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line

검색결과 1,118건 처리시간 0.024초

Regulatory Characteristics of the Vibrio vulnificus putAP Operon Encoding Proline Dehydrogenase and Proline Permease

  • Lee Jeong-Hyun;Jeong So-Young;Choi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285-1291
    • /
    • 2006
  • The proline utilization (put) operon of Vibrio vulnificus consists of the putAP genes encoding a proline dehydrogenase and proline permease. The result of put-lux transcriptional fus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V vulnificus putAP operon is not autoregulated by the PutA protein. A putR null mutation decreased proline dehydrogenase activity and the level of the put transcripts, indicating that transcription of putAP is under the positive control of PutR.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tR was similar to those reported from other bacteria with high levels of identity. Chromatin IP and GST pull-down assays revealed that PutR specifically binds to the putAP promoter region in vivo, and interacts with CRP in vitro.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PutR exerts its effect on putAP expression by directly interacting with CRP bound to the upstream region of P$_{put}$.

Salicylic Acid and Water Stress Effects on Growth and Proline of Cucumber Seedlings

  • Lee, Gui-Soon;Kim, Tae-Yu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1호
    • /
    • pp.1165-1172
    • /
    • 2002
  • The effects of salicylic acid(SA) and water deficit on growth and proline accumulation were investigated in cucumber(Cucurmis sativus L.) seedlings. Exogenous application of SA(100 $\mu$M-1 mM) led to a noticeable decrease in root and shoot growth, and dry weight of seedlings. Anatomical observation on leaf of cucumber revealed that the thickness of all leaf tissue components decreased in SA-treated plants. The effect was most pronounced on the width of the adaxial epidermis. In the separate effects of SA(0, 100, 500 and 1000 $\mu$M) and water deficit induced by PEG(0, 4.4, 7.0 and 9.6 %) on growth, the water deficit treatments had greater effects on growth traits than SA. Combinations of SA and PEG(SA+PEG) decreased shoot and root dry matter, and root length. Proline increased slightly in SA-treated seedlings, but exhibited a marked increase in water deficit application. Combinations of SA+PEG induced higher proline in both shoots and roots than SA stress alone. Shoots had higher proline than roots. Our data support a role of SA potentiating the osmotic stress response of germinating cucumber seedling.

Xylenyl-L-proline 구리 (Ⅱ) 착물을 이용한 단실아미노산의 광학분리 (Optical Resolution of Dansyl Amino acids by Xylenyl-L-proline Copper (Ⅱ) Complex)

  • 이선행;오대섭;박분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6-84
    • /
    • 1990
  • 키랄이동상 첨가법으로 단실아미노산의 광학이성질체들을 분리했다. 두 가지의 xylenyl-L-proline 이성질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구리(Ⅱ)킬레이트로 만들어 이동상에 첨가하여 단실아미노산의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했다. 이 아미노산에 대한 용리거동은 benzyl-L-proline의 구리착물을 사용했을 때와 유사했다. 이동상에서 유기용매의 조성, 완충용액의 농도 및 pH에 대한 효과도 조사 검토했다. 분리메카니즘은 리간드 교환반응의 시스-트란스 효과의 삼성분착물과 정지상간의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인삼종자형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V. 고려인삼과 미국인삼 및 고려인삼과 죽절인삼 $F_1$의 화기 및 종자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Flower Organ and Seed in Ginseng Plant. IV.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he Flower and Seeds of the $F_1$ Plants of the Combinations Panax ginseng ${\times}$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ginseng ${\times}$ Panax japonicus.)

