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adipocyte cult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흰쥐 체지방 감소를 위한 지방부위별 특이 다클론 항체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 for Reducing Body Fat of Rat)

  • 최창원;박동우;조익환;오영균;장선식;최낙진;감동근;백경훈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47-55
    • /
    • 2012
  • 본 연구는 가축 체지방 감소를 위한 수동면역학적 기법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흰쥐 지방부위별(복강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흰쥐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primary 배양시킨 후 개발된 복강지방(AAb)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SAb)를 주입한 뒤 media 내 lactate dehydrogenase(LDH) 방출 수준을 조사하였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면역 혈청은 항원-항체 결합 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고, AAb 및 SAb는 희석배율 1:128,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다. 부위별 지방과 비교했을 때, AAb 및 SAb는 흰쥐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p<0.001).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PMP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세포 배양을 통한 LDH 수준 검사에서는 AAb 및 SAb 모두 비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파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AAb 및 SAb는 높은 역가, 타장기 안전성 및 in vitro 지방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MicroRNA analysis reveals the role of miR-214 in duck adipocyte differentiation

  • Wang, Laidi;Hu, Xiaodan;Wang, Shasha;Yuan, Chunyou;Wang, Zhixiu;Chang, Guobin;Chen, Guoh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9호
    • /
    • pp.1327-1339
    • /
    • 2022
  • Objective: Fat deposition in poultry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ducti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research. miRNAs also play important roles in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s of miRNAs in duck adipocytes after differentiation and explore the role of miR-214 in regulating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s 2 (CPT2) gene expression during duck adipocyte differentiation. Methods: Successful systems for the isolation, culture, and induction of duck primary fat cells was developed in the experiment. Using Illumina next-generation sequencing, the miRNAs libraries of duck adipocytes were established. miRanda was used to predict differentially expressed (DE) miRNAs and their target genes. The expression patterns of miR-214 and CPT2 during the differentiation were verifi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Luciferase reporter assays were used to explore the specific regions of CPT2 targeted by miR-214. We used a miR-214 over-expression strategy in vitro to further investigate its effect on differentiation process and CPT2 gene transcription. Results: There were 481 miRNAs identified in duck adipocytes, included 57 DE miRNA candidates. And the 1,046 targets genes of DE miRNAs were mainly involved in p53 signaling, FoxO signaling, and fatty acid metabolism pathways. miR-214 and CPT2 showed contrasting expression patterns before and after differentiation, and they were selected for further research. The expression of miR-214 was decreased during the first 3 days of duck adipocytes differentiation, and then increased, while the expression of CPT2 increased both in the transcriptional and protein level. The luciferase assay suggested that miR-214 targets the 3'untranslated region of CPT2. Overexpression of miR-214 not only promoted the formation of lipid droplets but also decreased the protein abundance of CPT2. Conclusion: Current study reports the expression profile of miRNAs in duck adipocytes differentiated for 4 days. And miR-214 has been proved to have the regulator potential for fat deposition in duck.

Emerging Genomics Technologies in Nutritional Sciences: Applications to obesity and hypertension research

  • Mouss, Naima-Moustaid;Sumithra Urs;Kim, Suyeon;Heo, Young-Ran
    • 한국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양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41
    • /
    • 2002
  • While the sequencing of several genomes was underway, several advanced techniques in genetics, molecular biology and protein chemistry emerged. Within the nutritional sciences, while the focus on nutrition education,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aspects remains essential;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the new advances in gene and protein discovery in nutritional studies. Nutrition is a discipline that has always integrated soci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sciences from the studies at the molecule level to studies at the population level. For this reason, nutritionists are in a prime position to readily incorporate the current genomics approaches in nutrition research, All the available analytical techniques can and should be used in modern nutritional sciences. These include genetics, genomics, proteomics and metabolomics which also require integration and use of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methods for data analysis and management. These applications will be briefly reviewed with a primary focus on what the genomics and genetics approaches offer to nutritionists. We will use one of our research focus areas to illustrate uses of some of these applications in obesity-hypertension research. Our central hypothesis is that adipose tissue is an endocrine organ that plays a major role in obesity and related hypertension. We are primarily studying the renin angiotensin system (RAS). We provide evidence from our own studies and others for the paracrine as well as endocrine role of adipocyte-derived angiotensin II in adipocyte gene expression, adiposity and blood pressure regulation. Both cell culture studies as well as knockout and transgenic mice models are used to test our hypothesis. Genomics and proteomics technologies are currently developed to complement our physi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on the RAS and for a fine analysis of this system and its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 PDF

Emerging Genomics Technologies in Nutritional Sciences : Applications to Obesity and Hypertension Research

