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ed leaf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The Properties of Beam Intensity Scanner(BInS) in IMRT with Phantom for Three Dimensional Dose Verification

  • Young W. Vahc;Park, Kwangyl;Byung Y. Yi;Park, Kyung R.;Lee, Jong Y.;Ohyun Kwon;Park, Kwangyl;Kim, Keun M.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03
  • Objectives: Patient dose verification is clinically the most important parts in the treatment delivery of radiation therapy. The three dimensional(3D) reconstruction of dose distribution delivered to target volume helps to verify patient dose and deter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eams used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We present Beam Intensity Scanner(BInS) system for the pre treatment dosimetric verification of two dimensional photon intensity. The BInS is a radiation detector with a custom made software for relative dose conversion of fluorescence signals from scintillator. Methods: This scintillator is fabricated by phosphor Gadolinium Oxysulphide and is used to produce fluorescence from the irradiation of 6MV photons on a Varian Clinac 21EX. The digitized fluoroscopic signals obtained by digital video camera will be processed by our custom made software to reproduce 3D relative dose distribution. For the intensity modulated beam(IMB), the BInS calculates absorbed dose in absolute beam fluence, which are used for the patient dose distribution. Results: Using BInS, we performed various measurements related to IMRT and found the followings: (1) The 3D dose profiles of the IMBs measured by the BInS demonstrate good agreement with radiographic film, pin type ionization chamber and Monte Carlo simulation. (2) The delivered beam intensity is altered by the mechanical and dosimetric properties of the collimating of dynamic and/or static MLC system. This is mostly due to leaf transmission, leaf penumbra, scattered photons from the round edges of leaves, and geometry of leaf. (3) The delivered dose depends on the operational detail of how to make multileaf opening. Conclusions: These phenomena result in a fluence distribution that can b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initial and calculative intensity modulation and therefo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y the treatment planing for accurate dose calculations delivered to the target volume in IMRT.

  • PDF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장과 조직해부학적 특성 (Plant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el(Viscum album var. coloratum(kom.)Ohwi))

  • 박충헌;박춘근;방경환;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6
    • /
    • 2003
  • 겨우살이 기생위치는 숙주목(상수리나무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부분 지면에서 5-10m높이의 일사량이 많은 상단부에 기생하였다. 줄기의 분화는 주경에서 2개씩 연속분지를 형성하였고, 잎은 정단줄기의 상단부에 2매씩 대생하였으며, 종실은 연황색의 7-8mm 크기의 장과였다. 겨우살이 화아분화는 초기 둥근 돔형의 화아정단이 형성되고 엽원기가 1, 2매 차례로 분화한 다음 심장형으로 발달하며 악편이 발생하였는데, 중앙부에서 먼저 진행되었고 이어 양측 면에 2개를 형성하였다. 잎은 이면의 표피 2-3층 아래에 기공과 공변세포가 관찰되었고, 겨우살이는 기주목의 흡착부에서 기주조직의 코르크층을 통과하여 목질부에 뿌리를 내리고 여러 갈래로 분지하여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박찬성;신승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3
  • 본 연구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생강나무 잎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에 따른 잎차의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인공건조차가 6.71%로 가장 높았고 찐후덖음차가 5.18%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차가 15.33%로 가장 높았고 덖음차가 8.3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제차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탄닌 함량은 찐후 덖음차가 3.29%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차가 2.26%로 가장 낮았다. 생강나무잎차의 비타민 C 함량은 덖음차에서 37.17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찐차가 16.70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무기질함량의 차이는 없었지만, K, Na, Mn, Ca, Fe, Mg, Zn 순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생강나무잎차의 냄새, 맛등 전체적 기호도는 찐후 덖음차가 다른제조방법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나무의 잎차의 제조방법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찐후 덖음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감 (Diospyros kaki, Thumb) 잎차의 화학 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 성낙주;정선영;이수정;조종수;강신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0-726
    • /
    • 1995
  • 녹차와 더불어 시판되고 있는 감잎차의 제조방법을 기존 제차공정과 달리할 경우 차의 성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 성분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감잎차의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핵산관련 물질, 유리당 및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 비교하였다. 차엽의 수분은 6.9~7.0%, 회분은 8.3~9.0%, 조지방은 6.1~6.9%였다. 전질소의 함량은 3.4~4.8%, 차엽의 카페인 함량은 $178.4~209.8{\mu}mol/g$, 탄닌 함량은 29.1~38.5%, 비타민 C는 325.3~2084.7mg%로서 RHT가 2084.7mg%로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찻물의 경우 카페인의 함량이 $101.5~130.1{\mu}mol/g$, 탄닌의 함량이 15.4~25.9mg%였으며, 비타민 C는 111.0~1274.3mg%로 차엽과 마찬가지로 RHT에서 1274.3mg%으로 다른 차에 비해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찻물의 용출율은 51.1%였다. 차엽의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이들 4종이 아미노산이 총 아미노산에 대하여 SHT는 39.8%, DHT는 38.8%, RHT는 39.1%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함량이 높은 것은 glutamic acid(10.9~12.9 mg%)였다. 찻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엽과 마찬가지로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proline, histidine 및 arginine 순이었다. 핵산관련 물질(CMP, IMP, AMP, UMP, GMP, hypox-anthine)의 함량은 생엽 $119.2{\mu}mol/100g$, 차엽 및 찻물 모두에서 CMP의 함량이 많았다. 차엽 중에서 CMP 다음으로 함량이 높은 것을 보면 SHT에서는 GMP, DHT는 AMP, RHT는 UMP였으며, 찻물의 경우도 역시 차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엽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85.2{\mu}mol/100g$으로 가장 높았고, SHT, DHT 및 RHT에서 모두 fruct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찻물 역시 차엽과 마찬가지로 sucros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hortwave Infrared Bands of ASTER and ETM+ for Assessing Vegetative Information

