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Designing Rehearsal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Mathematics Methods Course

  • Kim, Yeo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463-486
    • /
    • 2018
  • This study identifies elements involved in designing rehearsal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apacity to teach mathematics. Observation of a second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nd regular interviews with the teacher educator following each class were used in this research. After characterizing what is considered and enacted in rehearsals as a way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the work of teaching mathematics, I illustrate them with examples from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 then discuss the challenge of dual contexts-the teacher education classroom and the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and dual perspectives-the mathematical and pedagogical-in designing and enacting rehearsals. I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 강현영;탁병주;고은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857-880
    • /
    • 2016
  •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은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핵심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시기에 수업 경험의 기회가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로 구성된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제 개발과 수정, 그리고 수업 관찰과 분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가 모두 참여함으로써, 이 모델이 현장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통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경험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 등 교사효능감과 교직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현장교사-현직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이 하나의 교사교육 체계로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강원지역 수학과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 오주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79-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ata collected from 126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data collected include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have had no experience of multiple cultures. But they have shown a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much more high than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ex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Mathematics Lessons

  • Han, Jae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35-147
    • /
    • 2020
  •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plan? In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 preservice teachers (PSTs) are trained for planning mathematics instruction but often have difficulty in evaluating existing lesson plans and creating their own lesson plans.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understand PSTs' experiences of evaluating or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that they perceive as being good. The narratives of three PSTs who pursu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ing certification will inform us not only of their perceptions of a good mathematics lesson and lesson plan but also their process of finding the one that exists or creating their own.

Exploring Whi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y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Practices

  • Cho, Eunhye;Albert, Lillie R.;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the construction of preservice whit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acial identities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CRT) practices. We examined five whit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private university in the US. W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lesson pla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reflection of a taught lesson in the 2018 fall term and examined the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raci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s, K-12 school experiences, and practicum school environment. We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o racial issues and their endorsement of CRT strategie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practicum school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예비교사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와 기술된 수업행동 분석 (Exploring Beliefs and Stated-Action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97-11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수학교사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와 수학교수법 중에 시행하는 예비실습을 하는 동안 기록한 활동지의 기술된 수업행동을 분석하여 예비교사가 어떻게 새로운 신념체계를 내재화하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일대일 학생과의 예비실습활동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수학학습 사고과정에 대한 지식을 더 확실하게 자신의 신념체계로 통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는 기존의 신념체계와의 심리적 갈등을 겪고 해소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는 자신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를 보다 더 분명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service Teachers' Changing Perceptions of Technology Infusion - The Impact of Web-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Lin, Cheng-Ya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9-258
    • /
    • 2006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intent to use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lso, web-based instruction on topic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used to foster teachers'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thereby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instructions exhibited a significantly (p < 0.05) better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and web-based resources in teaching mathematics than di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 PDF

미국 edTPA 평가에서 요구하는 예비 수학 교사의 전문적 역량 분석 (Insights from edTPA in the United States on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권오남;권민성;;문진;정원;조항윤;이경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11-236
    • /
    • 2023
  • 이 연구는 미국 예비교사 교육 양성 과정에서 활용되는 edTPA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예비 수학 교사의 인지적인 차원의 지식 개발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을 바탕으로 상황적 차원의 영역까지 고려한 전문적인 역량을 진작시키는 것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edTPA 평가는 예비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수행하는 수업에 기초한 수행 기반 평가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예비 수학 교사가 참여하는 edTPA의 사례가 상세히 서술된 편람을 검토하여 예비 수학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역량에 대해서 분석한다. edTPA 평가는 수업 설계, 실행, 평가 과제로 구성되어 있고, 수업과 연계하여 지속성 있는 평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수업 설계, 실행, 평가 과제 서술에서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의 연계가 되는 지점과 그 연계로부터 요구하는 전문적인 역량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edTPA 편람을 분석한 결과 edTPA 평가에서 예비 수학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역량은 특정 수학 수업 차시에 대한 초점화 및 이행 역량, 특정 수학 수업 차시 실행 및 평가의 성찰적 이해 역량, 학생들의 언어 및 표상 사용,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학생 성취의 점진적인 판단 역량이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 예비 수학 교사 교육과정 및 실습학기제 운영에서 평가하는 역량의 구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Collective Noticing on Microteaching

  • Na Young Kwon;Jung Colen;Sheunghyun Yeo;Hoyun Cho;Jinho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11-331
    • /
    • 2023
  • This article explores how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MTEs) engaged in collaborative inquiry into the microteach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STs), ultimately developing a noticing framework through collective MTE inquiry. We delve into the specifics of what MTEs notice focusing on three emerging categories of noticing on PST's microteaching videos-lesson structure, task quality, and teaching practices. Each category, along with MTEs' noticing within these components, is elaborated through vignettes. This approach positions MTEs' noticing as a crucial element in the overarching vision to enhance the teaching practices of PSTs.

한국과 미국 예비 초등교사는 자연수 덧셈과 뺄셈 연산에 대한 학생의 수학적 전략과 오류를 어떻게 분석하는가? (How Do Korean and U.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alyze Students' Addition and Subtraction Computational Strategies and Errors?)

  • 조형미;;이기마;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23-446
    • /
    • 2022
  • 본 연구는 덧셈 뺄셈 연산에서 보이는 수학적 전략을 한국과 미국의 예비 초등교사가 어떻게 분석하는지 비교 분석한다. 한국의 예비교사 26명과 미국의 예비교사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제시된 덧셈 뺄셈 연산에서 어떠한 수학적 오류가 있는지 서술하게 하였다. 수합된 46명의 예비교사의 기록은 연구의 주요 데이터로 근거 이론에 기반을 두어 오픈 코딩과 귀납 코딩하고, 통계 처리하여 혼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덧셈 연산에 대한 오류와 전략 분석에서 양국의 예비교사의 응답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뺄셈 연산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의 풀이 전략이 다단계로 구성이 되어 있거나 전형적이지 않을 때, 양국의 예비교사가 이를 분석하는데 어려워함을 확인하였다. 국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공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각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