to 2.6 mg/kg/hour during low dose BCT. However, high dose BCT consisted of 5 mg/kg/hour without BIS monitoing. Results : The protocol of BCT was successful in 72.2% and 38.1% of low dose and high dose BCT groups,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s such as QT prolongation, hypotension and cardiac arrest have caused conditions that stopped BCT early. Hypokalemia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rate in complications of both BCT. The descent in potassium level were $0.63{\pm}0.26$ in low dose group, and $1.31{\pm}0.48$ in high dose group. The treatment durations were $4.89{\pm}1.68$ days and $3.38{\pm}1.24$ days in low dose BCT and high dose BCT, respectively. Conclusion : It was proved that low dose BCT showed less severe complications than high dose BCT. Low dose BCT with BIS monitoring provided enough duration of BCT possible to control ICP.

Immunomodulating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nellus serotinus Polysaccharides

  • Kim, Jeong-Hwa;Lee, Jae-Seong;Lee, Kyung-Rim;Shim, Mi-Ja;Lee, Min-Woong;Shin, Pyung-Gyun;Cheong, Jong-Chun;Yoo, Young-Bok;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81-188
    • /
    • 2012
  •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in methanol, neutral saline, and hot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 MeOH, Fr. NaCl, and Fr. HW, respectively)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anellus serotinus. Content of ${\beta}$-glucan and protein in Fr. MeOH, Fr. NaCl, and Fr. HW extracts of P. serotinus ranged from 22.92~28.52 g/100 g and 3.24~3.68 g/100 g, respectively. In vitro cytotoxicity tests, none of the various fractions of crude polysaccharides were cytotoxic against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cell lines at the tested concentr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resulted in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23.53~44.71%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reatment with Fr. HW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1.3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with Fr. NaCl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by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4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Among the three fractions, maximum nitric oxide ($13.48{\mu}M$) was recorded at $500{\mu}g/mL$ in Fr. HW.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concanavalin A, at the tested concentration. Therefore, treatment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P. serotinus could result in improvement of antitumor activity.

Brugada 심전도 양상을 포함한 이미프라민에 의한 독성 부작용 1예 (A case of imipramine induced toxicity with Brugada electrocardiographic pattern in a toddler)

  • 최우연;박수민;한의정;김영남;조영국;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232-1235
    • /
    • 2008
  • 삼환계 항우울제의 하나인 이미프라민은 우울장애와 야뇨증, 불안장애, 신경성 통증에 쓰인다. 그러나 이미프라민을 포함한 삼환계 항우울제는 많은 부작용이 관찰되는 데, 항콜린성 작용으로 초기에 입이 마르고 동공산대, 소변 정체, 동성빈맥을 보인다. 또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섬망, 불안, 초조, 환각, 경련, 혼수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부작용 보다도 치명적인 것인 삼환계 항우울제에 의해 소디움 채널 차단으로 인한 부정맥이다. QRS파의 연장과 QTc 연장, 넓은 QRS파 빈맥, Brugada 심전도 양상이 나타나며 이런 현상은 중탄산 나트륨을 통해 나트륨을 대량으로 공급하여 회복시킬 수 있다. 이미프라민을 포함한 삼환계 항우울제에는 아직도 널리 쓰이고 있지만 지금까지 소아에서 부정맥이 부작용으로 나타난 증례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미프라민 과량복용 후 경련, 넓은 QRS파를 보이는 빈맥, Brugada 심전도 양상, 무뇨를 보인 환아를 경험, 치료하여 이를 보고한다.