  • Lee, Kyu-Sung;Jang, Ki-Chang;Kim, Sun-Hwa;Park, Yoon-Il;Ryu, Joung-M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027-1029
    • /
    • 2003
  • The primary uses of SWIR bands of ASTER data are to analyze geological features. In this study, we are attempting to evaluate the effect of using the narrow band A STER data for extracting information related to biophysical information of forest vegetation. ASTER and ETM+ data have been obtained simultaneously over the study area in Kyongan-River basin on May 8, 2003. Two data sets were initially processed to reduce atmospheric effects and converted to percent reflectance values, which make them comparable each other. ASTER and ETM+ reflectance were then analyzed by using the field survey data that include forest leaf area index (LAI), cover types,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 density.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ASTER reflectance were not much different to ETM+ reflectance to explain LAI.

  • PDF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국내산 신이대 잎 발효에 따른 영양성분, 폴리페놀, 항산화능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nent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Bamboo Tree (Sasa coreana Nakai) Leave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 조한교;김다송;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32권1호
    • /
    • pp.63-70
    • /
    • 2017
  • Bamboo leaf has many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nols,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foods application. Fermentation is one of appropriate processes that can affect the nutrition, taste and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ods. In this study, a representative domestic bamboo tree (Sasa coreana Nakai) leaves were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KCCM 11315 and the changes of carbohydrates, minerals, amino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firstly, the leaf was softened and turned to brown. The constituent carbohydrates were slightly increased from $432.09{\pm}5.38mg/g$ to $458.42{\pm}7.39mg/g$, and free sugars decreased by 95% from $28.12{\pm}2.03mg/g$ to $1.4{\pm}0.14mg/g$. Mineral was $20987.5{\pm}345.1{\mu}g/mL$, which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the fermentation compared to $20804.1{\pm}364.6{\mu}g/mL$ before that. The total amino acids were increased to $73881.94{\pm}137.59mg/100g$ compared to $58464.51{\pm}109.12mg/100g$ before fermentation, and free amino acids decreased by more than 85% from $32782.67{\pm}92.49mg/100g$ to $4827.83{\pm}19.76mg/100g$. Total polyphenols content (TPC) increased from $25.51{\pm}1.04GAE^*mg/g$ to $35.34{\pm}0.91GAE^*mg/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FC) increased to $80.57{\pm}0.22QE^*mg/g$ compared to $69.64{\pm}0.26QE^*mg/g$. The total catechin content (TCC) of TFC was decreased from $69.64{\pm}0.94mg/L$ to $58.23{\pm}0.76mg/L$. The DPPH radical $IC_{50}$ of bamboo leaves decreased to $2624.85{\pm}37.03{\mu}g/mL$ and the ABTS radical $IC_{50}$ of $187.26{\pm}4.78{\mu}g/mL$ was increased after the fermentation.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essential nutritional data before developing processed food products using the bamboo leaf.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05
  • 인삼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인삼엽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인삼엽차를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등 3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환원당 함량은 HPT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DRT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serine 이 309.6∼336.6 mg%로 가장 높았으며 valine, leucine, isoleucine, aspar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DRT에 비하여 ACT, HPT에서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가 2,115 mg%로 가장 많았고 K, Mg, P, Na, Mn, Fe, Zn, Cu 순으로 제조방법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찻물의 무기질 함량을 좌우하는 침출율은 HPT가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Zn, Mn, Mg등은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무기질로서 이들 함량이 높다는 점은 인삼엽차의 우수성의 하나로 평가된다. 인삼엽차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HPT가 424.4 mg%로 가장 많았으며 침출율도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제조방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인삼엽차의 색도는 DRT에 비해 AGT, HPT 에서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여 갈색 물질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은 열처리법(HPT)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춘광' 배추의 준고랭지 여름철 재배 방법에 따른 생육과 저장 특성 (Effect of Cultivation Method on Growth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Kimchi Cabbage Cultivar 'Chun Gwang' Grown on Semi-highland in Summer)

