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econdary Career Teacher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이형국;조동헌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55-78
    • /
    • 2018
  • 이 연구는 도래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요구되는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는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필요 교육내용을 추출해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선행연구들을 통해, 중등 진로전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요구역할(8개), 요구역량(20개), 그리고 요구역량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내용(23개)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217명으로부터 유효응답을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역할별, 교육내용 항목별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간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간 차이를 확인하는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역할별에서는 '행정운영자' 역할을 제외한 전 역할에서, 세부 교육내용에서는 전 항목에서 t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높은 t 값 분포를 확인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산출공식을 활용한 요구도 값 산출 및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전체적으로 t 값과 Borich 요구도 간에는 방향성은 일치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도출 결과, 전체 5개(중학교 7개, 고등학교 2개)의 교육내용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넷째, 차순위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5개를 도출하여 포함하였다. 끝으로 교육내용들과 실제적 교육 필요성과의 관련성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기존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제와 진로지도 관련 주제의 분절 현상으로 인해 선행자료가 거의 없어 여러 한계와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시대 요구 적응을 위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있다.

친환경건축물 인증 초·중등학교의 생태환경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ed Schools)

  • 왕정준;성순택;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97-104
    • /
    • 2011
  • Over the years, there have been many school construction projects resulting from the activation of the Build Transfer Lease(BTL). Furthermore, due to the need for the qual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s well as the attempt to fulfill social requirements and the need for eco-friendly learning environments, these projects have become a major priority. As a resul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roper standard for school construction based on a certain level of green certification that has been mand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tatus of schools as relates to the composi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These elements of eco-friendly school facilities are larger tha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re directl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effects on the students. Looking a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the areas of ecological environment outside school are found to be inadequate. Therefore, this field needs to adopt more realistic goals, and focus on the areas where the most improvement is needed.

해양 원격의료 지원 개선을 위한 응급처치 담당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 of Vessel First Aid Managers for Improvement of Marine Telemedicine Service)

  • 서보휘;고대식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7-96
    • /
    • 2023
  • 본 연구는 상급안전재교육을 받은 교육생을 대상으로 상급안전신규교육과 해양원격의료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상급안전재교육을 실시한 교육생 190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상급안전신규교육 교육요구도는 생명징후 측정법이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고, 해양원격의료지도 유형별 교육요구도는 신경계, 순환기계, 외과계가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바다라는 시·공간적 제약과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응급처치를 결정하기 위해 생명징후 측정법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장시간 근무 및 단조로운 일상생활이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신경계, 순환계 및 외과계의 환자 발생률이 높고 다른 계통에 비해 환자 발생 시 생명과 관련성이 높아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Education Needs for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Well-Aging)

  • 임효남;김용하;이종형;송현동;황혜정;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05-215
    • /
    • 2021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안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한국갤럽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 성인 3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3.11점(SD=.72), 건강증진행위는 2.27점(SD=.47),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92점(SD=.10)이었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 상태(r=.472, p<.001), 건강증진행위(r=.122, p<.026)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내용의 우선순위는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장년기가 청년기보다 지식 정도, 교육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생애주기별에 따라 세분화 된 종합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Validation of a Diagnostic Model for Core Competencies at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 Kim, Su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97-20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odel for diagnosing core competencies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 potential model for core competencies at university was suggested. A tool for validating the model was composed of 24 items, which were delivered to 226 professors and administrative staffs, 730 students, and 134 graduates & external industrial experts. Five constructs (core competenci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collected among professors and administrative staff respon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items. The result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surveys on core competencies with students were respectively 3.28 to 3.66 and 2.68 to 3.28 (4-point Likert scal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were found in all the sub-categories of core competencies. Borich priority determination formula and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iority of needs. Importance survey among graduates and external experts showed that the mean of each items ranged from 2.80 to 3.76 (4-point Likert scale). The overall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 final model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core competencies.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국내 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Professional Education Needs for the Competenc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ocusing on the Professor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of Universities/Colleges in Korea)