Escherichia coli 와 Salmonella typhimurium 의 생육억제에 미치는 식염과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의 병용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Benzoate with sodium Chloride on the Growth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 조남숙;양여영;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9-254
    • /
    • 1986
  •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하여 TGY, TSB (pH 6)의 액체배지에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를 각각 최고 허용농도의 1/2량인 0.1%, 0.03%로 처리하고 식염을 내염성 기준 농도인 2%로 첨가하여 보존료의 단독 및 병용효과와 식염과의 상승효과를 진탕 및 정치배양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E. coli는 진탕배양보다 정치배양하였을 때 보존료의 단독 혹은 병용효과가 더 컸으며 S. typhimurium은 보존료를 단독처리하였을 때에는 억재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병용처리의 경우에 진탕배양에서는 정균효과를 현저하게 나타내었고 정치배양에서는 유도기를 연장시켰다. 식염의 첨가는 E. coli의 경우, 진탕배양에서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정치배양시에는 potassium sorbate 단독처리구 및 potassium sorbate + sodium benzoate병용처리구에서 항균작용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식염의 상승효과는 S. typhimurium의 경우에 더욱 현저하였는데 진탕 및 정치배양시에 두 보존료와 식염의 혼합구에서 배양 중의 세균수는 오히려 초기농도보다 점점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김치숙성과정 중의 Enzyme System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zyme System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희옥;김유경;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
    • /
    • 1991
  • 본 연구는 숙성과정에 관여하는 enzyme system을 밝힘으로써 이들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국물에서의 pectinestlrase (PE)활성은 담금 초기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여 적숙기 이후에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김치고형분내의 PE활성은 김치제조 후 첫날에 최고 활성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2. 김치국물의 polygalacturonase (PG)활성은 김치 제조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여 활성이 거의 없어진 후(pH 4.0이하) 김치숙성 말기에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김치고형분의 경우, 담금 초기부터 감소하여 활성이 없어진 후 김치국물과 같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3. 김치국물내 peroxidase (POD)활성은 김치제조 후 증가하여 제 5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후 감소하였으며, 김치고형분의 경우엔 지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여주었다. 4. 김치에 ascorbic acid oxidase (AAO)가 존재하였으며, 김치국물내 AAO의 활성은 약간 감소한 이후 상승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고, 김치고형분은 AAO활성이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김치국물내 효소들의 활성이 김치제조후 약간의 상승을 보이는 이유는 김치 고형분에서의 유출효과로 생각된다. 각 효소들이 김치숙성후기에 소멸되는 현상은 pH감소와 제조일 증가에 따른 불활성화 때문으로 생각되며, 김치숙성후기에 PG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은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 때문일 것이다.

  • PDF

미생물(微生物)을 이용(利用)한 대두단백질분해이용연구(大豆蛋白質分解利用硏究) (Studies on the Digestion of Soybean protein by Aspergillus sojae)

  • 김재욱;조무제;김상순;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19-24
    • /
    • 1969
  •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生産)되고 특히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많은 대두(大豆)로 부터 단백질(蛋白質)을 용출(溶出)하여 새로운 대두식품(大豆食品)을 만들고저 증자대두(蒸煮大豆)에 적당량(量)의 밀을 가(加)하여 Aspergillus sojae를 접종배양(接種培養)시켜 이것이 분비(分泌)하는 Portease에 의(依)하여 대두중(大豆中)의 단백질(蛋白質)을 Amino 산(酸) 내지 peptide형태(形態)로 분해용출(分解溶出)시키는데 있어서 최적용출조건(最適溶出條件)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료배합(原料配合)(대두(大豆)+소맥(小麥))비(比)에 따른 단백질용출량(蛋白質溶出量)은 단위(單位) 원료당(原料當) 총용출단백질양(總溶出蛋白質量)은 콩만을 원료(原料)로한 것이 가장 많았고 용해율(溶解率)은 양자 등양배합비(等量配合比)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나 총용출단백질양(總溶出蛋白質量)과 용해율(溶解率)을 더하여 생각할 때 콩과 밀이 10:4의 배합(配合)이 가장 적당하다. 2. 가수량(加水量)에 따른 단백질 용출량(溶出量)은 가수량(加水量)이 많을수록 용출량(溶出量)도 많았으나 용출후(溶出後) 농축(濃縮)할 것을 고려하면 6배(倍)(V/pH) 정도의 가수량(加水量)이 적당하다. 3. 소화(消化) pH는 $5{\sim}8$ 정도로 하는 것이 용출량(溶出量)이 높으며 보통의 수도물을 그대로 사용함이 용출후 중화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적당하다. 4. 소화온도(消化溫度)는 $40{\sim}45^{\circ}C$ 용출기간(溶出期間)은 18시간(時間)이 적당하다. 5. 식염첨가(食鹽添加)는 부패방지기간(腐敗防止期間)을 연장시킬 수 있으나 단백질용출량(蛋白質溶出量)은 감소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상기(上記)의 최적 조건으로서 시료중(試料中)의 총단백질(總蛋白質)에 대(對)하여 70%까지 용출(溶出)이 가능하였다.

  • PDF

질편모충 단백질분해효소의 세포독성 및 인체면역글로불린 분해능 (Degradation of human immunoglobulins and cytotoxicity on HeLa cells by live Trichomonas vaginalis)