  • Moustaid-Moussa;Sumithra Urs;Kim, Suyeon;Heo, Young-Ran
    • 한국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양학회 2002년도 춘계 심포지움초록
    • /
    • pp.598-603
    • /
    • 2002
  • While the sequencing of several genomes was underway, several advanced techniques in genetics, molecular biology and protein chemistry emerged. Within the notritional sciences, while the focus on nutrition education,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aspects remains essential;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the new advances in gene and protein discovery in nutritional studies. Nutrition is a discipline that has always integrated soci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sciences from the studies at the molecule level to studies at the population level. for this reason, nutritionists are in a prime position to readily incorporate the current genomics approaches in nutrition research. All the available analytical techniques can and should be used in modem nutritional sciences. These include genetics, genomics, proteomics and metabolomics which also require integration and use of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methods for data analysis and management. These applications will be briefly reviewed with a primary focus on what the genomics and genetics approaches offer to nutritionists. We will use one of our research focus areas to illustrate uses of some of these applications in obesity-hypertension research. Our central hypothesis is that adipose tissue is an endocrine organ that plays a major role in obesity and related hypertension. We are primarily studying the renin angiotensin system (RAS). We provide evidence from our own studies and others for the paracrine as well as endocrine role of adipocyte-derived angiotensin II in adipocyte gene expression, adiposity and blood pressure regulation. Both cell culture studies as well as knockout and transgenic mice models are used to test our hypothesis. Genomics and proteomics technologies are currently developed to complement our physi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on the RAS and for a fine analysis of this system and its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 PDF

저지방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항체 개발 (Development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 for Producing Fat-reduced High Quality Pork)

  • 최창원;백경훈;최창본;오영균;홍성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4
    • /
    • 2010
  • 본 연구는 저지방 고품질 돈육의 생산을 위해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를 위한 다클론 항체의 개발 및 실제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항원으로써 돼지의 복강 및 피하지방세포 PMP를 분리하여 면양에 3회에 걸쳐 수동면역 주사하고, 면역 주사 전 및 후에 비면역혈청과 항체를 생산하였다. 돼지 AAb 및 SAb 항체의 역가와 생체 주요 장기 조직인 심장, 신장, 간장, 폐, 근육 및 비장세포의 PMP에 대한 타장기 교차반응성을 조사하였다. 돼지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primary 배양시킨 후 개발된 AAb 및 SAb를 주입한 뒤 media 내 LDH 방출 수준을 조사하였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면역혈청은 항원-항체 결합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고, AAb 및 SAb는 희석배율 1:16,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생산한 부위별 지방 감소 다클론 항체가 지방세포 PMP에 대해 강한 역가를 가진 항체임을 시사한다. 또한 AAb 및 SAb는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PMP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비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독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AAb 및 SAb는 높은 역가, 타 장기 안전성 및 in vitro 지방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영양생리 안전성 및 생체 지방 감소 효과 등의 추가 연구가 지속될 경우 저지방 고품질 돈육의 생산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한우 Intramuscular Preadipocyte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Hanwoo Intramuscular Preadipocytes)

  • 이상미;정영희;황성호;박효영;윤두학;문승주;정의룡;강만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13-918
    • /
    • 2005
  • 가축에 있어서 marbling의 발달은 근육 내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와 수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근육 내에 있는 지방전구세포는 marbling이 형성되는 동안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 12개월령에서부터 intramuscular preadipocyte 세포를 분리하였으며 그 세포는 섬유아세포형태를 나타내었다. intramuscular preadipocyte 세포는 insulin, dexamethasone과 thiazolidinedione을 포함하는 지방분화 배지로 배양하면 지방세포로 분화되었다. 18일째 까지 지방분화를 유도하였을 때 triglyceride의 양은 대조구인 0일째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thiazolidinedione을 처리하였을 때는 지방형성이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분화에 있어서 PPARγ mRNA의 발현이 증가함을 RT-PCR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지방분화에 사용된 배양 시스템은 intramuscular preadipocyte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들 세포는 한우에 있어서 지방분화 기능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ed Lipolytic Activity by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var. Chungyang) in Rat Adipocytes in vitro

  • Do, Myoung-Sool;Hong, Sung-Eui;Ha, Jung-Heun;Park, Sun-Mi;Ahn, In-Sook;Yoon, Ji-Young;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34-38
    • /
    • 2004
  • High-pungency red pepper and capsaicin modulate circulating hormone levels and induce lipolysis in adipose tissue in vivo.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ipolytic activity of adipocytes by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 in vitro. High-pungency red pepper (var. Chungyang) powder showed 126.1 mg% of capsaicinoid which was 3 x higher than low-pungency red pepper powder (var. Daemyung). To study the effects of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 on lipolytic activity, preadipocytes were separated from the epidermal fat of 14 day-old rats,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and were treated with red pepper extracts. The amount of glycerol released from adipocytes into the culture medium was analysed to measure lipolytic activity. Glycerol release from adipocytes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 treat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glycerol release when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low-pungency red pepper extract. To investigate whether lipolysis by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 is caused by capsaicin, glycerol release was detected after the treatment of adipocytes with capsaicin. Glycerol rele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psai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pungency red pepper extract might have a direct lipolytic activity in adipocytes that is mediated by capsaicin.

