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chool children

검색결과 1,056건 처리시간 0.03초

유아 활동량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by Actigraph for Yong Children)

  • 최철훈;박성식;이상언;이주원;강성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0-502
    • /
    • 2014
  • 최근 어린이 집과 유치원에서 유아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예기치 않는 불의의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사고 및 질병에 의한 이상이 있을 때 신체활동 및 체온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위해 유아의 체온 및 활동량을 측정하고, 원격의 스마트폰과 PC에서 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Parental Compet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 정계숙;견주연;최은아;김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9-15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준전문가로서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 증진 효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와 아동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참 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이들의 "부모 참 역량"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발달적 양육 역량을 비롯한 "부모 참 역량"의 5개 하위요인 모두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어머니들은 대부분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신의 양육 역량(양육지식의 변화, 부모 역할에 대한 반성적 태도의 태동), 자기체계 역량(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존중적 태도, 남편에 대한 배우자로서의 자기 인식, 부모로서의 부드러운 시선 및 따뜻한 이해), 사회적 역량(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움직임,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로서의 역할 시도하기) 등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취학전 어린이의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MAXILLARY ANTERIOR TEETH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 정승열;이광희;라지영;이동진;안소연;김지영;송지현;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35-641
    • /
    • 2008
  • 연구 목적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익산시 어린이집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미만의 남아 214명, 여아 187명, 모두 40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성별,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수유 기간, 감미 간식 섭취 빈도,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 등을 조사하여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은 남아에서 43.0%, 여아에서 26.7%로서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수유 기간 2년 이하 군에서 31.0%, 2-3년 군에서 43.2%, 3년 이상 군에서 63.2%로서 수유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1), 감미 간식을 매일 섭취하는 군에서 44.2%, 2-3일에 한 번 섭취하는 군에서 31.47%, 자주 섭취하지 않는 군에서 32.4%로서, 매일 섭취하는 경우에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Mn-SOD와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아의 산화손상지표의 분포 (Oxidative damage biomarker levels according to Mn-SOD and GST gene polymorphisms in preschool children)

  • 신유경;최지원;오세영;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6호
    • /
    • pp.468-475
    • /
    • 2015
  • 우리나라 일부 건강한 유아를 대상으로 Mn-SOD Val16Ala, GSTP1 Ile105Val, GSTT1 present/null, GSTM1 present/null 유전자 다형성 분포를 살펴본 결과, Mn-SOD Val/Val형, GSTP1 Ile/Ile형, GSTT1 null 형, GSTM1 null 형이 주된 (major) 유전자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Mn-SOD Val/Val형은 Val/Ala 또는 Ala/Ala형에 비해 소변 8-OHdG 수준이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GSTP1 Ile/Ile형은 Ile/Val 또는 Val/Val형에 비해 소변 8-OHdG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접흡연에의 노출 여부와 간접흡연-유전자 다형성의 상호 작용이 산화손상지표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건강한 유아에서 GSTP1 Val allele 보유한 경우 산화적 손상에 대해 취약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추후 대규모 연구를 통한 검증 및 이들 유전자형을 보유한 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영양 중재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익산시 취학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과 위험요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IN IKSAN CITY)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8-683
    • /
    • 2003
  • 유아기 우식증의 새로운 정의와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익산시 3-5세 취학전 어린이 612명을 대상으로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위험요인을 함께 조사하였다. 어린이들의 상악 유전치의 순면과 설면 및 인접면을 검사하고, 6개의 상악 유전치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우식와동이 있거나 우식으로 인해 상실되었거나 충전된 평활면이 있는 경우에 중증 유아기 우식증에 이환된 것으로 진단하였다.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유병률은 36-47개월이 20.8%, 48-59개월이 23.6%, 60-71개월이 30.8%이었고, 남아가 27.8%, 여아가 25.0%이었다. 재우기 위한 목적으로 수유한 경우의 유병률은 33.0%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의 23.0%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5). 잠든 후 수유를 즉시 중단한 경우의 유병률은 28.6%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의 66.7%보다 낮았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1). 어린이의 이를 닦기 시작한 시기에 따른 유병률은, 처음 이가 날 때가 21.5%, 앞니가 난 후가 25.2%, 어금니가 나는 중이 27.7%, 어금니가 난 후가 43.7%, 그 이후가 60.9%로서, 이를 닦기 시작한 나이가 늦어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1). 주 보육자의 칫솔질 횟수가 규칙적인 경우의 유병률은 25.1%로서 불규칙한 경우의 34.0%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10). 주 보육자가 구강청결용품등을 사용하는 경우의 유병률은 21.8%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28.8%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10).

