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ing condition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3초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Phyt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subtilis)

  • 고현정;추인호;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46
    • /
    • 2006
  • 단위 동물의 사료 내 phytate 인의 효율적 이용으로 배출되는 인의 양을 줄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phytate의 분해활성이 뛰어난 phytase 효소 분비 미생물을 탐색하기 위하며 우분으로부터 phytate 분해활성이 뛰어난 phyt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를 동정한 결과, API 50 CHB test에 의해 B. circulans로 분류되었고, 16S rRNA sequencing 결과, B. subtilis로 동정되어 Bacillus sp. CF 5-26으로 명명하였다.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배지 조성은 10% rice bran extract, 0.1%, whey protein powder, $0.01%\;CaCl_{2},\;0.01%\;KH_{2}PO_4$ 이었다. Bacillus sp. CF 5-26이 생산하는 phytase는 ethanol 침전, Sephadex G-100, CM Sepharose CL-6B, Sephacryl S-100-HR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도 20.3배, 수율 5.6% 정제되었고, SDS-PAGE에서 분자량 66 kDa의 단일 band를 확인하였다. 정제된 phytase는 pH 5.0, 7.0, 11.0에서 안정하였으며, $10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50%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기질 특이성은 inositol polyphosphate인 sodium phytate 분해활성이 뛰어났으며, tripolyphosphate와 pyrophosphate에도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p. CF 5-26이 생산하는 phytase의 sodium phytate에 대한 Km은 0.64 mM 이었고, Vmax는 $4.41{\mu}mol/min$ 이었다.

Study of pathogenicity and severity of Lactococcus garvieae isolated from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arms in Kohkilooieh and Boyerahmad province

  • Karami, Esmaeil;Alishahi, Mojtaba;Molayemraftar, Taravat;Ghorbanpour, Masoud;Tabandeh, Mohammad Reza;Mohammadian, Takavar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21.1-21.7
    • /
    • 2019
  • Background: Lactococcus garvie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in the rainbow trout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tect strains isolated from rainbow trout suspected of having Lactococcus garvieae using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CR and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severity of isolated strains. Methods: In this study, the cause of lactococcosis in selected rainbow trout farms in Kohkilooieh and Boyerahmad province was assayed. Gram-positive and catalase-negative bacterial isolates were first obtained from selected trout fish farms using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s and PCR assay. The 10-day LD50 method (concentration causing 50% mortality in 10 days) was used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the isolated bacteria. Results: One bacterial isolate was detected from all sampled fish which confirmed as Lactococcus garvieae using a specific PCR assay based on the 16S rDNA gene by producing a single band of 1107 bp. Analysis of the rate of mortality showed that the 10-day LD50 was 4.6 × 105 CFU/f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solated bacteria had high severity for rainbow trout. The presence of bacteria in internal organs of suspected fish showed a severe systemic infection in challenged fish. Antibiogram assay also indicated that the isolated Lactococcus garvieae were resistant to some mostly used antibiotics in rainbow trout. Conclusions: According to current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dition of lactococcosis in the studied area is not suitable, and despite the presence of disease, there is no proper action to control and prevent the disease. Unfortunately, isolated bacteria from the studied area have a very high severity compared to bacteria isolated from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or other countries.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is difference and possibly in the design of the vaccine.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Named Sourc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 김순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0-296
    • /
    • 2011
  • 모든 지명이 지니고 있는 명명 유연성은 지명과 공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암시하는 동시에 지명의 지리학적인 연구를 가능케 하는 기본 조건이다. 특히 지명 유연성은 지명을 생산하고 변경시키는 사회적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그 인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지명의 생성과 변천은 사회적 주체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의 재현, 나아가 이들 사이의 권력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실증하기 위해 필자는 공주목 진관 구역의 지명을 사례로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 분류와 그 안에 담긴 문화정치적인 의의를 살펴보았다. 공주목 진관 구역의 위치와 영역이 지닌 경계적이고 점이적인 성격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의 거주와 이동에 영향을 미쳤고 이들에 의한 다양한 지명 생성과 변천 경로를 양산하였다. 특히 공주목 진관 지명들은 전부 지명소의 영명 유연성에 따라 자연적 지명, 사회적 지명, 경제적 지명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들 유형의 지명이 명명되고 변천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사회적 주체 그들의 장소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거나 권력관계를 통해 지명을 변경하려 한 다양한 문화정치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 PDF

Biosurfactant 생산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Pseudomonas aeruginosa F722)

