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알루미나와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아크릴 점착제의 연구 (A Study on Thermal Conductiv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Alumina and Graphite)

  • 오지환;장선호;유성식;조을룡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3-98
    • /
    • 2017
  • 2-Ethylhexyl acryl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polymerized to synthesiz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Alumina and graphite as a filler were added to acrylic PSA to give thermal conductivity. In case of addition of both graphite and alumina,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SA was increased compared with alumina alone due to enhancement of contact between two fillers followed by increasing thermal path in PSA matrix.

  • PDF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한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제조 및 계면 가교 반응이 점착 물성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Reactive Polyurethane Resin and the Effect of Interfacial Crosslinking on the Adhesion Property)

  • 신진섭;김지헌;정인우;김중현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81-85
    • /
    • 2005
  • 카르복실화된 비반응성 및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 아크릴 단량체의 반회분식 유화중합법을 통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레진의 종류, 함량 그리고 가교제의 투입 방법에 제조된 점착제의 점착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가 비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것에 비해 우수한 점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와 1,6 hexane diamine을 가교제로 도입하여 제조된 점착제는 혹독한 가습조건에 계면가교반응으로 인해 월등한 peel strength를 보여 주었다.

Penetration Enhancement of β2-Selective Agonist, Tulobuterol, Across Hairless Mouse Skin

  • Kim, Byung-Do;Choi, Hoo-Kyu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2호
    • /
    • pp.79-84
    • /
    • 2003
  • The effects of vari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and enhancers o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tulobuterol were investigated. The permeation rate of tulobuterol through hairless mouse skin from various adhesives was evaluated using a flow-through diffusion cell system at $37^{\circ}C$. The permeability of tulobuterol was variable depend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of the PSA. The permeation rate of tulobuterol from polyethylene oxide grafted acrylic adhesive matrix was higher than that from other PSA matrices. The flux of tulobuterol was $4.37{\pm}0.34\;{\mu}g/hr/cm^2$ from polyethylene oxide grafted acrylic adhesive matrix. When the effects of various enhancers o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tulobuterol from grafted acrylic adhesive were evaluated, Plurol $oleique^{\circledR}$ showed higher flux than all other enhancers tested.

고분자 분산제를 이용한 Core-shell 수성 감압점착제 (Waterborne Core-shel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Based on Polymeric Nano-dispersant)

  • 이진경;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3호
    • /
    • pp.89-95
    • /
    • 2016
  • 유연한 식품포장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유성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해,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 유화하는 방법으로 수성 감압점착제를 친환경적으로 설계하였다. 유화중합에서 널리 사용하는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는 물성의 변수로 작용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용액중합으로 polymeric nano-dispersant (PND)를 제조하고, 이 PND 입자들의 분산제를 micelle seed로 이용하여 core-shell grafted acrylic 점착제를 합성하였다. 이때 입자의 바깥층(shell)과 입자내층(core)의 $T_g$를 달리하여 얇은 필름의 점착조건인 초기접착력과 유지력의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하였다. 최적화된 시험군 합성 점착제의 물성을 국내외 제조사에서 개발된 연구시료들과 비교분석하여, 점착제로서의 물성을 검토하였다. 물성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 합성한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대체 사용한 고분자 나노분산제 기반 core-shell 점착제가 연포장에 적합한 점착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액상 이소프렌 고무가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Isoprene Rubber on the Adhesion Property of UV Cur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 이지예;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10-2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합성한 후 이소프렌 액상고무를 블렌드하여 광기능성 시트에 적용될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점착제의 모노머로는 butyl acrylate, acrylic acid, 2-ethylhex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사용하였고 용매로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고무계 모노머로는 isoprene 액상고무(LIR-50)를 사용하였고, 아크릴 점착제와의 배합량을 0 ~ 50 wt%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LIR-50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크릴계 점착제의 최대 단점이었던 전사현상이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이소프렌 액상고무의 경우 아크릴 점착제와 달리 극성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피착재와 이차결합이 발생하지 않아 경시변화에 따른 전사현상이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점착제의 자외선 경화 시 광개시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UV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착제의 경화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점착력과 전사현상이 감소하였다. 반면 유지력의 경우는 경화도가 증가하여 분자구조가 망상구조를 이루며 점착제 내부응집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Effect of Ethanolamine Salts and Enhancers o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Meloxicam fro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trix