  • 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21
  • 고온기 준고랭지에서 재배한 배추의 생육과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춘광' 배추를 홍천에서 재배 방법(노지 및 시설 재배)에 따른 생육 특성과 수확 후 저장 시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생육은 시설 재배한 배추가 생체중과 엽두께에서 노지 재배와 차이를 보였지만, 가식부인 결구 부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재배 방법에 따른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기 어려웠다. 준고랭지에서 재배한 '춘광' 배추의 저장 시 생체중이나 정선 손실률, 수분함량 등에서 유의 차이를 보였다. 동일 지역에서 시설과 노지로 재배를 달리한 경우 생체중량이나 정선 손실률은 시설 재배가 변화폭이 더 커서 유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온기 배추의 수확 후 저장 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고, 수확 전 요인이 저장까지 영향을 미치는 유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농산물에 대한 생산성 위주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앞으로는 생산뿐만 아니라 저장 동안의 영향을 확인 할 필요가 있다.

The Influence of Long-term Aloe Supplement on Anti-oxidative Defenses and Cholesterol Content in Brain and Kidney of Aged Rats

  • Lim, Beong-Ou;Park, Pyo-Jam;Park, Dong-Ki;Choi, Wahn-Soo;Kim, Jong-Dai;Yu, Byung-Pal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52-356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loe vera ingestion on brain and kidney in aged rats by monitoring several oxidative-related parameters. Male specific pathogen-free Fischer 344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rat each: Group A was fed test chow without aloe supplementation; Group B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freeze-dried aloe filet; Group C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aloe filet; and Group D was fed a diet containing a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whole leaf aloe in drinking water. Analyses of tissues were done at 4 months and 16 months of age. Results showed that a long-term intake of aloe,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used, enhanced antioxidant defenses against lipid peroxidation, as indicated by reduced phosphatidylcholine hydroperoxide levels in both brain and kidney. The additional benefit of aloe intake on the anti-oxidative action was evidenced by enhanced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y in all aloe-ingested group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aloe shown in this study, although not an anti-oxidative parameter, was its cholesterol-lowering effect as detected in brain and kidney with significant decreases at age16 months of aloe-fed ra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a long-term dietary aloe supplementation modulated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d cholesterol level.

감과 가공식품의 항응고물질활성 (Anticoagulating Activity of Persimmon and It Processed Foods)

  • 이영철;사유선;정춘수;서광기;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49-953
    • /
    • 2001
  • 감은 과일로 식용필 뿐만 아니라 민간약으로 종기나 염증질환, 치칠에 곶감을 이겨 붙였고 부스럼이나 화상에는 불에 말린 감을 바르면 통증을 멎게 하고 새살을 돋게 하는 효능이 있고 고혈압을 예방하고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의 plasma에서 thrombin time(TT)을 사용한 항응고활성을 측정하면서감속, 감잎, 감꼭지에서 높은 농도로 , 감과육과 감껍질에도 농도는 약간 낮지만 항응고활성이 발견되었다. 감과육의 항응고활성을 계절과 품종별로 측정시 부유의 경우는 11월 수확한 것이 가장 높고 저장이 길어지면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갑주백목은 부유와 유사하고 청도반시. 서촌조생은 다소활성이 낮았다. 감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경우 생과실에 비해 항응고활성이 56~260배정도로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이는 감과육에 존재하는 항응고활성을 저해하는 인자에 의한 영향이 생각되고 가공식품제고시 항응고활성을 저해하는 이자를 초기에 제거하거나 불활성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