  • 정선용;오경택;강창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1-176
    • /
    • 2003
  • 생물계면활성제 생성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를 이용하여 다양한 배양조건과 배지조성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질소원과 탄소원을 검토하기 전에는 P. aeruginosa F722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은 0.78 g/l이었다. 하지만, 질소원과 탄소원을 검토한 후에는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이 2배 증가한 1.66g/l이었다. 무기질소원으로 $_NH4$Cl 또는 $NaNO_2$를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활성에 효과적이었으며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또는 tryptone을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활성이 높았다. 이중 무기 질소원으로 0.05% $NH_4$Cl , 유기 질소원으로 0.1% yeast extract를 질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최적이었다. 탄소원으로 소수성 기질(n-alkane) 또는 친수성 기질(glucose, glycol)을 첨가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을 조사하였는데 소수성 기질보다는 친수성 기질인 3.0% glucose를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이 높았다. 이때의 탄소원/질소원 비율은 17~20이었다. P. aeruginosa F722는 배양조건 3.0% glucose, 0.05% $NH_4$Cl, 0.1% yeast extract, $35^{\circ}C$, pH 7.0, C/N ratio 20, 5 days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은 1.66g/l이였다. 질소원이 결핍 후 탄소원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가 질소원과 탄소원을 함께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보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속도 및 균체 생장속도가 높았다. 최적 배양조건하에서 얻어진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30mN/m이었다.

고온성 알콜발효 효모의 Alcohol Dehydrogenase의 특성

  • 예상수;임시규;손호용;진익렬;이인구;김영호;서정훈;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6-390
    • /
    • 1997
  •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EC 1.1.1.1, alcohol:NAD oxidoreductase) of thermotolerant alcohol-producing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RA-74-2 and Kluyveromyces marxianus RA-912,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sophilic S. cerevisiae D, an industrial strain. Under anaerobic culture condition,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had similar level of ADH activity at 30$\circ$C, and the activity of S. cerevisiae RA-74-2 at 37$\circ$C was the same level at 30$\circ$C. However, the level of ADH activity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decreased about 70% of that at 30$\circ$C. The level of enzyme activity of K. marxianus RA-912, which showed lower alcohol productivity than S. cerevisiae RA-74-2 and D, was about 43% of those strains at 30$\circ$C, and decreased somewhat at 37$\circ$C. The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productivities and the level of ADH activities of these strains grown at 30$\circ$C and 37$\circ$C. And the higher heat stability of ADH of S. cerevisiae RA-74-2 than that of S. cerevisiae D seemed to reflect the ability of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Despite of its fermentation ability even at 45$\circ$C, however, the ADH of K. marxianus RA-912 showed lower heat stability than that of S. cerevisiae D.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showed similar patterns of two bands of ADH isozyme, and the low band of S. cerevisiae RA-74-2 moved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S. cerevisiae D. The staining intensity of the bands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was weaker than those at 30$\circ$C. However, S. cerevisiae RA-74-2 showed no differences in total intensity of the bands of 30$\circ$C and 37$\circ$C. As the patterns of cellular proteins and ADH isozyme of K. marxianus RA-912 were different from S. cerevisiae RA-74-2 and D, K. marxianus might have its own characteristic ADH system.

  • PDF

항산화 물질을 생산하는 해양 미생물의 분리.동정 및 배양 특성 조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producing Marine Bacteria and Medium Optimization.)

  • 김현진;여수환;조성춘;배동원;윤정훈;황용일;이승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3-229
    • /
    • 2002
  • 전자 공여능으로 항산화 물질 생산 능력이 우수한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여 HJ-14라고 명명하였다. HJ-14는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이 Altermonas macleodii ATCC 27126T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주요 세포 지방산이 $C_{14:0}$ , $C_{15:0}$ , $C_{16:1}$$C_{17:1}$ $_{w8c}$로 분석됨으로서 Aiteromonas SP- HJ-14로 동정하였다. Alteromonas sp. HJ-l4의 항산화 물질 생산에 대한 배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탄소원, 무기질소원, sodium chloride농도, 초기 pH및 배양온도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탄소원으로는 2.5% dextrin, 무기 질소원으로는 ammonium sulfate, sodium chloride는 2~6%, pH와 온도는 각각 pH 6~8, 25~37$^{\circ}C$에서 전자공여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적 조건일 때에 전자공여능은 90~92%로.나타났다 또한, OH소거능도 90.03%로 관찰되어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NR 효율개선을 위한 산 발효조 최적운전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of Acid Fermenter for the BNR Performance Improvement)

