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ing

검색결과 9,599건 처리시간 0.035초

최근 4년간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KPC-2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y of KPC-2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in Daejeon During a 4-Year Period)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65-272
    • /
    • 2022
  • Carbapenemase 생성 장내 세균(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 중 특히 KPC-2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출현과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공중 보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KPC-2 생성 K. pneumoniae의 역학과 특징은 지역 및 기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K. pneumoniae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CRKP) 78 균주를 대상으로 carbapenemase 유전자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역학 관계를 조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고, carbapenemase 유전자의 분석을 위해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역학관계는 MLST (multilocus sequence typing)를 통해 조사하였다. 78 균주의 CRKP 중 35 균주(44.9%)가 carbapenemase 생성 K. pneumoniae였으며, 주요 carbapenemase 유형은 KPC-2 (30주, 85.7%)로 확인되었다. NDM-1과 NDM-5는 각각 4 균주(11.4%)와 1 균주(2.9%)에서 확인되었다. MLST 분석에서 10개의 sequence type (ST)이 확인되었고, 가장 흔한 ST는 ST307 (51.4%, 18/35)이었다. ST307 균주는 모두 KPC-2 생성 K. pneumonia였고, 다제내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T307은 4년 동안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PC-2 생성 K. pneumoniae ST307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감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변이원성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분리방법 (Isolation of a Desmutagenic Substance Producing Microorganisms)

  • 박용일;조문구;정호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113
    • /
    • 1992
  • In the screening process of anti- or desmutagenic substance from the various microbial metabolites with the method of Ames and Rec-assay, a desmutagenic substance producing bacterial strain which inactivates the mitomycin C-induced mutagenicity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Psudomonas sp. AM-10.

  • PDF

Digestiv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biidae - Characteristics of CCK-producing Cells and Mucus-secreting Goblet Cells of Stomach Fish and Stomachless Fish -

  • Hur, Sang-Woo;Kim, Shin-Kwon;Kim, Dae-Jung;Lee, Bae-Ik;Park, Su-Jin;Hwang, Hyung-Gyu;Jun, Je-Cheon;Myeong, Jeong-In;Lee, Chi-Ho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207-217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CK-producing cells and mucus-secreting goblet cells with respect to stomach fish and stomachless fish of the Gobiidae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igestive physiology. Hairychin goby (Sagamia geneionema), which is stomachless fish, the numbers of mucus-secreting goblet cells is highest in the posterior intestine portion (P<0.05), while CCK-producing cell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intestine. Gluttonous goby (Chasmichthys gulosus), which is stomach fish, mucus-secreting goblet cells are most abundant in the mid intestine portion (P<0.05), whereas CCK-producing cells are observed only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which is stomach fish, mucus-secreting goblet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mid intestine portion (P<0.05). CCK-producing cells are found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Giurine goby, Rhinogobius giurinus which is also stomach fish, the largest number of mucus-secreting goblet cells showed in anterior intestine portion except for esophagus (P<0.05). CCK-producing cells are present only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In S. geneionema, digestive action occurs in the posterior intestine portion to protect and functions to activate digestion. In contrast, in C. gulosus, T. obscurus and R. giurinus, their digestive action occurs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to protect and functions to activate digestion. Further studies of the modes of food ingestion by these fish, the contents of their digestive tracts, and the st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goblet cells need to be carried out.

Comparison of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between 2 Time Periods of 1989 and 2010 at Gangwon Province in Korea

  • Park, Min;Park, Soon Deok;Kim, Sa-Hyun;Lee, Gyusang;Woo, Hyun Jun;Kim, Hyun Woo;An, Byungrak;Jang, In Ho;Uh, Young;Kim, Jong-B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5-279
    • /
    • 2013
  • Etiological agents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UPEC) have become a major problem in urinary tract inf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SBL producing UPEC strains isolated from 1989 and 2010. A total of 301 strains of UPEC clinical isolates was collected from Korean healthcare facility in 1989 (126 strains) and in 2010 (175 strains). UPEC clinical isolates were analyzed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ESBL related bla genes and phylogenetic groups)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mong 301 isolates, ESBL producing UPEC were 8 strains (6.3%) in 1989 isolates and 35 strains (20%) in 2010 isolates. The rate of bla genes in ESBL producing UPEC from 1989 isolates and 2010 isolates were $bla_{TEM}$ (75% and 85.7%), $bla_{CTX-M}$ (0% and 91.4%), $bla_{OXA}$ (25% and 20%), $bla_{PER}$ (0% and 2.9%). The distribution of phylogenetic groups in 1989 isolates and 2010 isolates were A (37.5% and 11.4%), B2 (12.5% and 51.4%), and D (50% and 37.1%). The most prevalent ESBL related bla gene and phylogenetic group were $bla_{CTX-M}$ (91.4%) and B2 (51.4%) in 2010 isolates, while $bla_{CTX-M}$ was not detected in 1989 isolates. Among 43 ESBL producing UPEC were grouped into 12 clusters up to 76% of genetic similarities by AFLP analysis. During past twenty one years, the rate of the ESBL producing UPEC strains in 2010 isolates was increased than that of in 1989 isolates. Also, the most prevalent ESBL related bla gene has been changed from $bla_{TEM}$ to $bla_{CTX-M}$.