  • 홍승표;이희령;한대성;주유미;김영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45-59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 전공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국내 인지재활 작업치료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중 전문역량과 관련된 항목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총 62개 대학 중 32개(51.6%) 대학의 39명의 교수진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엑셀 2010과 SPSS 18.0을 사용하여 인지재활 관련 전문역량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별 Borich 요구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지문제를 작업수행 관점으로 설명하는 임상적 추론 능력', '인지재활 관련 수가 청구 관련 관리 능력', '결과평가에 따른 인지재활 계획 수립 능력', '작업중심 인지중재 수행 능력', '인지재활 평가 및 중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작업수행에 기초한 인지재활 평가와 중재, 기록 작성 등의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작업치료(학)과에서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인지하여 교육과 교과에 교육내용과 역량을 반영하고, 대학 졸업 후 지속되어야 하는 인지재활 전문가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및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Training Needs Analysis for the Roles and Competency of Field Representatives in Electric Work)

  • 윤현우;윤관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42-162
    • /
    • 2015
  • 본 연구는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및 역량을 도출하고, 현업에 있는 현장대리인의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여 향후 국내기업에서 현장대리인이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분석, (2)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 분석, (3)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분석의 3단계로 연구절차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기공사 현장대리인 전문가 10명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장대리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현장대리인의 종요도와 현재 수준 간의 차이를 t 검정으로 분석하고, 역량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를 Borich 공식을 활용하여 도출하였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역량 중요도가 높고 불일치수준이 높은 역량을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은 현장조사자, 서류작성자, 대관업무자 등 13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협력적 태도 등 총 16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현장대리인의 중요도 인식순위는 의사결정력, 의사소통능력, 실천력, 시간관리능력, 분석적사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16개의 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순위로 요구되는 역량은 '의사소통능력'이었고, '실천력', '갈등관리능력', '분석적사고', '시간관리능력' 순이었다. 또한,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결과 제 1사분면(HH)에 포함된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분석적사고', '의사결정력', '전문성', '시간관리능력', '실천력', '업무추진력'으로 7개 역량에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우선 순위군은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사소통능력', '분석적사고', '시간관리능력', '실천력', '업무추진력' 5개 항목이었고, '의사결정력', '전문성', '갈등관리능력', '부하육성' 4개 항목은 차순위 군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시설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Standardized Index of Evaluation for Upgrading the School Facilities)

  • 송병준;김영석;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60-270
    • /
    • 2012
  •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senior citizens, which become issues of the modern society, are bringing numerous changes of many aspects like national economy, community, and culture. These social phenomena give impacts on the school facilities as well. Thus owing to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number of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has been decreased drastically, and moreover the merger of the schools cause many schools to be default. Meanwhile, the school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into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mmunity centers, and th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demand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the spaces. These factors add more burdens to the current schools. Therefore the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to adopt a flexible and relevant change necessary for using the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needs of the times, and are needed to reinvented continuously not to limit the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Yet because there are no proper criteria for doing the task, problems related to the relevance of the task and the unnecessary investment are raised. So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demonstrate the standardized index in terms of the sequential priority of upgrading the facilities among the schools.

  • PDF

건강증진시대의 보건교육 (Health Education in the Era of Health Promotion)

  • 박형종;김공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
    • /
    • 1991
  • Definition of health education can be various depending on historical background and individual point of view. In the industrialized era when health promotion is given a high priority in health activities, health education could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planned learning experiences and social actions, which expand health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order to meet their health needs, change harmful health behaviors to be desirable for health promotion and motivate them to do that. To realize the proposed definition of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should develop new policies in harmony with health promotio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reflect the modern educational technology, strengthen multisectoral approach, and pay more attention to monitoring and evaluation. To fulfill the above mentioned role, health education approach should shift foci from diseases to health orientation, from individualistic health behavior modification to a systematic change of the general public, from medical domination to recognition of lay competence and from authoritarian health education to supportive health education.

  • PDF

유치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과 기대에 관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Parent about Kindergarten Education)

  • 신귀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99-91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made by parents, regarding the goal, methods and manage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social nee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duce some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kindergarteners and for the management of a kindergarten. As subjects of the study, 623 mothers of kindergartens were sampled from kindergartens. The researcher constructed a questionnaire of multiple-choice type for surveying opinion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iculum materials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data analysis, frequency of response on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was tabulated, and chi-square test was applied for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samp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parents feel kindergarten education necessary because 'interaction with peers' itself must be an important condition for socialization of younger children. For an 'ideal personality' to be pursued in kindergarten education, parents place 'moral personality' in the first priority.' And for educational objective of kindergarten they select 'development of cooperative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one. Second, 'play method' is emphasized by parents as the most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for kindergartener. Third, they think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And they also feel that parents of kindergartener should be educat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urth, parents emphasize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a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all preschool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