  • 황종규;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65-172
    • /
    • 1973
  • 종간, 속간의 잡종에서는 흔히 불임현상이 일어나는데 인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고려인삼(panax ginseng: P.G.)과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um: P. Q.) 그리고 죽절인삼(Panax japonicus: P.J) 간의 교잡육종에서 P.G.${\times}$P.J.에서만 아주 희귀하게 종자를 얻을수 있고 다른 종합에서는 전혀 잡종 제이세대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하므로 본실험에서는 P.G.${\times}$P.Q.와 P.G.${\times}$P.J.의 교잡종의 화기 및 종자형성중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을 추구함으로서 불임현상과 물질대사와의 관련성의 일단을 밝히고저 한다. 1. 두 교잡종의 시료에서 검출된 유리아미노산의 Chromatogram은 서로 유사한 pattern을 나타냈으며 그들의 양친이 나타내는 pattern과 유사하나 spot의 종류나 크기 정색도는 여러 가지 점에서 특이한 변화가 있다. P.G.${\times}$P.Q.에서 19종, P.G.${\times}$P.J.에서는 21종의 spot을 검출하였는데 전자에서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 alanine, Proline, Hydroxy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beta}$-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Asparagine, Glutamine, ${\gamma}$-Amino butyric acid를 확인하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한 것 외에 Methionine과 한 개의 미지 spot를 얻었다. 2.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c acid와 Asparagine이 전체적으로 보아 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은 P.G. P.Q. P.J에서와 같으나 Asparagine이 소포자기와 화분성숙기에 최다량으로 나타나는 것은 이들의 양친의 경우에는 보지 못했던 특이한 일이다. 3. 홍숙기에 Cysteic acid가 감소되는 것은 P.Q. P.J.의 경우와는 유사하나 P.G의 경우와는 반대되는 현상이며 P.G.${\times}$P.J.에서 Methionine이 검출된 것도 특이하다. 4. Proline은 그들의 양친의 경우와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소포자기에서 아주 미약한 정색을 나타낼뿐이며 이 때에 Asparagine의 spot가 가장 크고 강한 정색을 나타내었는데 이제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Proline의 양과 화분의 임성과는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런 관계가 인삼 종자 형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Proline이 결핍될 때 Asparagine의 축적이 있다는 많은 보고도 있다. 5. 교잡종에서의 결실불능의 원인을 Proline의 과소에 의한 것으로 보며 Proline이 약의 화분퇴화와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찰된다. 6. 그밖에 여러 아미노산의 소장이 P.G. P.Q. P.J. 등의 자식계와 그들과의 잡종사이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생기는 것은 교잡에 의한 Gene-action system의 변혁에 따른 결과라고 추찰되는 것으로 Proline의 대사 및 생리적 영향과 더불어 보다 깊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봄무우 유식물에서 카드뮴 운반계와 Proline 농도 변화의 분석 (Analysis of the Transport System of Cadmium and the Change of Proline Content in Spring Radish Young Plant)

  • 박선영;박면용;조봉희
    • 분석과학
    • /
    • 제9권2호
    • /
    • pp.134-138
    • /
    • 1996
  • 봄무우 유식물에서 $Cd^{2+}$ 은 자엽, 줄기와 뿌리에서 그의 독특한 운반자를 통해서 세포 내로 수송되었다. $Cd^{2+}$의 수송은 대사 방해물질인 DNP에 의해 방해되었다. $Cd^{2+}$의 운반자에 대한 $K_m$ 값은 자엽은 0.77ppm, 줄기는 1.72ppm, 뿌리는 0.33ppm이고, $V_{max}$는 자엽에서 $400ppm{\cdot}h^{-1}{\cdot}g{\cdot}fresh\;weight^{-1}$, 줄기에서는 $313ppm{\cdot}h^{-1}{\cdot}g{\cdot}fresh\;weight^{-1}$, 뿌리에서는 $606ppm{\cdot}h^{-1}{\cdot}g{\cdot}fresh\;weight^{-1}$이다. 봄무우 유식물에서 $Cd^{2+}$은 세포내에 proline의 축적을 유도시키지 못했다. 그러므로 세포내에 proline의 축적을 환경오염의 척도로 사용할 수 없다.

  • PDF

Enhanced proline accumulation and salt stress tolerance of transgenic indica rice by over-expressing P5CSF129A gene

  • Kumar, Vinay;Shriram, Varsha;Kishor, P.B. Kavi;Jawali, Narendra;Shitole, M.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37-48
    • /
    • 2010
  • [ ${\Delta}^1$ ]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P5CS) is a proline biosynthetic pathway enzyme and is known for conferring enhanced salt and drought stress in transgenics carrying this gene in a variety of plant species; however, the wild-type P5CS is subjected to feedback control.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a mutagenized version of this osmoregulatory gene-P5CSF129A, which is not subjected to feedback control, for producing transgenic indica rice plants of cultivar Karjat-3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We have used two types of explants for this purpose, namely mature embryo-derived callus and shoot apices. Various parameters for transformation were optimized including antibiotic concentration for selection, duration of cocultivation, addition of phenolic compound, and bacterial culture density. The resultant primary transgenic plants showed more enhanced proline accumulation than their non-transformed counterparts. This proline level was particularly enhanced in the transgenic plants of next generation ($T_1$) under 150 mM NaCl stress. The higher proline level shown by transgenic plants was associated with better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performance under salt stress and lower extent of lipid peroxidation, indicating that overproduction of proline may have a role in counteracting the negative effect of salt stress and higher maintenance of cellular integrity and basic physiological processes under stress.

