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anthocyanidin A-2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7초

적송잎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성 성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검증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 이옥희;김기영;장민경;유기환;김성구;김미향;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3-219
    • /
    • 2008
  • 솔잎에 포함되어 있는 flavonoid들은 free radical 소거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중 특히 proanthocyanidin은 심장혈관 보호작용과 항산화 활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리산 적송잎으로부터 열수, 에탄올, 헥산 및 아임계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폴리페놀성 물질 중에 포함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성 물질 및 proanthocyanidin의 농도가 열수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을 추출물, 헥산 추출물, 아임계 추출물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각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성 물질의 농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계산한 결과,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헥산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적송잎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은 농도의 총 폴리페놀성 물질 및 proanthocyanidin이 포함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 비록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성 물질의 농도는 낮지만 이들 대부분이 proanthocyanidin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각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타나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으로부터 4가지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므로 솔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추출 가공법 선택에 있어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머루 과피에서 분리한 proanthocyanidin 획분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Proanthocyanidin Fraction Isolated from Wild Grape (Vitis amurensis) Peel)

  • 이혜련;황인욱;정호철;정우식;김영찬;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0-423
    • /
    • 2010
  • 산머루 부산물을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산머루 과피에서 proanthocyanidin 획분을 분리하고 그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과피의 70% 아세톤 조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층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50% 메탄올, 75% 메탄올, 75% 아세톤으로 용출하여 9개의 획분을 얻었다. Proanthocyanidin 특성 및 함량은 BuOH-HCl 방법과 vanillin-$H_2SO_4$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Fr. 6의 proanthocyanidin 함량($49.35{\pm}2.75\;g%$)이 가장 높았다. 각 획분의 FRAP값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3.54-32.25 mmol/kg과 4.48-50.80 g/100 g이었으며 proanthocyanidin 함량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값, 총 페놀 함량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산머루 가공 부산물 중의 proanthocyanidin 획분은 향후 항산화성 건강기능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methods for proanthocyanidin extraction from pine (Pinus densiflora) needl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 Kim, Nam-Young;Jang, Min-Kyung;Lee, Dong-Geun;Yu, Ki-Hwan;Jang, Hye-Ji;Kim, Mi-Hyang;Kim, Sung-Gu;Yoo, Byung-Hong;Lee, Sang-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16-22
    • /
    • 2010
  • Flavonoids are known to be effective scavengers of free radicals. In particular, proanthocyanidins are flavonoids that possess cardiovascular prote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Here, we evaluated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he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needle extracts prepared by hot water, ethanol, hexane, hot water-hexane (HWH), and hot water-ethanol (HWE). Analysis of each extract indicated that the ethanol extract contained the highest proanthocyanidin concentration. The HWH and hexane extracts also containe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roanthocyanidin. On the other hand, proanthocyanidin content analyses out of the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indicated that the HWH extract contained the highest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WH extraction is a suitable method to obtain an extract with a high level of pure proanthocyanidins and a relatively high yield. The HWH extract possessed superior activity in diverse antioxidative analys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errous ion chelating (FIC), and ferric-ion reducing power (FRAP) assays. In addition, upon assessing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extracts on macrophages (Raw 264.7 cell), the HWH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is study, we discerned an efficient extraction method to achieve relatively pure proanthocyanidins from pine needles and evaluated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 resulting extract, which could potentially be used for its efficacious components in functional food products.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of Allspice (Pimenta dioica)

  • Son, Yeun-Kyoung;Song, Tae-Hee;Woo, In-Ae;Ryu, Hye-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92-94
    • /
    • 2005
  • The flavonoids kaempherol and epicatechin, and a proanthocyanidin fraction were isolated from the seed of allspice (Pimenta dioica).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al analyses. Antioxidant activities of kaempherol, epicatechin and the proanthocyanidin fraction were tested using the reaction with the stable radical diphenyl-p-picrylhydrazyl (DPPH) and exhibited IC/sub 50/ values of 7.83, 4.27 and 2.92 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llspice proanthocyanidins and flavonoids might act as effective antioxidants.