  • 김효상;박종운;서정원;박철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87-595
    • /
    • 2000
  • 국내 하수처리장에 적용되는 BNR(Biological Nutrients Removal) 공정의 효율저하 원인은 유입원수의 낮은 C/N비와 탄소 (Carbon source)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탄소원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1차 슬러지 산 발효조(Acid fermenter)를 이용하여 SCFAs(Short-Chain Fatty Acids)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de-stream의 산 발효조와 조합된 $A_2/O$ 프로세스를 운전하여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산 발효조의 최대 SCFAs생성은 중온상의 SRT 4~5일에서 약 3.000mg/L(as COD), 대략 0.10~0.16 mg SCFA(as COD)/mg 1차 슬러지(as COD)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SCFAs의 성상비는 Acetic, Propionic, (iso)Butyric 및 (iso)Valeric이 1, 0.7, 0.5 그리고 0.6 순으로 나타났다. BNR공정의 side-stream 산 발효조 적용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효율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은 인공하수(R1)의 경우 35% 정도의 낮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인공 SCFA 주입(R2) 및 발효산물 투입(R3)의 경우 제거효율 74%, 76%로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osphate 는 R1의 경우 45% 의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R2, R3의 경우 73~74% 정도로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이는 발효산물 및 SCFA 주입에 의해 혐기조에서 인의 방출 및 호기조에서 과잉섭취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R3의 경우 인의 방출율은 $0.34g\;PO_4-P/g$ COD로 기존 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존용해탱크 구조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마이크로오존버블 생성 (Efficient Micro-Ozone-Bubble Generation by Improving Ozone Dissolution Tank Structure)

  • 박용화;이광희;장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549-555
    • /
    • 2017
  • 본 연구는 오존용해탱크 구조에 따라 마이크로오존버블의 분포, 에너지 소비, 수처리 효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존용해탱크 내부의 격판은 압력의 변화, 전단력, 선회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는 버블 직경의 크기에 변화를 준다. 버블 직경의 크기는 내부의 격판에 따라 10.5%까지 차이가 났다. 오존 버블 직경의 변화는 에너지 소비와 관련이 깊다. 오존 버블이 작아질수록 버블생성에너지는 높아지지만 용존 효율이 올라가면서 오존생산에너지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버블생성에너지와 오존생산에너지의 합이 최소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생성하는 오존용해탱크를 선정하여야 한다. 동일한 양의 오존가스을 방류수에 주입하기 위해 소비된 에너지는 내부의 격판에 따라 2.5%까지 차이가 났다. 하지만 수처리 효율까지 고려한다면 오존용해탱크 선정 조건이 달라진다. 오존 버블이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자유라디칼이 수처리에 매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오존주입농도에서도 내부의 격판에 따라 수처리 효율이 10.4%까지 차이가 났다. 따라서 수처리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생성하는 오존용해탱크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목적공원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어린이공원 이용실태분석을 중심으로- (Basic Study for Multi-purpose Park Model Development -Focusing o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Children's Park-)

  • 이동훈;이석환;백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07-517
    • /
    • 2017
  • 어린이공원 내 주 이용자인 어린이 이용자 감소하고 고령층의 이용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공원조성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고령화 사회는 노인여가문제가 현실화 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목적공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모형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어린이공원을 조사 분석하고, 어린이공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공원의 조성 위치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어린이공원은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에 조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현재 어린이공원은 법에 의한 유치거리와 면적에 의해 조성되고 있으며, 변함없이 획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을 고령자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7구 1군 중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의 구분이 가능하고 비교대상지간거리가 가까운 곳을 선정하여 시기별 요일별 이용층별 이용률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어린이공원은 다양한 시설물의 배치가 미흡하고, 디자인적인 모티브와 콘덴츠없이 획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공원을 '다목적공원 모형을 개발'함으로서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GIS와 RS를 이용한 생태지도 작성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A base study of an Ecological Mapping technique by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 이기철;이원화;윤해순;남춘희;김구연;김승환;서상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7-69
    • /
    • 2004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일대의 생태계 변화와 생태 관련자료를 GIS DB로 구축하고 생태지도를 작성하였다. 생태지도 작성을 위해 1984년 11월 21일, 1997년 5월 17일에 촬영된 공간해상도 30m의 Landsat TM 위성영상과 국립지리원에서 발행된 1:25,000 수치지형도, 부산시에서 조사한 생물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DB를 구축하였다. 생태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첫째, 낙동강 하구 생태계 조사 보고서와 현재까지 진행된 생태지도에 대한 문헌 연구, 둘째, 시계열적 토지피복분류도 제작, 셋째, 동 식물상, 수질 등 생태계 항목별 DB 구축과 3단계 방식에 의한 생태계 평가,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계 관리를 위한 생태지도를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