  • Ki, Han-Moe;Cheong, Hyun-Ah;Choi, Hoo-Kyu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3호
    • /
    • pp.173-17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formation o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meloxicam through hairless mouse skin fro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trix. In addition, the influences of enhancers on the permeation of meloxicam or meloxicam-ethanolamine (MX-EA) salts across the hairless mouse skin were evaluated using a flow-through diffusion cell system. The salt formation of meloxicam resulted in lower permeation rate than the parent drug. $Span^{(R)}$ 80 provided the highest enhancing effect for meloxicam and meloxicam monoethanolamine salt. The maximum amount of the drug that can be loaded without retarding permeation rat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und.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fluxes of meloxicam or MX-EA salts from saturated solutions and those from PSA matrices containing the same enhancer.

아크릴산 함량 및 무기물 충전제가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rylic Acid Contents and Inorganic Fillers on Physical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by UV Curing)

  • 김동복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184-195
    • /
    • 2013
  • 아크릴 점착테이프는 자동차, 전기전자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접합에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듈 접합에 사용되는 고강도 준구조형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해 2-ethylhexylacrylate(2-EHA)와 acrylic acid(AAC)를 사용하여 UV 조사에 의한 광중합 및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해 광경화를 진행하였고, AAC의 함량 및 무기물 충전제 $SiO_2$ 함량에 따라 아크릴 점착테이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단량체로 사용된 AAC의 함량이 많을수록 아크릴고분자 사슬의 강직성이 증가하여 초기 점착력이 낮았고, 시간경과에 따라 점착력이 증가하였으며 테이프의 젖음성, 접촉각 및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충전제를 첨가하지 않은 점착테이프의 박리강도와 전단접착강도는 반비례 관계였으나 충전제를 첨가하면 함량 증가에 따라 박리강도 증가와 함께 전단접착강도가 증가하는 비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로부터 고강도 준구조형 접착물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최적화된 아크릴 점착테이프를 제시할 수 있었다.

Seed 중합을 이용한 고고형분 수용성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 (Property and Polymerization of Hi-solid PSA's using Seeded Polymerization)

  • 정영식;민성기;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4호
    • /
    • pp.174-181
    • /
    • 2009
  • 고 고형분 점착제의 점도 개선을 위해 seed 중합을 이용하여 수용성 저점도 점착제를 중합하였다. Seed 바인더 중합 중 최적 중합 조건을 산출하고, 점착제 중합 시 seed 바인더와 acrylic acid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도변화와 피착면에 대한 점착박리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점착제 중합에서 seed 바인더의 함량이 7 wt%/monomer일 때 60%의 고형분에서 2,100 cps의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평활한 점착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Acrylic acid함량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측정에서는 4 wt%/monomer의 acrylic acid를 사용 했을 때 우수한 점착박리강도와 유지력을 나타내었다.

  • PDF

In Vitro Percutaneous Absorption of Ondansetron Hydrochloride from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rices through Hairless Mouse Skin

  • Gwak, Hye-Sun;Oh, Ik-Sang;Chun, In-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44-648
    • /
    • 2003
  •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a new ondansetron transdermal system, the effects of vehicles and penetration enhancers on the in vitro permeation of ondansetron hydrochloride (OS)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 matrices across dorsal hairless mouse skin were studied. Vehicles employ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various ratios of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GMC)-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GME) co-solvents and PGMC-propylene glycol (PG) co-solvents with 3% oleic acid. $Duro-Tak^\circledR$ 87-2100 and $Duro-Tak^\circledR$ 87-2196 were used as PSAs. The concentration of DGME in PGMC-DGME co-solvent system affected the release rate; as the concentration of DGME increased, the release rate decreased. The cumulative release amount of OS increased as the ratio of PSA to drug solution decreased. The permeation flux was also primarily affected by the amount of PSAs; as the amount decreased, the permeation flux increased. The overall fluxes from matrix formul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solution formulations. The ratio of PG to PGMC did not affect permeation flux, while the lag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14\pm3.31 to 0.31\pm0.12$ h as the PG increased from 40% to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