SV40의 T항원으로 불사화한 지방줄기세포주로부터 생산한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an Immortalized Adipose-derived Stem Cell Line by SV40 T Antigen)

  • 이예진;이소영;정민경;박성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0-178
    • /
    • 2024
  • 지방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서 세포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세포 증식 속도가 느리고 세포의 수명이 짧아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에서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속도를 향상시키고 세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SV40의 T항원 유전자를 사람의 ADSC에 도입하여 불사화시킨 ADSC 세포주를 제작하였으며 ADSC-T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SC-T 세포의 분화능력을 검증하고, ADSC-T 세포를 배양하여 획득한 무혈청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DSC-T 세포주는 지방세포와 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줄기세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분화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SC-T의 배양액은 염증을 유발하는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NF-κB의 표적 유전자인 COX-2와 iNOS의 발현도 억제하였다. 또한 ADSC-T 배양액은 ERK, JNK, p38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세포 내 염증 유발 신호 전달 회로인 MAPKs 회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TGF-β, TNF-α, IL-6, IL-13의 발현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강한 항염증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아토피 모델 쥐인 Nc/Nga 마우스를 DNCB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뒤 ADSC-T 배양액을 도포한 결과 강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불사화된 ADSC-T 세포주는 지방줄기세포의 장점과 효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지방줄기세포의 세포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 적용이 가능한 배양액의 생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dipogenesis관련 유전자발현감소와 Cell Cycle Arrest를 통한 EGCG와 Glucosamine-6-Phosphate의 Anti-Obesity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GCG and glucosamine-6-phosphate through decreased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and cell cycle arrest in 3T3-L1 adipocytes)

  • 김꽃별;장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14
  • 널리 음용되고 있는 녹차의 EGCG과 우리나라 국민의 상당수가 복용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성분인 글루코사민은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왔다. 이 두 물질의 병합처리로 기대되어지는 지방세포에서의 adipogenesis 및 지방축적감소에 대한 상승효과는 검증된 바 없으며, 효과에 대한 cell cycle 차원에서의 접근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EGCG와 Glucosamine 6-phosphate는 adipogenesis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에 대한 직접적인 발현 억제 뿐아니라, $PPAR{\gamma}$, $C/EBP{\alpha}$, SREBP1와 매개된 FAS, ACSL1, LPL과 같은 adipogenic target 유전자의 발현 감소를 통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HSL과 perilipin의 발현조절을 통해 부분적인 lipolytic effet도 나타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가 개시되는데 있어 중요한 DNA의 remodeling 과정인 mitotic clonal expansion (MCE) 과정 중 G0/G1 phase 단계에서 cell cycle 정지 유도와 그로인한 S phase 및 G2/M phase로 세포주기이행의 방해를 통해 지방세포가 분화되는 것은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들은 EGCG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EGCG를 단독으로 처리한경우보다 Glucosamine 6-phosphate와 병합하였을 때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EGCG 단독처리 및 glucosamine 6-phosphate와의 병합처리는 지방세포에서 adipogenesis와 adipogenic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억제 및 MCE 단계의 cell cycle arrest를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축적을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효과는 두 성분의 병합처리에서 조금 더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두 성분의 병합처리가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었으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백서 태자 두 개관에서 유래된 조골세포의 증식 및 골결절 형성양상 (THE ASPECT OF PROLIFERATION AND BONE NODULE FORMATION IN OSTEOBLAST-LIKE CELLS DERIVED FROM FETAL RAT CALVARIA IN VITRO)

  • 김시형;남순현;신홍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7
    • /
    • 1997
  • 백서 태자 두개관을 효소처리하여 얻은 조골세포 유사세포군의 증식능 및 골결절의 형성에 미치는 dexamethasone의 영향과 형성된 골결절의 조직학적 형태 관찰을 위하여, 12 well 배양접시의 각 well 당 $4{\times}10^4cell$ 을 접종하였으며, 30일간 표준배양액으로만 배양한 군, 표준배양액에 ascorbic acid와 Na-${\beta}$-glycerophosphate를 첨가한 군, 그리고 각각에 dexa methasone을 첨가한 군등 4군으로 분리 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세포의 증식율은 표준용액으로 배양한 군에 비해 dexamethasone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05). 2. 골세포의 증식율은 ascorbic acid 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특히 ascorbic acid와 dexamethasone을 동시에 투여했을때 더욱 현저히 세포증식율이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p<0.05). 3. 배양 초기에는 세포들이 주로 섬유아세포 양으로 나타났으나, 밀생상태에 이르면서 점차 다각형 형태로 바뀌었다. 4. 배양 9일후 지방세포와 연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dexamethasone이 첨가된 군에서 발견되었다. 5. 골결절은 ascorbic acid와 Na-${\beta}$-glycerophosphate가 첨가된 군에서만 형성되었으며, dexamethasone 을 병용첨가한 군에서 광화된 골결절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골결절 형성이 되지 않은 부위의 세포들은 평면형상을 이루고 있었으나, 골결절 부위를 덮고있는 세포들은 많은 세포돌기를 가진 조골세포양 세포들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Na-${\beta}$-glycerophosphate 그리고 dexamethasone 을 첨가한 군에서는 침상의 돌기를 가진 광화물질들이 다발의 교원섬유들 사이에 현저히 많이 존재하였으며, 골결절 내부에는 매몰된 골세포(osteocyte)양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