  • PDF

유아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 황윤숙;김영남;이성숙;정재연;조명숙;최부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97-30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preschool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s one of educational media and to apply it to preschool education. It's ultimately meant to help improve the oral health education policy of the nation toward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multiple information on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0 young children who were at the age of 7 and attended kindergartens in the city of S. To evaluate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prepared in the study, the selected young children were taught by using it, and a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fore offering education and three weeks after it to assess their knowledge. Besides, their patient hygiene performance was tested. For data handling, SPSS program was utilized, and in order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changes in their oral health behaviors,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crosstab was employed. To track any possible additional changes in their relevant knowledge and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t-test was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changes in oral health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oth brushing time(p<0.05), tooth brushing method(p<0.01) and toothbrush keeping method(p<0.001)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2. Regarding changes in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p<0.001). In detail, their knowledge about the cause of dental caries(p<0.05), the right choice of toothbrush(p<0.001) and toothbrushing after meals(p<0.01) became significantly different. 3. There was no gap in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4. To boost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kindergarteners, it seems necessary to give a lecture on oral health, to demonstrate tooth brushing by using dntiform, and to offer instruction by utilizing disclosing solution. 5. Repea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a regular basis by preparing standardized teaching plan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ers, and a wide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that could be easy to understand, authentic and provide motivation to them should be developed.

  • PDF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모의 평일여가에서 나타난 변화(2004-2019) (Trends in the Workday Leisure-Time of Dual-Income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2004-2019))

  • 서지원;이정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4호
    • /
    • pp.39-52
    • /
    • 2022
  • 최근 한국사회에서 출산율이 급락하면서 부모의 자녀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초점을 맞추어 성차와 시간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과 2019년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가 근무일인 평일에 작성한 시간일지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시간 구성(필수시간, 의무시간, 여가시간)의 변화, 여가활동 유형(자원봉사, 교제, 참여, 종교, 의례, 문화·관광, 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 휴식, 기타 여가)에 따른 사용시간의 성차와 조사시기별 차이,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n=2,697).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조사시기 모두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경우 전체성인집단에 비해 필수시간은 짧고, 의무시간은 길며, 여가시간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시간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성차가 유의한 활동 가운데 2004년에는 종교활동을 제외한 모든 여가활동에서, 2019년에는 모든 여가활동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총 여가시간이 2004년에 비해 2019년에 감소하였는데, 여가활동별로는 교제, 의례, 미디어 시간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감소하였고, 종교시간은 어머니 집단에서, 휴식시간은 아버지 집단에서만 감소하였으며, 참여와 게임·놀이 시간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 유형 중 전체성인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 3가지 여가활동(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생활시간 변수가 서로 다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부모의 초기양육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정책과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longitudinal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on maternal depression: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pproach

  • Kim, Chul-Gyu;Choi, Mi-Young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10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on maternal depression. Methods: Data from a longitudinal cohort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from 2010 to 2012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survey included 1,721 mother-child dyads. The mothers reported on their children's temperament and on maternal depression. The children's temperament was measured by the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Parental Ratings, while maternal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Kessler 6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depression were relatively stable when the children were between the ages of 2 to 4. The mean maternal depression scores were 11.83 in 2010, 11.88 in 2011, and 11.75 in 2012.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depression scores and children's ages, and sociability and activity subdomain scores ranged from r=-.05 to -.11 (p<.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ity subdomain scores and maternal depression scores (r=.35, p<.001). Children's temperament rament (emotionality: β=0.26, activity: β=-0.07, and sociability: β=-0.03) were significant factors in maternal depress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the early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young children and mothers.

Body Weight at Birth and at Age Three and Respiratory Illness in Preschool Children

  • Jeong, Yool-Won;Jung-Choi, Kyung-Hee;Lee, Jin-Hwa;Lee, Hwa-Young;Park, Eun-Ae;Kim, Young-Ju;Ha, Eun-Hee;Oh, Se-Young;Park, Hye-So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5호
    • /
    • pp.369-376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current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at age three and birth weight in developing chronic respiratory illness in childhood and identify possible interaction underlying its mechanism.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422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a hospital-based birth cohort. Birth relate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at birth. At age 3 years, the presence of respiratory symptoms was evaluat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ore questionnaire for wheezing and asthma from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Physical examination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child's weight and height. Results: Children in the lowest birth weight tertile (aOR = 3.97, 95% CI = 0.94-16.68) or highest BMI tertile (aOR = 3.68, 95% CI = 1.24-10.95) at three years of age were at an increased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Children who were initially in the lowest birth weight tertile but now belong in the highest weight tertile had higher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compared to those who had remained in the middle tertile (OR=16.35, 95% CI=1.66-160.57). Conclusions: Children with lower birth weight or higher BMI were at an increased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In addition, children who were initially in the lowest birth weight tertile but are now in the highest weight tertile had higher risk of chronic respiratory illness compared to those who remained in the middle tertile.

문장 따라말하기에서 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비교 (The influences of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of disfluency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 김예슬;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53-64
    • /
    • 2021
  • 요구용량 모델에 의하면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외적, 내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환경 중 언어적인 환경(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대상은 4-6세 말더듬 아동 9명, 일반아동 9명이었다. 연구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를 구하였다. 두 그룹의 비유창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때 평균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보다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말속도를 조절 때 말더듬 아동은 빠른 말속도에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그리고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시 빠른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통사적 복잡성을 조절했을 때는 복문에서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말속도, 발화길이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은 말운동 조절 그리고 언어처리 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말더듬 아동 치료 시 치료사와 부모가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