  • 민득영;류재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39-46
    • /
    • 1997
  • 이 연구에서는 살아있는 질편모충의 단백질녈해효소가 인체 면역글로불린을 분해하는지 알아보고 질편모충에 의한 조직세포 독성에 있어서 단백질분해효소의 역할을 시험관내에서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질편모충은 질염환자로년터 분리한 KT9 분리주이었으며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표적세포로는 HeLa 세포를 사용하였다 질편모충 단백질분해효소가 인체 면역글로불린을 분해하는지 관찰하고자 인체의 분비 IP. 혈청 IgA 및 IgG를 살아있는 원충. 원충의 용출액 및 분비-배설 액과 DTT를 넣어 반응시켰다. 여러 계열의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aminopeptidase, serine, metallo, cystelrle계열)를 살아있는 질편모충과 미리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면역글로불린의 분해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및 조직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살아있는 질편모충은 인체의 분비 IgA. 혈청 IgA 및 IgG를 분해하였는데 질편모충 수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길수록 분해가 더 잘 이루어졌다 질푄모충의 용출액과 분비-배설액도 분비 IgA. 혈청 IgA 및 IgG를 분해하였다. Cysteine, serine계 열의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 (I-64 antipain, iodoacetic acid, iodoacetamide, TLCK)를 처리한 질편닐충은 분비 IgA의 분해를 저해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저해제로 처리한 경우 질편모충의 단백질븐해효소 활성은 감소하였고 HeLa세포에 대한 독성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질편모충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시험관내에서 조직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또한 인체면역글로불린을 분해하여 숙주의 방어기전에 대한 도피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eparin-Protamin Sulfate 상호작용의 실험적 연구

  • 김치경;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3-20
    • /
    • 1980
  • Heparin would have been used for preventing clotting of blood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and subsequent use of protamine sulfate and made possible the neutralization of heparin. This procedure has been adopted for eliminating one of the great causes of bleeding, especially in cardiac surgery. In this experiment, the hypocoagulability of blood induced by heparin followed by neutralization with treatment of protamine sulfate were estimated by the Lee-White clotting time [CT],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 and protamine titrat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clotting time between the heparinized [2.0 mg/kg] and non-heparinized dogs was done using CT and PT`I` of the blood. In heparinized group [Group I], the CT lasted infinitively and prolongation of PTT [4 times than normal] until 60 minutes. The CT [2 times] and PTT [3 times] has been shortened after 90 minutes, however they returned to normal limit level within 180 minutes. 2] The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ratio of heparin and protamine In vivo were performed. The group II [heparin 2.0 mg/kg, protamine 1.0 mg/kg] revealed rapid decrease of CT and PTT, but returned to normal after 120 minutes. The group III [heparin 2.0 mg/kg, protamine 2.0 mg/kg] returned rapidly to normal within 15 minutes. The group IV [heparin 2.0 mg/kg, protamine 3.0 mg/kg] recovered its normal level after 60 minutes. The group V [heparin 2.0 mg/kg, protamine 4.0 mg/kg] recovered its normal level after 90 minutes. 3] In the combined experimental study In vivo and vitro, the protamine titration test was done using the dog which were given 2.0 mg/kg and 3.0 mg/kg of heparin, respectively and coagulation time were checked after 15, 30, 60 and 120 minutes. The complete neutralization was showed to be heparin-protamine ratio of 1:1 to 1.5. 4] In vitro study, fresh blood was drawn into known amount of heparin content [20, 40, 60 and 100/ug per 1 ml of blood] syringe, thereafter protamine titration test was done. In all cases, the complete neutralization was found in heparin-protamine ratio of 1:0.85 to 1.5. 5] It was found by the present experiment that the ideal heparin-protamine ratio was 1:1 within 60 minutes and 1:0.5 after 60 minutes for avoiding the serious side effect due to overadministration of protamine sulfate.

  • PDF

청각과 김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Sarcoma-180에 대한 항암효과 및 면역활성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 조경자;이영숙;류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45-352
    • /
    • 1990
  • 해조류 중 청각과 김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sarcoma-180 cell을 이용하여 항암 및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해조류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중 당의 함량은 청각과 김에서 각각 $62.26\%$$65.78\%$이였고 이를 구성하는 단당류는 fructos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단백질의 함량은 청각 $6.07\%$, 김은 $2.46\%$이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cysteine이였다. 항암 효과중 고형암 성장 저지 효과는 청각의 경우 50mg/kg을 투석 하였을때 $53.30\%$로 가장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었고, 수명 연장 효과는 김의 50mg/kg인 경우가 $17.35\%$로 가장 높은 수명 연장율을 보였다.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중 백혈구수는 청각의 경우가 $65.11\%$로 최고로 증가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복강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해 시료투여군이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무게도 시료투여에 의하여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혈액의 생화학적 성분분석은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상적인 마우스에서는 생체의 항상성유지 기능을 초원하지 않고 어떤 이상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 PDF

뽕나무버섯부치(Armillaris tabescen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Against Mouse Sarcoma 180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Armillaria tabescens)

  • 이건우;김혜영;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뽕나무버섯부치는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만성간염, 담낭염 및 암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맛이 좋은 식의약용 버섯이다. 뽕나무버섯부치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2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8.8{\sim}46.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에 비해 약 $1.8{\sim}2.1$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9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흥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