남해산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씨 추출물의 항산화 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Antioxidant Abi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from Seed Extract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in Namhae Korea)

  • 진동혁;김한수;이영근;오다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00-409
    • /
    • 2017
  •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씨에서의 70% 에탄올, CM (chloroform: methanol, 부피 비 2:1(CM)) 및 노르말 부탄올 추출 용매별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능, 금속 킬레이트 능력 측정을 통하여 치자 씨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치자 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은 건조 무게(g) 중 카테킨(catechin) 당량으로 계산하여 $70.035{\pm}0.772mg$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수율은 CM (36.39%), 70% 에탄올(27.32%), 노르말 부탄올(26.23%) 순으로 나타났다. 추출 용매별 항산화 능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ethylenediamnetetraacetic acid (EDTA)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Flavonoid 함량(mg)은 시료 g당 케르세틴(quercetin) 당량으로 계산하여 70% 에탄올(0.830), CM (0.752), 노르말 부탄올(0.105)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산화 능 분석 실험과 금속 킬레이트 능력 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으로 동정되어 모든 분석에서 70% 에탄올과 CM 추출물이 강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자 씨의 용매별 flavonoid 함량에 따라 항산화 능 및 금속 킬레이트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치자씨는 proanthocyanidin과 flavonoid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능과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Relationship of Phenolic Compounds and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Black and Red Rice Extract

  • Hu, Gao-Sheng;Xu, Kai-Xiu;Jeong, Soon Jae;Kim, Doh-Hoo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9-138
    • /
    • 2010
  •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nalyzed from rice samples collected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se rice lines.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and activity was subsequent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black rice, anthocyanin was the major phenolic component and that both phenolic content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data showed that cyanidin-3-O-glucoside and peonidin-3-O-glucoside composed about 90% of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black rice and in red rice. In the red rice extract, the total phenolic content produc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ntioxidant activity but correlated very poorly with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The $OD_{458}$ and the $OD_{500}$ values which represent the proanthocyanidin content of the rice extract, produc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D_{458}$ and the $OD_{500}$ value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d rice. In addition, based on the data obtained, a competitive accumulation model of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in black and red rice was proposed.

Effective Extraction of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from Wild Grape Seeds

  • Huh Yun Suk;Hong Tae Hee;Hong Won H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6호
    • /
    • pp.471-475
    • /
    • 2004
  • The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in green and black tea, grape seeds, grapes and wine has raised much attention but that OPC in wild grape seed remains to be in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OPC content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 seeds and developed an efficient extraction process with various temperatures, solvent compositions and times. Also, a chromatography column packed with the Dia-ion HP-20 resin was used for further purification of the ope. The total OPC contents were determined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total antioxidant potential (TAP) and 1,1-dipheny|-2picrylhydrazy| (DPPH). The yield of final purified OPC was 1.78 (+)-catechin equivalent (CE) g/100 g, with $IC_{50}$ activities of TAP and DPPH of 31.60 and $15.70\;{\mu}\;g/mL$. These activi­ties of the final purified OPC were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HA used as a refer­ence sample.

섬유근통 동물 모델에서 포도씨 추출 proanthocyanidin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n Fibromyalgia Animal Model)

  • 문현일;김성호;장태정;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6-502
    • /
    • 2010
  • 산성 식염수 쥐모델은 사람의 섬유근통에 근접한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포도씨에서 얻은 oligomeric proanthocyanidin complexes (OPC)는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산성 식염수 모델에서 통증 역치에 대한 OPC의 효과를 연구했다. 좌측 장딴지 근육에 pH 4.0의 산성 식염수 $100\;{\mu}l$를 0일과 5일에 주사했다. 대조군은 pH 7.2의 생리 식염수를 같은 스케줄로 주사했다. 산성 식염수 그룹 10마리를 다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멸균 식염수, 다른 한 그룹은 OPC 300 mg/kg를 복강 내 주사했다. 복강 내 주사 한시간 후 다시 통각에 대한 역치를 조사했다. 0일에 비해 7일에서 산성 식염수 모델은 기계적 과통각을 나타냈다(p<0.05). OPC 300 mg/kg를 복강내 주사한 그룹에서 강력한 항통각 효과를 나타냈다(주사측 발바닥, p=0.001; 반대측 발바닥, p=0.002).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복강내 식염수를 처치한 대조군에 비해 OPC 처치군에서 대뇌의 M1 및 M2 영역에서 산-감지 이온 통로3의 발현이 감소되었다(p<0.05). 사람의 섬유근통에서 OPC 치료의 효과를 보기 위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검정콩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추출에 대한 산 처리의 영향 (Effects of Acidic Treatments for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on Black Bean (Glycine max Merrill.))

  • 지영미;김민영;이상훈;장귀영;;윤나라;김경미;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94-15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검정콩으로부터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색소의 추출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의 종류는 hydrogen chloride(HCl), acetic acid, formic acid, phosphoric acid 및 citric acid였으며, 사용된 농도는 0.1, 0.2, 0.3, 0.5 및 0.7%였고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산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0.74~1.74 mg/g 범위였으며 0.3% HCl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검정콩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3G, D3G 및 Pt3G였으며 구성 안토시아닌 중 C3G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2.01~5.29 mg/g 범위로 포도씨나 팥의 프로안토시아닌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검정콩의 안토시아닌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추출시 산의 종류 및 농도가 중요한 변수이며, 최적 추출조건은 0.3% HCl을 포함하는 80% 메탄올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