Effect of Proline on First Polar Body Formation in Porcine Primary Oocyte

  • Oh, H. J.;Lee, E. J.;B. C. Yang;W. K. Chang;Kim, J. S.;J. K. Lim;Y. K. Yeo;M. A. Della-Fera;Park, Y. 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5-171
    • /
    • 2002
  • 난포액에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나 화학적 성질이 정확히 알려져 있지않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난모세포에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난포액 성분을 화학적으로 동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돼지 난포액을 methanol로 추출한 다음이 추출물을 Superose 12 및 Superdex column을 이용 연속적으로 분리하였으며, Superdex 분절은 PITC로 처리한 다음 아미노산 분석용 column을 이용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포액은 1차 난모세포에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난포액에서 추출 분리한 Superdex분절 RV2.11 역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분절 RV2.11은 proline으로 추정되며, proline은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난포액에는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성분인 proline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2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질산환원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변화와 유리 Proline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Drought-Resistance of Major Food Crops I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Activity of Nitrate Reductase and Protease, and the Accumulation of Free Proline in Barley and Wheat at Seedling Stage)

  • 최원열;민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5
    • /
    • 1982
  •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저항생리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후 10일된 유묘기(본엽 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를 하여 질산환원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 그리고 proline축적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42%이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73%였으며, 이에 반하여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무려 10배나 증가하였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대맥 < 2조대맥ㆍ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가장 낮았다. 3.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이조대맥 < 대맥 < 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높고 과맥이 가장 낮았다. 4. 단수구의 proline의 축적색대량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대맥 < 호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소맥과 대맥이 높았으며, 대조구에 대한 단수구의 증가비는 호맥(13배) > 소맥ㆍ대맥(11배) > 과맥(9배) > 이조대맥(7배)의 순으로 호맥이 가장 높았다. 5.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효소적 및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맥 > 호맥 > 대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putAP Genes Encoding Vibrio vulnificus Proline Dehydrogenase and Proline Permease

  • Kim, Hye-Jin;Lee, Jeong-Hyun;Rhee, Jee-Eun;Jeong, Hye-Sook;Choi, Hyun-Kyung;Chung, Hee-Jong;Ryu, Sang-Ryeol;Choi,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18-326
    • /
    • 2002
  • The pathogenic marine bacterium Vibrio vulnificus is the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diseases such as life-threatening septicemia. To better understand this organism's strategies to survive osmotic stress, a mutant that was more sensitive to high osmolarity was screened from a library of mutants constructed by a random transposon mutagenesis. By a transposon-tagging method, putAP genes encoding a proline dehydrogenase and a proline permease were identified and cloned from V. vulnificus. The amino acid sequences deduced from nucleotide sequences of putAP from V. vulnificus were 38 to $59\%$ similar to those of PutA and PutP reported from other Enterobacteriaceae. Functions of putAP genes were assessed by the construction of mutants, whose putAP genes were inactivated by allelic exchanges. When proline as the sole carbon or nitrogen source was used, the putA mutant was not able to grow to the substantial level, revealing the proline dehydrogenase is the only enzyme for metabolic conversion of proline into other amino acids. Although the growth rate of the putP mutant on proline as the sole carbon or nitrogen sourc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mutant still grew. Thi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more proline permease is produced by V. vulnificus. The putP mutant decreased approximately $2-log_10$ CFU/ml after a hyperosmotic challenge, while the parent strain decreased approximately $l-log_10$ CFU/m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gene product of putP contributes to the osmotic tolerance of V. vulnificus.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ersinia enterocolitica의 성장에 미치는 glycine betaine을 비롯한 osmolyte의 영향 (Effects of Glycine Betaine and Related Osmolytes on Growth of Osmotically Stressed Yersinia enterocolitica)

  • 박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18-223
    • /
    • 1995
  • 고염분으로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ersinia enterocolitica ATCC 9610 세포내에 축적되는 osmolyte를 $^{13}C$ NMR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가장 강력한 osmolyte로 알려진 glycine betaine의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 enterocolitica ATCC 9610 세포내 농도 (801.9 nmol/mg protein)는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세포 (19.2 nmol/mg protein) 보다 41.8배 많이 검출되어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가장 주요한 osmolyte로 작용하였다. Proline도 284.8 nmol/mg protein의 농도로 검출되어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osmolyte로 작용하였다. Glycine betaine을 비롯한 각종 osmolyte가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 enterocolitica 세포성장에 미치는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Y. enterocolitica의 성장속도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2.5%의 NaCl이 첨가된 MMA 배지에 glycine betaine과 proline을 각각 첨가했을때, 1mM glycine betaine의 경우 osmolyte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성장속도가 3.6배 증가하였으며 5mM proline의 경우는 1.3배 증가하였다. Dimethylglycine도 2.5%의 NaCl을 첨가한 MMA 배지에 5mM의 농도로 첨가하였을때 대조구에 비해 성장속도가 3.1배 증가하였는데, monomethylglycine은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 enterocolitica의 성장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하였다. Carnitine은 2.5%의 NaCl이 첨가된 MMA 배지에 5mM의 농도로 첨가되었을때 대조구에 비해 2.4배 성장속도가 증가하였으며 choline은 성장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glycine betaine은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가장 주요한 osmolyte로 작용하며, proline, dimethyglyine 그리고 carnitine도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osmolyte로 작용하여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성장속도를 증가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