광안리 오수처리장에 분리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Klebsiella와 Enterobacter의 유형 (Characterization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ESBL) Producing Klebsiella and Enterobacter Isolated from Sewerage Plant Drain Water at Kwang-An in Pusan)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3
    • /
    • 2001
  • 본 논문은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고, 분리되었을 경우 이들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하수종말처리장, 가물치양식장, 부경대학교 담수어양식장, 공중목욕탕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double disk synergy 검사, 교환접합시험, 등전점 조사 등을 실시하여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로붙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가 26 균주 분리되었다. 균종은 Entero-bacter cloacae와 E. sakazakii,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및 K. pneumoniae subsp. ozaenae 였다. 이들은 모두 PCR결과 TEM+SHV 복합형이었고 등전점 결과 Klebsiella속의 균들은 pI 5.9, 5.9+5.4 E. cloacae는 $pI{\ge}8.5$, 8.0+5.4, E. sakazakii는 8.0+5.4, 8.0+5.9+5.4였다. 교차접합시험(transconjugation) 결과 피전달 균주인 E. coli RG176 nal$_{r}$에게 K. pneumoniae subsp. pneumoniae (1 균주) K. pneumoniae subsp. ozaenea (5 균주)및 E. cloacae (1 균주)의 $\beta$-lactamase 생성유전자가 전달되었다. 이 결과는 국내에서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에서 분리된 ESBL생성 장내세균의 첫 번째 보고이다.

  • PDF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依)한 탁주효모(濁酒酵母)의 변이주(變異株) 육성(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변이주(變異株)의 생산능(生酸能) 및 변이주(變異株)를 이용(利用)한 탁주양조(濁酒釀造)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Takju Yeast by UV light Irradiation Part III -On the Acid Productivity of the Mutant and Takju Brewing Utilized the Mutant-)

  • 김찬조;오만진;김성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1975
  • 탁주효모에 자외선을 조사(照射)시켜 얻은 변이주(變異株)의 생산성(生酸性)에 미치는 pH 및 온도의 영향과 생성한 산을 PPC법 및 p-oxidiphenyl 법(法)으로 검정하고 또한 이균(菌)을 이용한 탁주양조시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酸) 생산변이주의 생산능(生酸能)은 $25{\sim}35^{\circ}C$ 하(下)에서는 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생산(生酸)변이주는 pH 4이하(以下)에서는 거의 산을 생성하지 않았으나 pH 4 이상에서는 중성(中性)으로 감에 따라 급격히 산을 생성하여 pH $5{\sim}7$하에서는 48시간의 배양으로 $0.5{\sim}0.7%$의 생산량(生酸量)을 보였다. 3. 변이주가 생성한 산을 검정한 결과 젖산으로 인정되었다. 4. 산(酸) 생성변이주의 효모(酒母)를 사용하면 담금원료의 5% 입국(粒麴)으로도 20% 입국(粒麴)을 사용할 때와 같은 양질의 탁주를 제조할 수 있었다. 5. 당화제(糖化劑)로서 분국(粉麴)만을 사용하여 모균주(母菌株)의 주모(酒母)와 산 생성변이주의 주모(酒母)를 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서 양조기간의 단축과 양질의 탁주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반추위 미생물생태계에서의 글루탐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역할 (The Role of Glutamic Acid-producing Microorganisms in Rumen Microbial Ecosystems)

  • 로벨리아;이상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0-526
    • /
    • 2021
  • 반추가축의 반추위내 미생물단백질은 단백질의 공급원중 일부이며 글루타메이트 생산을 위한 공급원이기도 하다. 글루탐산은 신체의 대사반응, 근육 및 기타 세포구성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물질로 이용되며 면역기능항진에도 매우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 완충제, 킬레이트제제, 향미 증강제, 배양배지 및 농업 분야에서 성장촉진제로 이용된다. 글루탐산은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생산을 위한 기질로서 본 연구는 글루탐산의 기능과 글루탐산 탈 탄산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미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GABA는 체온 조절, 건물섭취량, 유생산량 및 유성분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글루탐산과 GABA 생성 미생물은 대부분 Lactococcus, Lactobacillus, Enterococcus 및 Streptococcus 종과 같은 젖산생성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다. 반추위내 대사기전을 보면 GABA 합성을 통해 succinate 생산과정을 거치고, succinate는 탈수소효소반응을 통해 프로피온산과 기타 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Clostridium tetanomorphum과 혐기성 Micrococci는 글루타메이트 발효과정에서 아세트산과 낙산을 생성한다. 프로피온산과 기타 대사산물은 간에서의 혈당으로 전변되어 반추가축의 유선세포에서 유당 및 체중증가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반추가축의 건강상태 개선 및 성장촉진을 위한 중요한 미생물로 이용가능하다.

Gene Amplification of aceA and aceB in Lysine-producing Corynebacterium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 Kim, Hyung-Joon;Kim, Youn-Hee;Lee, Heung-Sh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287-292
    • /
    • 1997
  • The role of glyoxylate bypass in lysine production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was analyzed by using cloned aceA and aceB genes which encode enzymes catalyzing the bypass. Introduction of a plasmid carrying aceA and aceB to the strain increased enzyme activities of the bypass to approximately 5 fold on acetate minimal medium. The strain with amplified glyoxylate bypass excreted 25% more lysine to the growth medium than the parental strain, apparently due to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intracellular oxaloacetate. The final cell yield was lower in the strain with amplified glyoxylate bypass. These changes were specific to the lysine-producing C.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since the lysine-nonproducing wild type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 grew faster and achieved higher cell yield when the glyoxylate bypass was amplifi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ysine producing C.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has the ability to efficiently channel oxaloacetate, the TCA cycle intermediate, to the lysine biosynthesis pathway whereas lysine-nonproducing strains do not. Our results show that amplification of the glyoxylate bypass efficiently increases the intracellular oxaloacetate in lysine producing Corynebacterium species and thus results in increased lysine pro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